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복의 형태적 특성 분석에 따른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
Modern Fashion Design Development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nbok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2, 2016년, pp.134 - 147  

박명희 (건국대학교 의상 디자인학과) ,  심상보 (건국대학교 의상 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stay of modern fashion design has always been Western costumes. Though Asian costumes do get featured in collections at times, most instances are just instances of the western culture showing curiosity toward non-mainstream costumes. Until recently, Japan, which has been the most active 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끊임없이 새로운 스타일이 출현하는 현대 복식에서 한복에 근거한 디자인에 대하여 주장 할 수 있는 한복적 디자인 개념을 정리하고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 스타일’이라고 주장할수 있는 기초적인 의복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복의 형태가 형성된 디자인의 근원을 찾아 현대 복식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했다. 연구과정에서 중국, 일본과 다른 한복을 만든 조상들의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 한복은 동아 시아 삼국의 의복 중에서 가장 자연과 가까운 의복이다. 우리 조상들은 자연에 반하는 인위적인 의복을 만들기보다 스스로 자연의 일부가 되어 자연과 어우러지는 의복을 만들고자 했다. 중국이 사람을 중심으로 인체의 형태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치파오를 발전시켜 온 것과, 일본이 이상적인 형상을 만들기 위해 인체의 형태를 왜곡하고 직선적이거나 과장된 기모노를 발전시켜 온 것에 비하여, 한복은 사람이 자연과 어우러지는 지점을 찾아 의복의 형태를 구현하고, 의복을 입는 사람의 신체와 취향에 따라 가변적인 연출이 가능하도록 발전하였다.
  • 한국, 중국, 일본의 의복디자인 발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삼국의 대표적인 복식인 한국의 한복, 중국의 치파오, 일본의 기모노를 중심으로 의복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Son, 2007). 한중일 삼국의 복식은 모두 카프탄형의 유사한 복식을 기원으로 하지만 역사적 상황과 풍토성, 문화 발전에 영향을 받아 각각 다른 형태로 발전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의 범위를 과거 어느 시대로 규정하지 않고 현재의 관점에서 한중일 삼국의 전통복식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고 형태와 디자인 특성을 정리하여 개발에 응용한다. 이번 연구는 의복디자인의 요소인 색과 소재, 형태, 디테일 중에서 형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색과 문양 디테일은 디자인 개발에 고려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복은 무엇을 기본 구조로 하는가? 한복은 유(襦:저고리), 고(袴:바지), 상(裳:치마), 포(袍:두루마기)를 기본 구조로 한다. 한복은 상하 의가 분리된 형태이며 이것은 기마민족인 북방계의 복식의 특징이다.
옷감을 어떻게 사용하여 인체를 감쌀 것인가의 생각으로 어떠한 관점이 있는가? 의복 디자인은 사람의 몸을 옷감으로 감싸는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다. 옷감을 어떻게 사용하여 인체를 감쌀 것인가의 대한 생각은 의복중심과 인체 중심, 두 가지 관점이 있다(Kim & Kim, 1991). 의복 디자인의 재료가 되는 원단은 자연에서 얻어지며, 의복 디자인의 목적이 되는 것은 사람의 몸이다.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세계인들로 하여금 동아시아 스타일이라고 포괄하여 인식하던 개념에서 일본 스타일이라는 개념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는가? 그들이 표현한 디자인에는 한중일 삼국 전통복식의 특징이 모두 담겨 있으며 이런 이미지의 의복 디자인을 세계 사람들은 일본 스타일이나 중국 스타일로 인식해 왔다. 그런데 1980년대 일본 디자이너들이 보여준 컬렉션은 지금까지 서양 디자이너들이 보여준 동양 스타일과 전혀 다른 디자인 발상의 스타일이었다. 그런 이유로 세계인들은 동아시아 스타일이라고 포괄하여 인식하던 개념에서 일본 스타일이라는 개념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H. S. (2003). Our Hanbok, two thousand years. Seoul, Korea: Seminar materials of Arumjigi foundation. 

  2. Choi, S. E. (2002).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Korea Society for Science of Eastern Art, 6, 317-349. 

  3. Choi, Y. (2007). An Aesthetic analysis of the modern Chipao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 Gu, A., & Lee, S. H. (1992). A Study of the transitional Development of Buttons and Buttonho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8, 247-267. 

  5. Hong, N. Y., Kim, C. j., You, H. K., & Lee, J. H. (1999). A Study on Comparative Culture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ultural Heritage Style in Asia (2).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17, 315-334. 

  6. Kim, Y. H., & Kim, M. J. (1991). The Form of Oriental Dress Depicted on the 20th Century Western Fashion(I).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1). 1-12. 

  7. Kim, M. J. (2009). Finding the Je-daum of Korean Fashion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Press. 

  8. Lee, J. M., & Kim, M. J. (2006).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5), 132-149. 

  9. Namgung, M. J. (199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folkcostume in the modern Japanese fash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0. Park, C. S., & Cho, W. H. (2002). Chinese Minority Costume.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11. Ryu, H. K., Kim, M. J., Cho, H. S., Park, M. Y., Shin, H, S., Kim, Y. J., & Choi, E. S. (2008). 2000 Years of Korean Fashion and Culture. Seoul, Republic of Korea: culture of art. 

  12. Soh, H. O. (2002). Korean costume's association with a foreign culture.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f Korean Studies, 1, 476-487. 

  13. Son, W. S. (2007). National Identities of Korea, China, and Japanese Depending on the Traditional Costume.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34, 301-336. 

  14. You, Y. (2012). A study on Chi-pao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change process of Chi-pao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