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9 no.2, 2016년, pp.61 - 70  

노선숙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 ,  이창관 (케이씨대학교 간호학과) ,  성영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on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cancer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illed by 526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상으로 미루어볼 때 죽음인식, 임종간호태도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우리나라 암치료기관인 상급종합병원에서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종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인식, 임종간호태도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의 죽음의식이 긍정적일수록 임종간호태도가 좋으므로(Chi & Kim, 2005), 호스피스요원들이 긍정적인 죽음인식을 갖고 임종간호에 임할 것을 제언(Kim, Chon, & Kang, 1997)하였으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한 결과도 있어(Ahn, 2004; Park & Choi, 1996),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수행의 관계에 대한규명이 필요하다.
암치료기관에서 환자의 임종을 치료의 실패로 간주하는 이유는? 이렇듯 임종장소가 병원으로 옮겨짐에 따라 간호사는 임종 상황에 자주 직면하게 되며, 말기 암 환자가 평안하고 경건하게 생을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간호사들에게 중요한 역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암치료기관은 적극적인 암치료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환자의 임종을 치료의 실패로 간주하고,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환자 사망 후에도 급하게 여러 가지 직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환자의 임종에 공감할 여유가 없고 환자의 죽음을 자주 접하다보니 타성에 젖은 비인간적인 자신의 태도에 우울과 적대감을 경험한다(Kang & Lee, 2001). 실제로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높은 수준으로, 과중한 업무 속에서 임종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상황(Kim, 2009)과 임종간호수행을 위한 준비가 부족 한 경우에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며,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간호사는 효율적인 임종간호를 제공하지 못하며(Lee, Lee, Choi, & Park, 2007), 또한 말기 암환자의 고통이 간호사에게 반향 되어 나타나는 간호사의 고통경험은 간호사 자신은 물론 간호를 받는 환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간호사의 고통경험 정도가 클수록 죽음에 대한 인식도 부정적이다(Ahn, 2004).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가 우울과 적대감을 경험하는 이유는? 이렇듯 임종장소가 병원으로 옮겨짐에 따라 간호사는 임종 상황에 자주 직면하게 되며, 말기 암 환자가 평안하고 경건하게 생을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간호사들에게 중요한 역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암치료기관은 적극적인 암치료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환자의 임종을 치료의 실패로 간주하고,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환자 사망 후에도 급하게 여러 가지 직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환자의 임종에 공감할 여유가 없고 환자의 죽음을 자주 접하다보니 타성에 젖은 비인간적인 자신의 태도에 우울과 적대감을 경험한다(Kang & Lee, 2001). 실제로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높은 수준으로, 과중한 업무 속에서 임종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상황(Kim, 2009)과 임종간호수행을 위한 준비가 부족 한 경우에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며,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간호사는 효율적인 임종간호를 제공하지 못하며(Lee, Lee, Choi, & Park, 2007), 또한 말기 암환자의 고통이 간호사에게 반향 되어 나타나는 간호사의 고통경험은 간호사 자신은 물론 간호를 받는 환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간호사의 고통경험 정도가 클수록 죽음에 대한 인식도 부정적이다(Ah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M. S., & Lee, K. J. (2014).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17(3), 122-133. 

  2. Ahn, S. N. (2004). Study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Degree of Nurse's Suffering Experience,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Unpublished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eoul. 

  3. Baek, E. K., & Choi, E. J. (2015).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l18(4), 267-275. 

  4. Bae, Y. R. (1999). The degree of clinical nurses'perception of hospice care and their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hospice patient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Chi, K. A., & Kim, E. J. (2005).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3), 285-291. 

  6. Cho, H. J., & Kim E. S. (2005).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2), 163-172. 

  7. Choi, Y. Y., & Kim, B. H. (201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death in elderly. The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International Conference, 144(1 page). 

  8. Frommelt, K. H. M. (1991).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8(54), 34-37. 

  9. Han, H. S. (2007). Role accomplishmen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ce nurse. Unpublished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Hong, E. M., Jun, M. D., Park, E. S., & Ryu, E. J. (2013).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3(4), 265-272. 

  11. Ji, S. l., & You, H. S. (2014).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17(4), 232-240. 

  12. Jo, K. H., Park, A. R. Lee, J. J., & Choi, S. J. (2015). The effect of suffering experience, empathy ability, caring.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18(4), 276-284. 

  13. Joung, B. R., & Park, H. O. (2016).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 1-12. 

  14. Kang, S. Y., & Lee, B. S. (2001).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2), 237-249. 

  15. Kim, B. H., Chon, M. Y., & Kang, H. J. (1997). A study on the death orientation of hospice care memb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9(3), 453-461. 

  16. Kim, J. H. (2009). The job stress, perception, and training needs on the end-of-life care among cancer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Kim, M. A. (2006). The perception of death to life style, quality of life, spiritual health in adu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8. Kim, S. H., Choi, Y. S., Shin, S. W., Chong, M. K., Lee, S. N., Lee, S. W., et al. (2006).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hysicians based on the 2004 hospice palliative model project for terminal cancer,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9(2), 67-76. 

  19. King, P. A., & Thomas, S. P. (2013). Phenomenological study of ICU nurses' experiences caring for dying pati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5(10), 1292-1308. 

  20. Kwon, H. J. (1989). Perceptions of spiritual nursing care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9(3), 233-239. 

  21. Lee, H. Y., Lee, Y. O., Choi, E. Y., & Park, Y. M. (2007).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7(1), 26-35. 

  22. Park, S. J., & Choi, S. H. (1996).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s of Nursing, 3(2), 285-297. 

  23. Peak, S. H., Lee, M. A., & Kim, I. H. (2001). A study on change in death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 nurses: comparison of pre and post hospice care cla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s of Nursing, 8(3), 357-365. 

  24. Rooda, L. A., Clements, R. & Jordan, M. L. (1999). Nurses'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ogy Nursing Forum, 26(10), 1683-1687. 

  25. Sontag, M. A. (1996). Hospices as providers of total care in one western state. The Hospice Journal, 11(3), 71-94. 

  26. Statistics Korea. (2010, Jun 20). Cause of death. Retrieved July 10, 2016, from http://www.kostat.go.kr. 

  27. Yi, Y. H., & Yang, H. M. (2015). Nurse's grief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bereavement/end-of-life care of families of dyi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45-10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