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바닐라 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nilla Sauce with Various Sweetener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7 = no.82, 2016년, pp.36 - 46  

이동규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기쁨 (극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박기홍 (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  최수근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지향적인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바닐라 소스의 제조 시 설탕을 대신하여 감미료의 종류에 따라 자일리톨, 솔비톨, 아세설팜 칼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였다. 감미료를 달리하여 바닐라 소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설탕으로 제조한 소스에서 염도가 가장 낮았고, 당도가 가장 높았으며, 아스파탐으로 제조한 소스에서 당도가 가장 낮았다. pH는 솔비톨을 이용한 소스가 가장 높고, 아스파탐으로 만든 소스가 가장 낮았다. 색도는 아스파탐으로 제조한 소스가 명도와 적색도는 가장 높고, 황색도는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과 점도는 자일리톨로 제조한 소스가 가장 점도가 높고,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색의 강도가 적당하고 단맛과 입안에서의 느낌이 강한 아스파탐으로 제조한 바닐라 소스가 맛과 텍스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설탕을 대신하여 아스파탐을 사용해 바닐라 소스를 제조하면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성인병 예방 및 환자식으로 활용이 가능한 바닐라 소스를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the kinds of sweeteners(xylitol, sorbitol, acesulfame K, aspartame, stevioside) instead of sugar for vanilla sauce to satisfy customers' health need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auce with sugar had lowest salinity, highest sugar content, and sauce with aspartame had lowest s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량 등의 과잉섭취로 인한 비만, 당뇨 등의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환자식에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바닐라 소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바닐라 소스 제조 시 설탕을 대신하여 최근 소비가 증가한 자일리톨, 솔비톨, 아세설팜 칼륨,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을 사용한 바닐라 소스를 제조하여 설탕으로 만든 바닐라 소스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저열량의 감미료를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량 등의 과잉섭취로 인한 비만, 당뇨 등의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환자식에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바닐라 소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바닐라 소스 제조 시 설탕을 대신하여 최근 소비가 증가한 자일리톨, 솔비톨, 아세설팜 칼륨,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을 사용한 바닐라 소스를 제조하여 설탕으로 만든 바닐라 소스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저열량의 감미료를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각종 성인병 예방 및 환자식 등 건강 지향적인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바닐라 소스 제조 시 감미료의 종류(설탕, 자일리톨, 솔비톨,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스테비오사이드)를 달리하여 이화학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미료는 설탕을 기준으로 어떻게 구분되는가? 감미료는 설탕을 기준으로 ‘저감미도 감미료’ 와 ‘고감미도 감미료’, 또는 원료나 제조방법에 따라 ‘당질 감미료’, ‘비당질 감미료’, ‘천연 감미료’, ‘인공 감미료’로 구분된다. 저감미도 감미료 중 당 알코올에는 솔비톨(sorbitol)과 자일리톨(xylitol), 고감미도 감미료 중 인공 감미료는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K), 비당질 천연감미료에는 스테비오사이드, 아미노산계 감미료에는 아스파탐(aspartame)이 있다(오성훈 & 최희숙 2002).
설탕을 대신할 천연감미료를 개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편의식 및 소스류 사용의 증가는 현대인의 생활에 편리함을 가져 왔으나, 비만, 당뇨 등의 성인병의 발병률 또한 증가시켰다(Choi YJ & Kim KO 1990). 디저트 소스에 사용되는 설탕은 대표적인 감미료로 단맛을 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각종 성인병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이에 설탕을 천연감미료 등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설탕 외의 감미료들이 설탕과 유사한 맛을 내지 못하여(Kamel BS & Rasper VF 1988)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대체품의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Song CR et al 2012).
저감미도 감미료 중 당 알코올에는 무엇이 있는가? 감미료는 설탕을 기준으로 ‘저감미도 감미료’ 와 ‘고감미도 감미료’, 또는 원료나 제조방법에 따라 ‘당질 감미료’, ‘비당질 감미료’, ‘천연 감미료’, ‘인공 감미료’로 구분된다. 저감미도 감미료 중 당 알코올에는 솔비톨(sorbitol)과 자일리톨(xylitol), 고감미도 감미료 중 인공 감미료는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K), 비당질 천연감미료에는 스테비오사이드, 아미노산계 감미료에는 아스파탐(aspartame)이 있다(오성훈 & 최희숙 2002). 감미도가 설탕의 약 200배인 아스파탐은 설탕과 가장 유사한 맛을 내고(이용현 & 백승걸 1994), 저칼로리, 비충치성, 깨끗한 감미 등의 특성 때문에 식품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최미경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인수, 김동희, 김정숙, 성태수, 신해헌, 조득문, 조효현 (1995). 현대 식품화학. 지구문화사, 268, 서울. 

  2. 김하윤, 박보람, 한혜민, 유선미, 한귀정 (2013). 조합과 비율의 예술, 양념장. RDA 인터러뱅 제98호, 농촌진흥청, 3-4. 

  3. 오성훈, 최희숙 (2002). 감미료 핸드북. 도서출판효일, 137-146, 서울. 

  4. 이상필 (1999). 기능성 감미료의 특성 및 이용. 주류산업. 한국주류산업협회. 62-72. 

  5. 이용현, 백승걸 (1994). 대체감미료의 개발동향과 주류산업. 한국주류산업협회. 56-69. 

  6. 채수규 (2015). 표준 식품화학. 효일, 서울. 

  7. 최미경 (1995). 대체 감미료에 관한 고찰.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婦學 28:43-46. 

  8. 최수근 (1999). 디저트용 소스의 당도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특 1급 호텔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논문집 12(1):69-81. 

  9. 최수근 (2008). 소스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21-63, 서울. 

  10. 최수근, 조우현, 김동석 (2009). The Sauce. 백산출판사, 239, 서울. 

  11. Bang SK, Son EJ, Kim HJ, Park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of oatmeal cookies made with artificial sweeten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877-884. 

  12. Choi EJ, Lee MH, Oh M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mandarin orange jellies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for consumption by the elderly. Korean J. Food Culture 24(2):212-218. 

  13. Hwang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Sugar Substitute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4. Jo EH, Kim HA, Kim Y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ginse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 of sweetener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3): 248-258. 

  15. Kamel BS, Rasper VF (1988). Effects of emulsifiers, sorbitol, polydextrose, and crystalline cellulose on the texture of reduced-calorie cakes. J Texture Studies 19(3):307-320. 

  16. Kim HA, Lee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made with various sweeteners. J East Asian Dietary Life 22(6):818-825. 

  17. Kim HY, Ko SH, Lee KY, Park HY (2009). Evaluation of quality of glazed spanish mackerel in Teriyaki sauce added lemon and ginger juice by sous vide Cook-Chill system focus on the physicochemical and densory wuality. Korean J Food & Nutr 22(3):470-477. 

  18. Kim KB, Lee JY, Park JS, Choi S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nilla sauce with various levels of sugar. Food Service Indeustry Journal 5(2):89-101. 

  19. Kim MS, Oh SH, Oh PS (1997). Current industrial application of natural sweetener stevioside. Korean J Food Industry and Nutrition 2:48-55. 

  20. Kim SK, Lee SJ (1999). Optimization of cooking conditions of brown sauce by sensory evaluat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1):58-62. 

  21. Lee KH, Lee KI, Lee YN, Park HH (2002).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637-643. 

  22. Naors LO, Gelardi RC (1991). Alternative Sweeterners. 2nd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23. Park YM, Yoon H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using dry non-glutinous rice flour with added various sweeteners. Korean J. Food Cook. Scl 30(5):517-525. 

  24. Ryu DY, Kim DB, Lee KH, Son DS, Surh JH (2012). Influences of sugar substitut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hardness of Baksulgi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5):568-576. 

  25. Song CR, Kim ES, Kim HA, Kim SK, Choi S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different sweetener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2):197-205. 

  26. The 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2004). The Professional Chef, 9th edition. Gardners Books, Eastbourne in United Kingdom. 

  27. Walter GJ, Mitchell ML (1985). Saccharin. In Alternative Sweetener. Nabor LO, Gelardi RC (ed), Marcel Dekker, Inc,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