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노출된 소아 환자의 예방 조치
Post-exposure Prophylaxis against Varicella Zoster Virus in Hospitalized Children after Inadvertent Exposure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3 no.3, 2016년, pp.180 - 187  

양송이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임지희 (서울대학교병원 감염관리센터) ,  김은진 (서울대학교병원 감염관리센터) ,  박지영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윤기욱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환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은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병원 내에서 의도치 않게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 감염 환자에 노출된 의료진과 소아 입원 환자의 사례를 대상으로 노출 후 예방 조치와 그에 따른 2차 수두 감염 발생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수두 혹은 대상포진 환자중 초기에 적절한 격리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례와 노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노출자의 VZV에 대한 면역력과 면역 저하 상태의 유무에 따라 노출 후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하여 사례 환자와 노출자들의 임상 정보 및 2차 감염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2010년부터 2015년까지 147명의 VZV 감염 환자가 입원하였고 이 중 의도치 않게 노출되었던 환자는 13명이었다. 이 중 5명(38.5%)의 사례 환자는 수두 백신 접종력이 확인되었다. 총 86명의 환자가 다인용 병실에서 사례 환자에 노출되었고, 62.8% (54/86)에서 VZV에 대한 면역력이 있었다. 27명의 노출 환자에게 노출 후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으며, VZIG를 투약받은 환자는 23명이었고 수두 백신을 접종받은 환자는 4명이었다. 2차 수두가 발병한 환자는 4명으로, 예방 조치를 받지 않은 소아 1명과 예방 조치를 받은 27명 중 3명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모두 한 명의 사례 환자에게 노출되었다. 2차 수두 감염률은 4.7% (4/85)이었고, 노출 후 예방 조치를 받은 환자 중 2차 감염률은 11.1% (3/27)이었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2차 수두 감염률은 1.9%, 면역 저하 환자에서는 9.7%이었다. 결론: 수두의 진단이 지연되면 병원에서 VZV에 노출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감수성이 있는 소아나 면역 저하자에게 수두가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VZV에 대한 면역력 여부를 기반으로 노출 후 예방 조치 여부를 결정하는 국내 기준의 적정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described the post-exposure prophylaxis (PEP) and secondary varicella infection in children inadvertently exposed to varicella zoster virus (VZV) in the hospital.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rom patients with VZV infection who were initially not properly isol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내에서 격리되지 않던 입원 환자에게 수두나 대상포진이 발생하여 다른 환자들에게 VZV를 노출시켰던 사례를 조사하여 노출 후 예방 조치 및 2차 수두감염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수두 혹은 대상포진으로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소아로 인하여 의료진과 입원한 소아가 노출된 사례를 대상으로 노출자의 VZV 면역력 여부에 따른 예방 조치 시행 방법과 그에 따른 경과 및 수두발생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두는 어떤 증상을 동반하는가 VZV에 의한 일차 감염인 수두는 가려움을 동반하는 다양한 단계의 수포 발진, 미열 및 다른 전신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수두의 증상은 어린 소아보다는 청소년이나 성인에서 더 심한 경향이 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는 인간 알파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속하며,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이 유일한 감염원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파는 수두 환자의 수포액에 직접 접촉,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 전파 및 대상포진 병변에 접촉 등을 통하여 일어난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전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는 인간 알파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속하며,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이 유일한 감염원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파는 수두 환자의 수포액에 직접 접촉,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 전파 및 대상포진 병변에 접촉 등을 통하여 일어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Varicella vaccination. In: Kim KH, editor. Immunization guideline. 8th ed.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5:163-76. 

  2. Ross AH. Modification of chicken pox in family contacts by administration of gamma globulin. N Engl J Med 1962;267:369-76. 

  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Varicella-zoster infections. In: Kimberlin DW, Brady MT, Jackson MA, Long SS, editors. Red book: 2015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30th ed. Elk Grove Villag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5:846-60. 

  4. Choi EH. Varicella vaccine. Hanyang Med Rev 2008;28:30-6. 

  5.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of varicella: recommendations for use of varicella vaccines in children, including a recommendation for a routine 2-dose varicella immunization schedule. Pediatrics 2007;120:221-31. 

  6. Adler AL, Casper C, Boeckh M, Heath J, Zerr DM. An outbreak of varicella with likely breakthrough disease in a population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8;29:866-70. 

  7. Shinjoh M, Takahashi T. Varicella zoster exposure on paediatric wards between 2000 and 2007: safe and effective post-exposure prophylaxis with oral aciclovir. J Hosp Infect 2009;72:163-8. 

  8. Marin M, Guris D, Chaves SS, Schmid S, Seward JF;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revention of varicella: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Recomm Rep 2007;56(RR-4):1-40. 

  9. Arvin A. Varicella-zoster infections. In: Long S, Pickering L, Prober C, editors. Principles and practice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7:1144-54. 

  10. Kwak BO, Kim DH, Lee HJ, Choi EH. Clinical manifestations of hospitalized children due to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3;20:161-7. 

  11. Marshall HS, McIntyre P, Richmond P, Buttery JP, Royle JA, Gold MS, et al. Changes in patterns of hospitalized children with varicella and of associated varicella genotypes after introduction of varicella vaccine in Australia. Pediatr Infect Dis J 2013;32:530-7. 

  12. Kim SH, Lee HJ, Park SE, Oh SH, Lee SY, Choi EH. Seroprevalence rate after one dose of varicella vaccine in infants. J Infect 2010;61:66-72. 

  13. Choe YJ, Yang JJ, Park SK, Choi EH, Lee HJ. Comparative estimation of coverage between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vaccines and non-NIP vaccine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3;28:1283-8. 

  14. Choi EH. Varicella vaccination: worldwide status and provisional updated recommendation in Korea.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1-8. 

  15. Galil K, Lee B, Strine T, Carraher C, Baughman AL, Eaton M, et al. Outbreak of varicella at a day-care center despite vaccination. N Engl J Med 2002;347:1909-15. 

  16. Langley JM, Hanakowski M. Variation in risk for nosocomial chickenpox after inadvertent exposure. J Hosp Infect 2000;44:22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