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45년 이후 한국병원건축 병동부의 변화
Change of Ward Design in Korean Hospital Architecture since 1945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2 no.4, 2016년, pp.67 - 77  

유영민 (Division of Architecture Kyungnam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aim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ard plan of Korean hospital architecture constructed in each periods and identify the change since 1945.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while ward plans for analysis were sellected. And then the important points of ward design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동선경로는 복도형식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복도 형식이 병동부의 평면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복도형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1945년 이후 현재까지의 병원건축 병동부의 변화내용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병원건축 병동부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동부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은 무엇인가? 병원은 다른 유형의 건축물에 비해 기능성이 강조될 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시대적 상황 및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는 건축으로 그 중 병동부는 환자가 24시간 생활하는 장소로서 환자의 진료와 간호라는 기능적 측면과 환자의 생활과 요양환경적 측면까지를 고려해야하는 부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병원의 병동부는 병원의 고기능진료에 비해 환자의 요양환경적측면에 대한 배려는 많이 부족했음이 그동안 많은 연구문헌 등을 통해 밝혀져 왔다.
앞으로의 간호단위 병상수 변화 양상을 예상한다면? 2000년대는 대체로 40-50병상 사이로 이전에 비해 병원간의 차이가 줄어들며 45병상 주변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병동의 간호단위 병상수는 앞으로 간호운영방식 변화, 병원감염방지 등을 위한 다인병실의 4인실 계획과 병상간 간격확대 등으로 간호단위 병상수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간호근무실의 위치가 병동 입구에서 병실군 중앙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나라 병원 간호근무실의 위치는 1990년대까지 대체로 엘리베이터 홀 근처의 병동 입구에 위치하던 것이 2000년대 들어서는 병실군 중앙이 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관리위주로 계획되던 간호대기소의 위치가 환자중심의 간호서비스 중심으로 변해가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종전의 기능간호방식에서 팀간호방식으로 간호운영박식을 전환하고 있으나 실제 병원의 평면형태는 다양화하는 간호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적응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i, Choul Gyun; Choi, Kwangseok, Kwon, Soonjung;, 2013,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Four-bed room Unit in Publ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19, no.3. 

  2. Choi, Kwang-Seok, 1997, A Study on the healthcare Facility planning for the Changes of Healthcare Environm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3 no.10 

  3. Chung, Joohyun, Yang, Naewon, 2006,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Sensory Stimulation in the General Hospitals' Patient Roo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12, no.2 

  4. Ji, Hyejin, Yang, Naewon, 2007, A Study on the Behavior of using the Resting Space in the Wards of General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13, no.2 

  5. Jung, Taewoo, Kim, kwangmoon, 1995,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Ward According to the method of nursing and Residence of patients i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vol.1, no.1 

  6. Kim, Dongyoun, Lee, kyunghoon, 2012, A Study on Hospital Management and Privacy through the Isovist field Analysis of Floor Plan Typ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8, no.4 

  7. Kim, Kwangmoon, 1976, Analytical Studies on Ward Planning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0, no.71 

  8. Kim, Kwangmoon, 1999, Hospatal Design and Development, Sejin Publishing Co. Seoul 

  9. Kim, Khilchae, Choi, Kwangseok, 2000,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Typical Plan Type in War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6 no.10 

  10. Kwon, Soonjung; Chai, Choul Gyun; Choi, Kwangseok,, 2014,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4-bed Rooms in Publ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20, no.3. 

  11.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KIHA), 2010, Healthcare Architecture of Korea, Spacetime, Seoul 

  12. Lee, Kwangno, 1993, The Study on the Ward Planning of General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5, no.2 

  13. Lee, Hongsik, Kim, Sangbok, Yang, Naewon,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tient Behavior of Corridor Space on the Ward in General hospita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11, no.3 

  14. Lee, Hyunji, Chai, Choulgyun, 2015, A Study on the Use and Circulation of Comprehensive Care Ward in S Publ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21, no.1 

  15. Lee, Shin-Ho, 1989,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Hospital Basic Form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16. Park, bumchul, Kim, Sangbok, Yang, Naewon, 2005,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Imorovement of Multi-bed Room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11, no.2 

  17. Park, Namkyu, Yang, Naewon, Yu, Youngmin, 1996,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Ward in the Recently Built Patient-center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2, no.2 

  18. Shin, Donghee, Kang, Miseon 2016 A Study Improving a Nurse's Walking Path and Staff Visibility in General hospital Ward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2, no.1 

  19. Yang, Nae-Won, 2013, Hospital Architecture and Sustainability in Korea, The Symposium on Healthcare Architecture in Asia 2013,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pp62-68 

  20. Yu, Youngmin, 2005,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Multi-bed Rooms in Hospital, vol.11 no.1,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1. Yu, Youngmin, 2010, A Basic Study on the History of Healthcare Architecture Planning, vol.16 no.4,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2. Yu, Youngmin, 2014, Change of Hospital Architecture in Korea since 1945, vol.20 no.4,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3. 고은진, 2010, 구 명동성모병원 리노베이션 및 증축 계획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국립중앙의료원, 2008, 국립중앙의료원50년사, 서울 

  25. 김동규, 1980, 병원건축, 건설이공학사, 서울 

  26. 김성우, 안창모, 2008, 김정수작품집, 공간사, 서울 

  27. 서울대학교병원부설병원연구소, 1984, 병원건축도면집 

  28. 서울대학교병원부설병원연구소,1983,서울위생병원증축방안연구보고서 

  29. 양내원, 2004, 병원건축 - 그 아름다운 당연성, 플러스문화사, 서울 

  30. 이애주, 성영희, 박광옥, 이특구, 이정만, 정현화, 양내원, 1996, 병동부 설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특집 기획 좌담회,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vol.2, no.1 

  31. 日本醫療福祉建築協會, 2004, 戰後日本の 病院建築の 計劃史に 關する 硏究 報告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