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1, 2016년, pp.14 - 24  

신소홍 (경북과학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suffered by college nursing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Methods: For this survey, 257 students (1st and 2nd year) participated, and it was performed over two weeks in Sep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비교적 학업스트레스에 잘 노출될 수 있는 1,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이 스트레스 해소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간호대학생은 과중한 학습량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교육과정으로 타과학생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므로(Son, Choi, & Song, 2010), 부정적 정서를 예방하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방안이 필요하다(Cha, 2013). 즉 지나친 스트레스 경험은 학업부진뿐만 아니라 향후 간호사 직무수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지나친 스트레스 경험을 사전에 예방해야 하는 이유는? 간호대학생은 과중한 학습량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교육과정으로 타과학생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므로(Son, Choi, & Song, 2010), 부정적 정서를 예방하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방안이 필요하다(Cha, 2013). 즉 지나친 스트레스 경험은 학업부진뿐만 아니라 향후 간호사 직무수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그렇지만 학업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조절변인을 투입한 연구는 많지 않았는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Joo, Lee, & Cho, 2012), 자기주도성 (Kim, Kim, & Yim, 2013), 사회적지지(Lee, Oh, & Byun, 2013), 성역할 고정관념(Jwa, 2014) 정도가 파악되었다. 이에 학업스트레스 감소요인을 살펴 본 결과, 학업탄력성이 공부의 실패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다루며 학교생활적응을 도모하고(Bae & Park, 2014), 학습의 부적응과 어려운 상황에서 이를 이겨내는 극복의 힘으로 나타났다(Kim, 2008). 탄력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적 영향력을 조절해 줄 수 있는데, 선행 연구에서 학업탄력성은 학교폭력 피해 시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아탄력성은 우울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Cho, & Rim, 2013). 이상을 종합해 보면 학업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간 조절 변인으로서의 역할이 일관되지 않으므로 본 연구는 학업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B. H. (2007).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n academic stress : Th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do. 

  2. Bae, Y. J., & Park, S. Y. (2014). Study on predictors of academic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615-1622. 

  3. Beak, M. W. (2012). The study of stress on academic job-seeking, somatic symptom and coping methods of nursing students.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3(3.4), 131-143. 

  4. Cha, N. H.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s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77-185. 

  5. Cho, O. H., Hwang, K. H., & Park, H, S. (2015). The relationships among freshman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2), 121-129. 

  6. Chon, K. K., Choi,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7. Jeon, H. O. (2014).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7), 312-323. 

  8. Joo, Y. J., Lee, J. W., & Cho, S. Y. (2012).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valu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8(1), 73-92. 

  9. Ju, S. J. (2011)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of resilience in relations between stress caused by study and parents that adolescents perceive and internet addi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1), 61-83. 

  10. Jwa, H. S. (2014).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2), 334-366. 

  11. Kang, J., Ko, Y. K., Lee, H., Kang, K., Hur, Y., Lee, K., et al. (2013). Effects of self-esteem and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korean students in health care profess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1), 56-64. 

  12. Kim, J. S., Cho, S. W., & Rim, Y. A. (2013).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causal relationship on experiences of school bullying, depression, academic stress.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Social Work, 26, 241-268. 

  13. Kim, M. H. (2014).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on mental health : The moderating role of academic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Gyeongsangnam-do. 

  14. Kim, N. R.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scale of academic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S. H., Kim, Y. S., & Yim, H. R. (2013).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 339-368. 

  16. Koo, K. H., & Kim, S. W. (2014).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4(8), 69-89. 

  17. Lee, H. I. (2010).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2), 109-118. 

  18. Lee, M. H., & Park, M. S. (2014), Sense of coherence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863-872. 

  19. Lee, Y. M. (2014). A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inking Development, 10(4), 79-101. 

  20. Lee, W. S., Oh, Y. J., & Byun, D. Y. (2013). The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 Testing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7, 45-70. 

  21. Oh., H. K., & Kim, S. H.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youth academic resilience scale.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1), 47-63. 

  22. Park, H. S., Bae, Y. J., & Jung, S. Y. (2002). A study on self-esteem, self-efficacy, coping methods, and the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621-631. 

  23. Park, J. Y., & Kim, J. K. (2014).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university student's suicide and depress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pathway of family and friend's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 167-189. 

  24. Park, J. Y., & Kim, N. R.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non-traditional student.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3), 215-239. 

  25. Park, J. Y. (2011). Stress, stress response and influencing factors on resilience among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nam University, Jeollabuk-do. 

  26. Ryu, J., & Choi, N, H. (2014).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stress and life orientation, social support, self-evaluation in nursing college freshmen.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0(9), 93-111. 

  27. Schaufeli, W. B., Martinez, I. M., Pinto, A. M., Salanova, M., & Bak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28. Shin, S. H. (2014). The influence from the academic stress by the achievement pressure of their parents and adjustment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1), 6756-6766. 

  29. Son, H. J. (2015). Ways of coping and academic resilience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won-do. 

  30. Son, Y. J., Choi, E, Y., & Song, Y. 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4), 345-351. 

  31. Yu, S. J., Song, M. R., & Kim, E. M. (201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