$\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mentalization in van Hiele's Geometric Teaching Using GeoGebr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4, 2016년, pp.435 - 452  

임현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고상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하학습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하였을 때 도구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와 이 도구화가 교수법과는 어떤 관계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공학환경에서의 van Hiele 교수학습 모델에 근거한 4차시 학습지도안이 구성되었고 2015년 5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도구화는 준비기, 적응기, 응용기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학습차시를 진행하면서 시각화에 의존하는 준비기와 적응기에는 실제 시행착오적 과정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각화가 덜 필요한 단계, 즉 응용기에서는 도구의 역할이 자신의 추측과 정당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도구화 과정에 따른 교수법을 구성하여야 하며, 공학 도구사용이 학생의 학습을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변화되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는 교수법에서 학생들의 도구화 과정에 대해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심도있는 고찰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students' instrumentalization in relation to the van Hiele's teaching method within a technology environment using GeoGebra. To carry out the study, a total of 4 lesson units was developed based on van Hiele teaching method for two slow learners in Gyeonggi provin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수업에서 도구화란 무엇입니까? , 한세호 외, 2009; 김진환 외 2010; 고상숙 외, 2015). 수학수업에서 사용되는 도구란 학습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연장의 일부를 뜻하며, 도구화는 그 연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특정 유형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교사나 학생)가 도구를 활용하면서 얻게 되는 정신적인 또는 행동으로서의 scheme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뜻한다(Trouche, 2004). 광범위하게는 도구화는 인류가 연장을 사용한 때부터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다른 존재와 다르게 인류는 이를 뛰어나게 사용해옴으로써 문명의 발전을 이루어왔다.
수학적 기술공학의 활용을 통해서 얻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다시 말해 수학적 기술공학의 활용을 통해 수학적 사고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자료의 정리, 분석, 표현을 용이하게 하여 학생들에게 좀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계산을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고, 단지 단순 계산을 통한 답을 이끌어 내는 과정이 아닌, 의사결정, 반성, 추론, 문제해결에 학생들은 초점을 두어 기술공학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공학은 이해와 직관을 기르는데 사용되어야 하며 대체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 된다(류희찬 외, 2007).
수학문제를 해결할 때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가 수학문제를 해결할 때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거나 해결하고자하는 다음 단계에 무엇을 해야 할 바를 모르는 때이다. 하지만 공학도구 환경에서는 적어도 시행착오적 방법을 사용하여서라도 문제의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해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옥기?강윤수?고상숙?고호경?권나영?김구연, 외 13인 (2012). 수학교육학 신서. 서울 : 교우사. 

  2. Kang, O. K., Koh, S. S., Kang, Y, S., Koh, H. K., Kwon, N. Y., Kim, G. Y. et al. (2012). The New Perspectives on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sa. 

  3. 강현희 (2009). 담론을 통한 수학적 개념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Kang, H. H. (2009). A Case Study on Student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Classroom Discourse.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5. 고상숙?고호경?박만구?한혜숙?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6. Koh, S. S., Koh, H. K., Park, M. G., Han, H. S., & Hong, Y. Y. (2012). The Assess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sa. 

  7. 고상숙?고호경?구나영?김남희?김리나?김향숙, 외 17인 (2015). 대한수학교육학회 연보: 수학교육에서 공학적 도구. 서울: 경문사. 

  8. Koh, S. S, Koh, H. K., Gu, N. Y., Kim, N. H., Kim. R. N., Kim, H. S. et al. (2015). The 2015 Yearbook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sa. 

  9. 교육부 (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currentPage0&encodeYnN&boardSeq58701&modeview. 

  10. The Ministry of Education(2015). The Second Statemen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Mathematics Education.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currentPage0&encodeYnN&boardSeq58701&modeview. 

  11. 김종화 (2013). GeoGebra를 활용한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에서 학생들의 수학화 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Kim, J. H. (2013). A Stury on Students' Mathematization in Rational and Irrational Functions Using GeoGebra.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13. 김진환?조정수 (2010). CAS의 도구발생과 수학적 지식의 발견 관점에서 고찰한 일차함수 합성성질 탐구. 한국 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3), 611-626. 

  14. Kim, J. H., & Cho, C. S. (2010). Exploration of the Composite Properties of Linear Functions from Instrumental Genesis of CAS and Mathematical Knowledge Discover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4(3), 611-626. 

  15. 류희찬?손홍찬 (2007). 수학적 모델링에서 스프레드시트 환경이 수학적 모델의 정교화 과정에 미치는 역할. 학교수학, 9(4), 467-486. 

  16. Lew, H. C., & Son, H. C. (2007). The Role of Spreadsheet in Model Refinement in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y. School Mathematics, 9(4), 467-486. 

  17. 류희찬?신동선 (1998).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18. Lew, H. C. & Shin, D. S. (1998). Mathematics Education and Computer. Seoul: Kyungmoonsa. 

  19. 양성현?강옥기 (2011). GeoGebra를 활용한 역동적인 시각적 표상에 기반한 이차곡선 지도 방안. 학교수학, 13 (3), 447-468. 

  20. Yang, S. H., & Kang, O. K. (2011). Instruction method for Quadratic Curve Based on Dynamic Visual Representation by applying GeoGebra, School Mathematics, 13(3), 447-468. 

  21. 이상구?장지은?김경원?박경은 (2014). GeoGebra와 미분적분학 개념의 시각화. 수학교육논문집, 28(4), 457-474. 

  22. Lee, S., Jang, J. E., Kim, K. W., & Park, K. E. (2014). Visualization of Calculus Concepts with GeoGebra.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4), 457-474. 

  23. 이중권 (2006). van Hiele의 기하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중학교 기하교육과정 및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17(1), 55-86. 

  24. Lee, J. (2006). A Study of Korea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of Geometry and Geometry Curriculum Based on van Hiele Theory. The Journal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17(1), 55-86. 

  25. 임현정 (2015). Geogebra를 활용한 교수 학습 환경에서 Van Hiele 기하적 사고에 관한 사례 연구: 중학교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Lim, H. J. (2015). A Case Study on the Students' Geometric Thinking in Quadrilaterals with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Using GeoGebra: Focused on the Quadrilaterals of the 8th Grade.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27. 최경식 (2012). 따라하면서 배우는 GeoGebra, 단국대학교 수학 1정교사 연수교재. 단국대학교 교원연수원. 

  28. Choi, K. S. (2012). GeoGebra we learn by copying others. The Materials of the In-service Program for the First Degree of the Teacher Certificate. Dankook University. 

  29. 한세호 (2010). 최적화 문제해결 활동에서 "CAS의 도구화"가 교육과정 내용제시 순서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20(2), 185-202. 

  30. Han, S. H. (2010). The Influence of Instrumentalization of Computer Algebra System(CAS) on the Sequence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CA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2), 185-202. 

  31. 한세호?장경윤 (2009). 고등학교 수학 문제해결에서 CAS의 도구발생. 학교수학, 11(3), 527-546. 

  32. Han, S. H., & Chang, K. Y.(2009). Instrumental genesis of computer algebra system in problem solv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3), 527-546. 

  33. Choi, S. S. (1996). Students' Learning of Geometry Using a Compu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thens, GA: University of Georgia. 

  34. Dreyfus, T. (1992). Aspects computerized learning environments which support problem solving. In J. P. Ponte, J. F. Matos, & D. Fernandes(Ed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Research in Context of Practice (pp. 255-266). Berlin : Springer Verlag. 

  35. Drijvers, P. H. (1999). Students encountering obstacles using CA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lgebraic Mathematics Education, 46-47. 

  36. Hoffer, A. (1983). van Hiele-based research. In R. Lesh & M. Landau(Eds.), Aquisition of Mathematics Concepts and Processes. New York: Academic Press. 

  37. Merriam, S. (2005).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강윤수 외 8인 공역). 서울: 교우사. (원저 1998년 출판,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3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3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40. Rabardel, P. (1995). Les hommes et les technologies, approche cognitive des instruments contemporains, Armand Colin. 

  41. Skemp, R. (2000). 수학학습심리학(황우형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저 1987년 출판,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Lawrence Erlbraum Associates, Inc.) 

  42. Trouche, L. (2004). Managing the complexity of human/machine interaction in a computerized learning environments : Guiding students' command process through instrumental orchest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9, 281-307. 

  43.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44. van Hiele-Geldof, D. (1984). The Didactics of geometry in the lowest class of secondary school. In D. Fuys, D. Geddes, & R. Tischler (Eds.), English Translation of Selected Writing of Dina van Hiele-Geldof and P. M. van Hiele(pp. 1-214). Brooklyn: Brooklyn College. (Original document in Dutch. De Didaktiek van de Meetkunde in de Eerste Kals van het V. H. M. 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recht, 19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