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공방법을 달리한 오미자 분말차의 품질 특성 분석
Evalu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Powder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1, 2016년, pp.42 - 47  

이현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성준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최지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조정석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영민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의 이용성 확대를 위한 건조 가공 제품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생오미자 및 건조오미자를 이용하여 착즙, 추출, 동결건조, 과립성형 및 분무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오미자분말차를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G, EG 및 ES의 총가용성고형분 함량 및 탁도의 경우 다른 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H 측정 결과 PG 및 EG가 다른 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G 및 EG의 색도 측정 결과 다른 구에 비해 높은 $L^*$값, 낮은 $a^*$값 및 $b^*$값으로 나타나 오미자의 가공 형태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PG 및 EG의 경우 다른 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환원당 함량, 낮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낮은 항산화활성, 낮은 총 안토시아닌 함량 및 낮은 schizandrin 함량을 보여 오미자의 가공 형태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 PG 및 EG는 낮은 붉은색 정도, 낮은 탁도 정도, 낮은 신맛 정도, 높은 쓴맛 정도 및 높은 단맛 정도를 보였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 PG 및 ES의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붉은색과 항산화 활성, 안토시아닌 및 schizandrin 함량이 우수한 오미자 분말 제품을 위해 과립차보다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분말차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typ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powder tea. Raw Omija was prepared in three ways: 1) freeze-dried powder of whole Omija (FD), 2) freeze-dried powder of pressed Omija juice (PF), and 3) granules of pre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오미자를 이용한 건조가공제품은 다양한 제품으로의 적용이 쉬워 오미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유통 형태인 생오미자 및 건조오미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말 형태의 오미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오미자 건조가공제품으로서의 오미자 분말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의 유통형태는 어떠한가? 하지만 오미자의 건조 제품에 관한 연구로는 건조오미자(11,12), 분무건조오미자차(13,14) 등으로 오미자를 이용한 건조 가공제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오미자는 크게 생오미자, 냉동오미자, 건조오미자 등으로 유통되며(15), 오미자를 착즙 또는 추출하여 음료나 차의 형태로 가공한다면 쉽게 기능성 성분의 섭취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오미자를 이용한 건조가공제품은 다양한 제품으로의 적용이 쉬워 오미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다양한 오미자분말차 형태 중 항산화 활성, 색소 함량이 우수한 제품을 위한 형태는 무엇인가? 또한 관능검사 결과 PG 및 EG는 낮은 붉은색 정도, 낮은 탁도 정도, 낮은 신맛 정도, 높은 쓴 맛 정도 및 높은 단맛 정도를 보였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 PG 및 ES의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붉은색과 항산화 활성, 안토시아닌 및 schizandrin 함량이 우수한 오미자 분말 제품을 위해 과립차보다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분말차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오미자의 기능성 성분은 무엇인가? 0%에 달하는데 그 중 구연산(citric acid)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말산(malic acid)이 풍부하며, 이러한 유기산들이 오미자 음료 특유의 신맛과 향기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오미자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시산드린(schisandrin), 시산드란(schisandran), 감마시잔드린(γ-schizandrin), 에타미그레날(ethamigrenal), 고미신(gomisin)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오미자 종자의 고미신 유도체들이 높은 항산화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2). 오미자는 안토사이아닌에 의해 선명한 붉은색을 나타내고, 각종 음료, 차, 추출물, 주류 등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3), 이 외에도 요쿠르트, 김치, 두부, 고추장, 소스, 정과, 발효주 등 다양하게 오미자의 기능성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4-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YM, Kim DH, Yum CA. Changes in flavor component of omija, Shizandra chinensis baillon, with various extraction times. Korean J. Food Cook. Sci. 7: 27-31 (1991) 

  2. Sung KC.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8: 290-298 (2011) 

  3. Kim MJ, Park EJ.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87-493 (2010) 

  4. Hong KH, Nam ES, Park SI.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rinkable yoghurt added water extra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Nutr. 17: 111-119 (2004) 

  5. Moon YJ, Park S, Sung CK.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for the delayed ripening kim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Nutr. 16: 7-14 (2003) 

  6.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87-1092 (2000) 

  7. Kim YS, Park YS, Lim MH.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s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93-897 (2003) 

  8. Kim HD.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demiglace sauce with added omija. Korean J. Culin. Res. 12: 119-133 (2006) 

  9. Kwon HJ, Park CS.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llflower and lotus root jeonggwa add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Korean J. Food Presev. 16: 53-59 (2009) 

  10. Lee SH, Kim MH.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omija wines made by different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2-187 (2009) 

  11. Choi YH, Cheong YK, Park KH, Park MS. Changes of quality in 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8: 351-355 (2001) 

  12. Jung GT, Ju IO, Choi JS. Studies on drying and preserv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 Korean J. Food Preserv. 5:217-223 (1998) 

  13. Lee SJ, Kwon YA, Mok CK, Park JH. Interfacial properties of spray-dried omija (fruit of Schizandra chinensis) tea. Food Eng. Prog. 4: 51-54 (2000) 

  14. Mok CK. Quality improvement of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owder by roasting of omija and by adding of grape juice. Food Eng. Prog. 9: 125-132 (2005) 

  15. Park EJ, Ahn JJ, Kim JS, Kwon JH. Antioxidant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t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67-674 (2013) 

  16. Kwon YR, Youn KS.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nule tea prepared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powder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19: 525-531 (2012) 

  17.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18.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9. Giusti MM, Wrolstad RE.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pry. Wiley. New York. NY. USA. pp. F1.2.1-F1.2.13 (2001) 

  20. Lee BK, Shin HH, Jung JH, Hwang KT, Lee YS, Kim TY. Anthocyanins,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raspberry exud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5-130 (2009) 

  2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2.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23. Brtlov M, Opletal L, Chobot V, Sovova H.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J. Chromatogr. B. 770: 283-289 (2002) 

  24. Chranioti C, Chanioti S, Tzia C. Comparison of spray, freeze and oven drying as a means of reducing bitter aftertaste of steviol glycosides (derived from Stevia rebaudiana bertoni plant)-Evaluation of the final products. Food Chem. 190: 1151-1158 (2016) 

  25. Horszwald A, Julien H, Andlauer W. Characterisation of aronia powders obtained by different drying processed. Food Chem. 141: 2858-2863 (2013) 

  26. Chang YE, Kim JS.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80-1687 (2011) 

  27. Cho SB, Kim HJ, Yoon JI, Chun HS.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3-27 (2003) 

  28. Chung KW, Joo YH, Lee DJ. Content and color difference of anthocyanin by different storage period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Korean J. Int. Agric. 16: 196-199 (2004) 

  29. Laokuldilok T, Kanha N.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powder properties of black glutinous rice (Oryzasativa sativa L.) bran anthocyanins produced by spray drying and freeze drying. LWT Food Sci. Technol. 64: 405-411 (2015) 

  30. Kim YJ, Ha N, Han SH, Jeon JY, Hwang MH, IM YJ, Lee SY, Chae SW, Kim MG. Confirmation of schizandrin as a marker compound in Jangsu omij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44-24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