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렘 콜하스의 뉴욕 프라다 에피센터 분석을 통한 건축, 패션, 그리고 확장된 자율성의 관계성 탐구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Fashion, and an Extended Autonomy through Rem Koolhaas' Prada Epicenter in New York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1 = no.114, 2016년, pp.47 - 55  

백승한 (기안건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explores an extended sense of autonom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ctivated through the practice of fashion, by taking architect Rem Koolhaas' work Prada Epicenter in New York as a case. In doing so, it argues that throughout the work Koolhaas sets up a world in which the corporat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편집본을 통한 프라다 소호의 분석은 3차원적 공간이 2차원적으로 제한된 자료에 의존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그러한 한계를 인지하면서, 본고는 미니어처 모델을 콜하스의 확장된 패션 시스템으로 이해하며, 3차원 공간 디자인에서 드러나지 않은 공간경험과 분위기의 순간들에 주목한다.
  • 그럼으로써 리포베스키는 테오도르 아도르노 (Theodor W. Adorno), 막스 호르크하이머 (Max Horkheimer), 위르겐 하버마스 (Jürgen Habermas), 기 드보르 (Guy Debord), 마틴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를 포함한 일련의 이론가들이 비판적으로 바라본 문화산업의 민주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 본 논문에서는 렘 콜하스 (1944~)의 뉴욕 프라다 에피센터 (Prada Epicenter, 2001)를 구체적인 사례연구로 하여, 문화산업이 지배적인 생활양식으로 작동하는 21세기 현대사회에서의 건축, 패션, 그리고 확장된 자율성의 관계를 탐구한다. 거대 패션기업 ‘프라다’를 건축주로 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콜하스는, 본사의 브랜드의 가치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압축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혁신적인 디자인 수법을 제안한다.
  • 본 논문은 맨해튼의 패션거리 소호에 위치한 렘 콜하스의 ‘프라다 소호’ 분석을 통해, 패션 시스템과 조우하는 건축 디자인이 발생시키는 확장된 자율성의 측면들에 주목하였다.
  • 본 절에서는 리포베스키의 패션이론을 접점으로 하여, 콜하스의 프라다 소호의 공간계획과 공간경험의 측면들이 어떻게 확장된 패션 시스템으로 작용하는지에 주목한다. 프라다 소호는 2000년에 커미션을 받은 후 1년 후인 2001년에 완공되었다.
  • 셋째, 본고는 이러한 공간계획 분석과 함께 프라다 소호를 기록한 편집본인 Projects for Prada Part 1을 분석한다. 본 편집본은 뉴욕 및 세계 여러 도시들에 위치한 프라다 센터들의 작업들을 창의적으로 소개하는데, 놀랍도록 사실적인 미니어처 모델과 다수의 모형 인물들이 특징적이다. 본 편집본을 통한 프라다 소호의 분석은 3차원적 공간이 2차원적으로 제한된 자료에 의존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 첨단기술의 적용과 뉴욕의 대표적 패션거리 소호라는 지역적 맥락이 조화롭게 반영된—종종 프라다 소호라고 불리는—프라다 에피센터는, 외관의 평이함과는 대조적인 스펙터클한 내부공간이 특징적이다. 본고는 본 작품에서 콜하스가 어떻게 내부/외부나 지역/세계, 판매/구매와 같은 이분법의 논리를 포괄하는 특이한 공간감을 불러일으키는지에 집중한다.
  • 즉 콜하스에게 패션이란, 단순히 의류 디자인이나 표피장식, 혹은 공간적 장치이기보다는, 소비문화 시대를 살고 있는 건축가 자신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전략적 태도에 가깝다. 본고는 이러한 확장된 패션의 개념을 통해 콜하스의 작업을 분석하며, 그럼으로써 패션과 조우하는 콜하스의 건축 작품이 생성하는 자율성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 첫째, 본 논문은 프랑스 철학자 질 리포베스키 (Gilles Lipovetsky, 1944~)의 패션이론을 면밀히 살펴보며, 그의 이론이 가져다주는 문화적 함의를 고찰한다. 리포베스키는 패션을 개인과 제도의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관계와 얽힘에 의해 생성하는 일상생활의 조직이자 체계라고 간주하며, 그럼으로써 탈근대 사회에서의 패션은 더 이상 비판이론이 제기하였던 문화산업의 소외감과 상품물신의 논리로 접근되어지기 어려움을 지적한다.
  • 거대 패션기업 ‘프라다’를 건축주로 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콜하스는, 본사의 브랜드의 가치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압축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혁신적인 디자인 수법을 제안한다. 한편 뉴욕 프라다 에피센터와 여타 관련 자료들에 대한 해석을 통해, 본 논문은 콜하스가 단순히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일방향적으로 받아들이고 건축적으로 반영하였기보다는, 그러한 소통과 협력의 과정을 통해 소비문화의 리듬과 흐름에 조우하는 건축적 공간을 제시함에 주목한다. 이는 콜하스가 문화산업으로서의 패션을 건축디자인에 대립하는 요소로 간주하기보다는, 그의 건축디자인 개념을 유연하고 창의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일종의 동반자로서 여김을 함의한다.

가설 설정

  • <그림 5> 모터가 달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박스 형태의 디스플레이 공간은, 데이빗 존슨 (David Johnson)이 말하듯 “선반, 움직이는 바, 마네킹 진열공간, 스태프를 위한 서비스 단말기로 기능하거나 비디오물을 보여주는 ‘유비쿼터스 진열’”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된다.15) 이러한 움직이는 전시공간은 시각적 역동성을 불러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콜하스 스스로가 이러한 장치를 “매달린 도시” (“hanging city”)라고 표현하듯, 그는 마치 뒤집어진 도시 지도를 프라다 소호의 천장에 재구성함으로서 브랜딩 전략에 의해 작동하는 느슨한 도시-건축 복합체의 미래적 분위기를 압축적으로 전달한다.
  • 2) “사치는 거칠다.
  • 28) 프라다라는 거대 기업과의 조우를 통해 구현된 본 매장은 분명 “기업적인 것”이다.
  • 5) “사치는 안정이다.
  • 본 작품을 소개하는 책 Projects for Prada Part 1에서 거스키의 작품이 단면도에 의해 표현되는 방식 또한 인상적이다.<그림 6>: 본 단면도는 프라다 소호가 위치한 건물의 나머지 부분을 짙은 회색으로 처리하여, 본 매장 부분에 길게 늘어뜨린 거스키 벽화의 수평성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마치 1960년대의 반제도적이고 저항적인 의식으로 충만한 공동체 문화와 거리 축제들을 연상시키는 거스키의 벽화는 브랜딩 전략에 의해 치밀하게 디자인되는 프라다 소호 안에 통합됨으로서, 기업적 이미지와 느슨한 공동체 문화가 공존하는 특이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하스는 건축공간을 무엇이라고 지적했는가? 이러한 패션과 건축의 관계에 대한 콜하스의 생각은 그의 글들 및 편집본들에서 직·간접적으로 나타난다. 그의 에세이 “정크스페이스” (“Junkspace”)에서, 콜하스는 건축공간을 빠르게 생산되고 소비되는 패스트 푸드에 비유하며, 대량으로 그리고 빠른 속도로 생산되고 소비되는 패스트 푸드의 순환 시스템이 오늘날의 건축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지적한다.1) 비슷한 맥락에서, 콜하스는 또 다른 그의 책 S, M, L, XL에서 현대건축을 기성화된 옷에 비유한다.
프라다 소호를 기록한 편집본 Projects for Prada Part 1의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본고는 이러한 공간계획 분석과 함께 프라다 소호를 기록한 편집본인 Projects for Prada Part 1을 분석한다. 본 편집본은 뉴욕 및 세계 여러 도시들에 위치한 프라다 센터들의 작업들을 창의적으로 소개하는데, 놀랍도록 사실적인 미니어처 모델과 다수의 모형 인물들이 특징적이다. 본 편집본을 통한 프라다 소호의 분석은 3차원적 공간이 2차원적으로 제한된 자료에 의존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콜하스에게 패션은 무엇인가? 의류매장에서 고객들이 다양한 사이즈의 기성품을 구매하는 상황에 빗대어, 콜하스는 현대의 건축 디자인은 대량으로 생산되고 유통되는 패션 시스템과 유사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통찰력 있게 이해하고 민첩하게 대응하는 건축가만이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즉 콜하스에게 패션이란, 단순히 의류 디자인이나 표피장식, 혹은 공간적 장치이기보다는, 소비문화 시대를 살고 있는 건축가 자신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전략적 태도에 가깝다. 본고는 이러한 확장된 패션의 개념을 통해 콜하스의 작업을 분석하며, 그럼으로써 패션과 조우하는 콜하스의 건축 작품이 생성하는 자율성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sh, Stephanie, Koolhaas Designs for Prada in SoHo, Art in America, Vol.90 No.4, 2002 

  2. El Croquis, AMOMA REM KOOLHAAS: Delirious and More, 131/132, 2006 

  3. Hawthorne, Christopher, Capt. Koolhaas Sails the New Prada Flagship, New York Times, 15 July 2004 

  4. Johnson, David, Advanced Italian, ENTERTAINMENTDESIGNmag.com, April 2002 

  5. Kinney, Leila W, Fashion and Fabrication in Modern Architecture,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tectural Historians Vol.58 No.3, 1999 

  6. Koolhaas, Rem, Projects for Prada. Part 1, Fondazione Prada Edizioni, Milan, 2001 

  7. Koolhaas, Rem (ed), Content: Triumph of Realization, Taschen, Koln, 2004 

  8. Koolhaas, Rem, Unveiling the Prada Foundation, Progetto Prada Arte, Milan, 2008 

  9. Koolhaas, Rem and Whiting, Sarah, A Conversation between Rem Koolhaas and Sarah Whiting, Assemblage, Vol.40, Dec 1999 

  10. Levi-Strauss, Claude, The Savage Min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66 

  11. Lipovetsky, Gill, May 68, or the Rise of Transpolitical Individualism, New French Thought: Political Philosophy. ed. Mark Lilla,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94 

  12. Lipovetsky, Gill, The Empire of Fashion: Dressing Modern Democracy, trans. Catherine Por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94 

  13. Lobo, Hillary, Giammalvo, Gregory, and Quinn, Raymond, Prada Epicenter, New York, The ARUP Journal, Jan 2003, 

  14. Thomas, Carolyn de la Pena, Ready-to-Wear Globalism: Mediating Materials and Prada's GPS, Winterhur Portfolio, Vol.38, Summer-Autumn, 2003 

  15. Ryan, Nicky, Prada and the Art of Patronage, Fashion Theory Vol.11 No.1 

  16. Simmel, Georg, Fashion,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6, No.6, May, 1957 (originally 1904) 

  17. Sorkin, Michael, Brand Aid: Or, The Lexus and the Guggenheim, Harvard Design Magazine 17, Fall 2002/Winter, 2003 

  18. Swanson, Carl, The Prada Armada, New York Magazine (nymag.com), 16 April, 2006 

  19. Veblen, Thorstein,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Prometheus Books, 1998 

  20. Website of Office of Metropolitan Architecture: http://www.oma.eu/index.php?optioncom_projects&viewportal&id147&Itemid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