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자추출물의 골격근 세포에서의 에너지 조절 작용

Effect of Aconitum carmichaeli Debx on Energy Metabolism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6 no.2, 2016년, pp.109 - 115  

송미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ll anti-obesity drugs currently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ork by reducing energy intake. In fact, no approved drug targets energy expenditure. In Korean medicine, it is known to Qi or Yang invigorating therapy could increase energy metabolism. Aconitum carm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ACC는 AMPK 하위신호전달 단백질인 ACC의 발현량을 평가하여, 부자의 AMPK 활성 경로를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ACC 및 pACC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부자 1.
  • 그 결과 황기11), 육계, 부자12), 백출13)의 골격근 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조절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부자(Aconitum carmichaeli Debx)는 골격근 세포에서 adenosine triphosphate (ATP) 생성을 증가시키고, 세포내 당 대사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지만12),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관련 및 에너지 조절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 확인을 통해 부자의 생체 에너지 조절 효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부자의 PGC-1α의 활성화 작용에 AMPK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MPK 및 pAMPK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 . 이에 저자는 보기 혹은 보양 약물의 추동 및 온후 작용이 에너지 대사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연구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한약 중 특히 보기, 보양 약물을 중심으로 에너지 대사 조절 효능을 연구하여 왔다. 그 결과 황기11), 육계, 부자12), 백출13)의 골격근 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조절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치료의 방법은? 비만 및 비만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합병증들에 관한 위험성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비만치료제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비만치료의 방법은 크게 ‘에너지 흡수(energy intake) 억제’ 또는 ‘에너지 소비(energy expenditure) 증가’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3). 현재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승인된 비만 치료제는 중추 신경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시키는 식욕억제제 또는 위장관에서 지방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이며, 에너지 소비 증가 효능으로 승인된 약물은 없는 상황이다4).
안정적인 비만 치료를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 증가를 통한 항비만 작용의 약물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비만치료의 방법은 크게 ‘에너지 흡수(energy intake) 억제’ 또는 ‘에너지 소비(energy expenditure) 증가’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3). 현재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승인된 비만 치료제는 중추 신경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시키는 식욕억제제 또는 위장관에서 지방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이며, 에너지 소비 증가 효능으로 승인된 약물은 없는 상황이다4). 식욕억제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므로 향 정신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식욕 억제제를 통한 장기간의 식이제한 시 인체 항상성 조절 기전으로 기초대사율이 저하되어 체중 감량 효과가 점차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비만 치료를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 증가를 통한 항비만 작용의 약물 개발이 필요하다3).
골격근은 어떤 기관인가? 한편 골격근은 미토콘드리아가 가장 풍부한 조직으로 에너지 대사 및 열생산의 핵심기관이며 당 및 지방산 대사 조절을 통해 비만 및 2형 당뇨병 발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관이다3-6). 골격근 내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는 세포 에너지 대사의 핵심 인자로 지방산 산화를 조절하고,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Internet]. Geneva: WHO; [cited 2016 Oct 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2. Statistics Kore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6 Nov 1].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05. 

  3. Tseng YH, Cypess AM, Kahn CR. Cellular bioenergetics as a target for obesity therapy. Nat Rev Drug Discov. 2010 ; 9(6) : 465-82. 

  4. Daneschvar HL, Aronson MD, Smetana GW. FDA-approved anti-obesity drugs in the United States. Am J Med. 2016 ; 129(8) : 879.e1-6. 

  5. Krssak M, Petersen KF, Dresner A, DiPietro L, Vogel S, Rothman D, et al. Intramyocellular lipid concentrations are correlated with insulin sensitivity in humans: a 1H NMR spectroscopy study. Diabetologia. 1999 ; 42 : 113-6. 

  6. Greco AV, Mingrone G, Giancaterini A, Manco M, Morroni M, Cinti S, et al. Insulin resistance in morbid obesity reversal with intramyocellular fat depletion. Diabetes. 2002 ; 51 : 144-51. 

  7. Liang H, Ward WF. Pgc- $1{\alpha}$ : a key regulator of energy metabolism. Adv Physiol Eudc. 2006 ; 30 : 145-51. 

  8. Koh HJ, Brandauer J, Goodyear LJ. LKB1 and AMPK and the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metabolism.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08 ; 11(3) : 227. 

  9. DC Wallace. Mitochondria as chi. Genetics. 2008 ; 179(2) : 727-35. 

  10. Bae BC. Basic Korean medicine. Seoul : Seongbosa. 1997 : 385-416. 

  11. Song MY. The effect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on mitochondrial function in C2C12 myotubes. J Korean Med Obes Res. 2014 ; 14 : 55-62. 

  12. Song MY. The effects of Cinnamomum cassia Blume, Aconitum carmichaeli Debx, and Pueraria lobata Benth on glucose and energy metabolism in C2C12 myotubes. J Korean Med Obes Res. 2015 ; 15 : 131-6. 

  13. Song MY, Kang SY, Oh TW, Kumar RV, Jung HW, Park YK. The roo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enhance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C2C12 myotubes via mitochondrial regulatio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 ; 2015 : 643654. 

  14. Lin J, Handschin C, Spiegelman BM. Metabolic control through the PGC-1 family of transcription coactivators. Cell Metab. 2005 ; 1(6) : 361-70. 

  15. Richard C. Scarpulla. Metabolic control of mitochondrial biogenesis through the PGC-1 family regulatory network. Biochim Biophys Acta. 2011 ; 1813(7) : 1269-78. 

  16. Reipert S, Berry J, Hughes MF, Hickman JA, Allen TD. Changes of mitochondrial mass in the hemopoietic stem cell line FDCP-mix after treatment with etoposide: a correlative study by multiparameter flow cytometry and confocal and electron microscopy. Exp Cell Res. 1995 ; 221 : 281-8. 

  17. Foretz M, Carling D, Guichard C, Ferre P, Foufelle 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hibits the glucose-activated expression of fatty acid synthase gene in rat hepatocytes. J Biol Chem. 1998 ; 273 : 14767-71. 

  18. Choi SH. The pathology of Korean medicine. Seoul : Iljoongsa. 1997 : 310-8. 

  19. Moon JS, Kang BG, Ryu EK, Choi SM. A study of syndrome of index differentiation in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07 ; 7(1) : 55-69. 

  20. Kim SJ, Shin SW, Kim HJ. Obesity from the view point of metabolic rate. J Korean Med Obes Res. 2003 : 3(1) : 95-105. 

  21.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ational university of Korean medicine. Herbology. Seoul : Yeonglimsa. 1991 : 121-3, 333-4. 

  22. Roh C, Jung U. Screening of crude plant extracts with antiobesity activity. Int J Mol Sci. 2012 ; 13(2) : 1710-9. 

  23. Kang BK, Kim EK, Kim IS, Hwang TO, Lee SW, Lee SK, et al. Effects of buja.padu.daehwang.seokgo extract on UCPs expression in mic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7 ; 21(6) : 1407-10. 

  24. Wang Z, Wen J, Xing J, He Y.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terpenoid alkaloids in four species of Aconitum by HPLC. J Pharm Biomed Anal. 2006 ; 40(4) : 103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