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빈 공방과 요제프 호프만이 주창한 총체예술(Gesamtkunstwerk) 디자인론의 생성배경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v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Gesamtkunstwerk Design Theory advocated by Wiener Werkstätte and Josef Hoffmann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1 = no.114, 2016년, pp.115 - 123  

김홍기 (동양미래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Vienna emerged as a great cultural centre that stood at the forefront of developments in music, psychology, and the natural sciences. Equally influential, and still tremendously popular today, are the designs of the Wiener $Werkst{\ddot{a}}tte$ a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빈 분리파 역시 역사주의적 아카데미즘으로 부터의 탈피와 예술의 무차별성을 주장하며 낙후된 오스트리아의 예술을 구출하겠다는 목표 아래 ‘각 세기마다 고유한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기치를 내세운다. 또한 총체예술의 기치 아래 삶의 모든 대상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자 했다. 빈 분리파 회원들 중에서도 빈 응용미술학교 동급생이었던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와 요제프 호프만이 이러한 논의를 주도했다.
  • 빈 공방이 핵심 개념으로 내세웠던 ‘총체예술’의 개념이 무엇이고,어떻게 공간디자인 분야에 접목되었는지, 그 특성이 무엇인지를 요제프 호프만의 작품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 빈 분리파 내에서는 크게 두 개의 세력이 양립하는데, 급진세력은 요제프 호프만과 요셉 마리아 올브리히 주위로 모여들었고 그들은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 상호 교환하는 관련성을 연구하면서 전시회를 통해 그들이 추구하는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반면에 보수파 쪽은 상징적이고 감성적인 리얼리즘의 이젤 페인팅을 고수했다.

가설 설정

  • 35) 빈 공방이 추구하는 총체 예술의 이상 속에 기능적인 실내디자인이라는 근대적 개념이 내포되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미적인 실내공간을 창조하려는 ‘심미적인 운동’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 오페라가 편협하다는 지적을 받은 이유는? 전통적 오페라는 너무도 편협적이었다. 문학과 극은 음악의 시녀일 뿐이었고 백여 명에 달하는 오케스트라도 단지 위대한 가수와 그의 목소리를 좀 더 돋보이게 하고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순한 첨가물에 불과해 보였다. 작곡가마저 위대한 가수의 목소리에 맞도록 곡을 고쳐 써줘야 했으며, 관객들은 오르지 가수의 화려한 기교에 탄성을 보내고 감격할 따름이었다. 개별적 예술의 총합을 강조한 바그너는 어느 한 장르가 우위를 점하지 않는 문학과 음악과 극이 상호 혼연 일체된 음악을 원했고, ‘니벨룽겐의 반지’와 ‘로엔그린’을 통해 그가 추구해온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바그너는 무엇을 강조하였는가? 작곡가마저 위대한 가수의 목소리에 맞도록 곡을 고쳐 써줘야 했으며, 관객들은 오르지 가수의 화려한 기교에 탄성을 보내고 감격할 따름이었다. 개별적 예술의 총합을 강조한 바그너는 어느 한 장르가 우위를 점하지 않는 문학과 음악과 극이 상호 혼연 일체된 음악을 원했고, ‘니벨룽겐의 반지’와 ‘로엔그린’을 통해 그가 추구해온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것은 총체예술, ‘악극(Musik Drama)’이라고 명명되어졌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극장을 직접 설계하기에 이른다.
총체예술이란? 뉴욕 쎄인 에띠엔느 갤러리 관장 제인 캘리어(JaneKallier)는 총체예술 개념의 등장을 19세기의 사회, 경제적인 대격변의 시대와 연계시켜 설명한다. 총체예술은 본래 혼란스럽고 급변하는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려는 광범위한 철학적 시도이자, 예술가를 영적인 지도자로 보는 낭만주의적 믿음과도 깊이 관련 있다는 것이다. 총체 예술의 기치 아래 사회를 개혁하고자 한 세기말의 빈 디자인 운동 역시 이같은 관점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문환, 총체예술의 원류, 느티나무, 1989 

  2. 스티브 컨, 박성관 역,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2004 

  3. 스티븐 에스크릿, 정무정 역, 아르누보, 한길아트, 2004 

  4. 윌리엄 존스턴, 오용록 역, 제국의 종말 지성의 탄생- 합스부르크 제국의 정신사와 문화사의 재발견, 글항아리, 2008 

  5. 칼 쇼르스케, 김병화 역, 세기말 비엔나, 구운몽, 2006 

  6. 크리스티안 브랜트슈테터, 박수철 역. 비엔나 1900년 삶과 예술 그리고 문화, 예경, 2013 

  7. August Sarnitz, Josef Hoffmann 1870-1956: In the Realm of Beauty, Taschen, 2006 

  8. Charlotte Ashby, The Viennese Cafe and Fin-de-Siecle Culture, Austrian and Habsburg Studies, Berghahn Books, 2013 

  9. Christian Brandstatter, Wonderful Wiener Werkstatte: Design in Vienna 1903-1932, Thames & Hudson Ltd., 2003 

  10. Gabriele Fahr-Becker, Wiener Werkstatte, Taschen, 2008 

  11. Isabella Ackerl, Vienna Modernism: 1890-1910, Federal Press Service, 1999 

  12. Jane Kallir, Viennese Design and the Weiner Werkstatte, New York: Gallerie St. Etienne, George Braziller, 1986 

  13. Kristi Fackel, The Transformation of the Gesamtkunstwerk in the Vienna Secess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1993 

  14. Michael Collins, Towards Post-Modernism: Design Since 1851, British Museum Press, 1994. 

  15. Patrick Carnegy, Wagner and the Art of the Theatre, Yale University Press, 2006 

  16. Peter Noever, Yearning for Beauty: The Wiener Werkstatte and the Stoclet House, Hatje Cantz Publishers, 2006 

  17. Timothy Barns, Josef Hoffmann and the Emergency of Gesamtkunstwerk in 20th Century Architecture, Anne-Catrin Schultz, 2009 

  18. 김흥섭, 1900년경의 빈 사회와 예술- 총체예술작품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제24집, 2004 

  19. http://whc.unesco.org/en/list 

  20. https://en.wikipedia.org/wiki/Gesamtkunstwe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