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영적간호모듈'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Effect of The Spiritual Care Modul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1, 2016년, pp.51 - 62  

정진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경인여자대학교) ,  조현숙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김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piritual care module education programs by applying it to nurses. Method: The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a quasi-experimental basis. Subjects were 93 nurses (46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47 in a con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간호대학의 간호학사학위 과정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4년도에 출간된 ‘영적간호 모듈’ 책자를 활용하여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영적 간호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영적간호모듈’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 2가설: ‘영적간호모듈’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 요구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 3가설: ‘영적간호모듈’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 안녕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의 초점은 무엇을 추구하는가? 간호에서 보는 인간이해의 관점은 인간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영적 차원의 영역과 관련된 총체적 존재로써 각 영역들이 상호 통합적으로 반응하는 개별적인 인간으로 보고 있다. 또한 간호의 초점은 인간 삶의 모든 상태에서 나타나는 총체적인 건강반응에 관심을 갖는 총체적 건강관리 형태를 추구한다. 이러한 총체적 건강관리 형태가 전인간호이며, 간호에서 추구하는 목표이기도 하다(Chun, 1986).
영적간호의 주된 목표인 환자의 영성 강화인데 영성이란 무엇인가? 영적간호의 주된 목표는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이 영적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돕는 것으로 자신이 영적 존재임을 깨닫는 순간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Lee, 1998). 영성은 종교적인 신념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것 이상의 인간의 내적자원의 총체로서 자신, 타인 및 상위존재와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유지하며, 신체, 영혼, 마음을 통합하는 에너지, 존재에 대한 의미와 목적의 주관, 당면한 현실을 초월하여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 된다(Choi, 1990). 영성의 강화는 심리사회적 안녕의 효과로 간호사 자신의 돌봄뿐만 아니라 대상자를 전인적으로 돌보는 역량을 계발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Seo, Yong, Park, & Kim, 2014).
간호에서 보는 인간이해의 관점은 무엇인가? 간호에서 보는 인간이해의 관점은 인간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영적 차원의 영역과 관련된 총체적 존재로써 각 영역들이 상호 통합적으로 반응하는 개별적인 인간으로 보고 있다. 또한 간호의 초점은 인간 삶의 모든 상태에서 나타나는 총체적인 건강반응에 관심을 갖는 총체적 건강관리 형태를 추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un, S. C. (1986). Theory and strategy of clinical nursing.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2. Chung, M. J., & Eun, Y. (201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based on ASSET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41(5), 673-683. 

  3. Choi, S. S.(1990).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4. Howden, J. W. (199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Denton, Texas. 

  5. Hoover, J. (2002).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impact of undertaking an educational module on human car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7(1), 79-86. 

  6. Jung, J. S., & Folta, R. H. (1995). Spiritual care-christian medical personnel/christian nurse's role. Seoul: Hyunmoonsa. 

  7. Kang, J. H. (1996). An investigat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Pusan University of Korea, Pusan. 

  8. Kim, M. W., Park, J. M., & Han, A. K. (2011). Analysis of curriculum of 4-year nursing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414-423. 

  9. Kim, S. J. (1980). Spiritual care: nurse's rol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press. 

  10. Koh, M. S. (2003). A study of nursing students' spiritual care experienc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2), 175-185. 

  11. Kwon. S. H. (2011). Research for educational technology (3rd ed.). Paju: Yangseowon. 

  12. Lee, M. R. (1998). Introduction to spiritual care. Seoul: Hyunmoonsa. 

  13. Lee, W. H., Kim, S. H., Kim, J. N., Kim, H. J., Min, S., Lee, M. R., et al. (2014). Spiritual care module. Seoul: Hyunmoonsa. 

  14. Lim, S. S. (2009). A study of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Han-y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5. Lovanio, K., & Wallace, M. (2007). Promoting spiritual knowledge and attitudes: a student nurse education project. Holistic Nursing Practice, 21(1), 42-47. 

  16. Lundmark, M. (2006). Attitude to spiritual care among nursing staff in a Swedish oncology clinic.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 863-874. 

  17. Oh, P. J., Chun, H. S., & So, W. S. (2001).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Asian Oncology Nursing, 1(2), 168-179. 

  18. Oh, S. E. (2014, winter).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 spirituality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43 Anniversary, Seoul, Korea. 

  19. Paloutzio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man(Eds). Loneliness :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pp.224-236). New York: John Wiley & Sones. 

  20. Ra, J. R. (2011). Effects of a spiritually based training program on the spiritual and psychosocial well-being, and leadership of preceptor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1. Seo, I. S., Yong, J. S., Park, J. Y., & Kim, J. H. (2014). Spiritual and psychosocial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o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6), 726-734. 

  22. Shih, F. J., Gau, M. L., Mao, H. C., Chen, C. H., & Kao Lo, C. H. (2001). Empirical validation of a teaching course on spiritual care in Taiw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3), 333-346. 

  23. Taylor, E. J., Mamier, I., Bahjri, K., Anton, T., Petersen, F. (2009). Efficacy of self-study programme to teach spiritu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8), 1131-1140. 

  24. Timmins, F., Murphy, M., Neill, F., Begley, T., & Sheaf, G. (2015). An exploration of extent of inclusion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concepts in core nursing textbooks. Nurse Education Today, 35, 277-282. 

  25. van Leeuwen, R., Tiesinga, L. J., Middel, B., Post, D., & Jochemsen, H. (2007).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In R. van Leeuwen (Ed.). Towards nursing compentencies in spiritual care(pp.131-151).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press. 

  26. van Leeuwen, R., Tiesinga, L. J., Middel, B., Post, D., & Jochemsen, H. (200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instrument to assess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2857-286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94.x 

  27. Yang, Y. E. (2009). Relationship among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need and burnou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8. Yong, J. S., Kim, J. H., Han, S. S., & Puchalski, C. M.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assessing spiritual needs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Palliative Care, 24(4), 240-246. 

  29. Yoon, K. M. (2001). Spiritual care: a guide for caregivers. Seoul: IV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