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자대학생의 BMI와 신체상평정척도(CDRS) 분류기준에 대한 일치도 검정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BMI and that of CDRS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2, 2016년, pp.519 - 527  

남덕현 (용인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BMI 분류기준과 9점-신체상평정척도 분류기준의 일치도를 조사하여 현장적용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여대생들이 체형에 대해 실제로 인식하고 정도를 파악하여 체형인식의 왜곡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비만의 기준에 대한 정보 제공에 목적이 있다. BMI 분류기준과 신체상평정척도 분류기준의 일치도, 그리고 여대생의 BMI에 따른 신체상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Spearman의 등위차상관계수 및 카파통계량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 여자대학생이 판정한 신체상 평정척도 분류기준과 BMI 분류기준은 통계적으로 ${\rho}=.719$(p<.001)로 높은 상관과 ${\kappa}=.506$(p<.001)로 보통 수준의 일치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신체상과 관련하여 인종의 특성에 따른 크기와 형태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다르거나 비만도가 높은 대상자를 선별하여 그들의 체형인식과 심리적인 측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BMI classification standard and that of 9-point contour drawing rating scale(CDRS), verifying their usefulness for the application to the filed, examining university students'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ir bodies, and offe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MI 분류기준을 준거로 설정하여 그림으로 구성된 9점 신체상 평정척도(CDRS)의 분류기준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조사하여 현장 적용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목적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여자대학생들의 실질적인 신체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체형 인식의 왜곡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비만의 기준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바로잡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상 평정척도의 범주를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 그리고 BMI 분류기준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BMI(신체질량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참여자의 자기보고 방법을 통해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Table 2]와 같이 일반적 특성 4문항(연령, 학년, 신장, 체중), 신체상 2문항(현재체형, 이상체형)으로 구성하였으며, 신장과 체중 중 어느 한 가지변인에라도 응답을 하지 아니한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여대생들의 BMI 분류기준을 준거로 하여 자신들이 인식하고 있는 신체상평정척도 분류기준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일반 여자대학생들의 BMI 분류기준을 준거로 하고 자신들이 인식하고 있는 신체상평정척도 분류기준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신체상평정척도 분류는 적합한 것으로 보통 수준의 일치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상적인 여성의 체형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여대생을 포함한 젊은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나 체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대중매체 등 사회․문화적인 영향으로 마른 몸매를 이상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 20년간 이상적인 여성의 체형이 관능적인 체형에서 마른체형으로 변화한 점[1]과 더불어 다이어트 산업과 정보매체의 발달 등이 여성들의 체형 인식 및 체중감량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다[2].
신체상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한 개인이 자신의 체형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을 신체상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개인의 체중조절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13]. 자신의 체형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신체 이미지 왜곡(body image distortion)이나 정서적으로 자신의 신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반응을 보이는 체형 불만족(bodydissatisfaction)은 운동이나 식이조절과 같은 체중조절 행태에 나쁜 영향을 미쳐 건강에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2, 14].
정상체중 집단에서 날씬한 체형임에도 불구하고 체중감량을 원하는 빈도가 높은 이유는?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여대생들이 마른 몸매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마른이상적인 체형의 내면화, 신체 비교, 자아존중감 변인들간의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42]와 연구대상자의 BMI가 과체중군일수록, 신체상이 낮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43]와도 일치한다. 즉, BMI가 그다지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체형이 좀 더 날씬해지길 원하는 것은 외모위주의사회문화적인 태도에 더 영향을 받아 마른체형이 이상적인 체형으로 인식되어 자신의 신체상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상체중이나 표준체중에 해당하는 신체상을 건강한 이미지와 함께 긍정적 이미지로 묘사되도록 매스미디어의 좀 더 보편적 노출과 함께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식 변화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P. L. Giorgi., R. M. Suskind., C. Catass. "The obese child. Karger". p.149-196, 1992. 

  2. Y. G. Kim. "Body Image Perception, Preventive Attitude of Life-style related and Eating Behaviors Attitude According to Obesity Level in Adult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2005. 

  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Obesity Clinical". Korea medical book, 2008 

  4. I. K. Han. "A Study on the Effect of Adult Female's Personality Type on Health Control Behavior and Obesity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ol.42 No.4, p.358-365, 2009. 

  5. H. Y. Kim. "Diagnosis and Cure Introduction of Obesity".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6, No.1, p.51, 2004. 

  6. J. H. Lim., H. B. Rha. "Weight Control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related Maj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2, No.3, p.247-258, 2007. 

  7. M. H. Kang, J. K. Hwang, H. K. Kim., H. S. Kong., H. J. Yoon., Y. H. Hwang., K. Y. Lee., Y. S. Jung., S. K. Lee., H. Y. Park., K. H. Kim., W. C. Choi. "The self-assesment of obesity Korea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4, p. 349-355, 2002. 

  8. S. L. Franzoi., V. Koehler. (1998).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body attitudes: A comparison of young and elderly adul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9. Y. M. Jung., K. S. Jung., S. E. Lee.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Body Composition and Body Image in College Women by BMI (Body Mass Index).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2, No.1, p.87-102, 2005. 

  10. J. H. Kim., S. K. Lim(2006). "College Students' Cognition on Obese people. Conference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2-243. 2006 

  11. Y. S. Kwon. "A Study on Obesity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19, No.3, p.431-442, 2008. 

  12. L. Bresolin. "Body image and health counseling for women. Arch Fam Med" Vol.2, p.1084-1087, 1993. 

  13. H. J. Song,. M. S. Oh, S. H. An., M. S. Park., T. Y. Yoo, J. H. Ka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about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0, No.4, 1999. 

  14. J. S. Vander Wal., M. H. Thelen. "Eating and body image concerns among obese and average-weight children. Addict Behav", Vol.25, p.775-8. 2000. 

  15. S. Freud. "The ego and the id. London". 1927 

  16. M. P. Fisher. "Quantum phase transitions in disordered two-dimensional superconductors. Physical review letters", Vol.65, No.7, p.923. 1990. 

  17. R. K. Dishman., J. F. Sallis., D. R. Orestein. "Th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Public Health Rep", Vol.100, No.2, p.158-171, 1995. 

  18. Y. I. Kim. "Correlations Among Body Weight,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1 No.2, p.195-203, 1991. 

  19. J. H. Park.. "Habits and Body Mass Index(BMI) for the citizen in Seoul Using The Data from the Third Seoul Health Index Survey". Dept. of Nutritio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20. Y. J. Nam., S. H. Lee. "Comparison of perceived body size and actual body siz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5, No.4, p.764-772, 2001. 

  21. J. K. Park., Y. J. Nam., K. M. Choi. "A Comparison of Satisfaction for Actual Body and Perceived Bo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8 No.6, p.758-766, 2004. 

  22. M. O. Kim., E. J. Jang.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22 No.1, p.110-122, 2009. 

  23. J. Y. Kim."Study on figure recognition, obesity knowledge, attitude toward obes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at obesity information and eating habits of higher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SungShin Womans University. 

  24. K. K. Davison., L. L .Birch. "Childhood overweight: a contextual model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besity Reviews, Vol.2, No.3, p.159-171, 2001. 

  25. M. P. McCabe., L. A. Ricciardelli.. Body image and strategies to weight and increase muscle among boys and girls. Health Psychology, Vol.22, No.1, p.39-46. 2003. 

  26. E. R. Sands., J. Wardle. "Internalization of ideal body shapes in 9-12 year old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33, No.2, p.193-204, 2003. 

  27. M. A. Nowak., K. Sigmund. "Evolution of indirect reciprocity by image scoring. Nature", Vol.393, No.6685, p.573-577, 1998. 

  28. J. A. Pesa., T. R. Syre., E. Jones. "Psychosocial difference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among female adolescents: the importance of body imag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26, No.5, p.330-337, 2000. 

  29. C. M. Bulik, T. D. Wade, A. C. Heath, N. G. Martin, A. J. Stunkard, L. J. Eaves. "Relating body mass index to figural stimuli: population-based normative data for Caucasian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Vol.25, No.10, p.1517-1524, 2001. 

  30. K. J. Lee., N. J. Park., J. S. Kim., Y. M. Song. "Factors associated with small stature of school-age children, Korean J Fam Med" Vol.29, No.4, p.251-258, 2008. 

  31. S. N. Kim "Obesity degree, body satisfaction and body-esteem of elementary schoo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8. 

  32. J. A. Park., Y. S. Yang., J. I. Han., S. W. Kim., H. S. Hwang., B. R. Huh.. "Weight in children's minds : body shape dissatisfactions for 12-years old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18 No.6, p.622-631, 1997. 

  33. K. J. Hwang. "The Influence of the Goal Orientation of Dance-Major College Students o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Vol.18, p.1-15, 2009. 

  34. M. J. Kim., H. S. Oh., D. J. Jung. "Validity of Weight Shape Classification Index based on Figure Rating Scale for College Dance Major Students. Korean Society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Vol.11, No.1, p.11-22, 2009. 

  35. T. Sorenson,, A. J. Stunkard,, F. Schlusinger. "Use of the Danish adoption registers for the study of obesity and thinness. In S. S. Kety, L. P. Rowland, R. L. Sidman, & S. W. Matthysse (Eds.)", The genetics of neurologic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115-120, 1993. 

  36. M. A. Thompson, J. J. Gra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body-image assessment tool.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64, p.258-269, 1995. 

  37. H. M. Shroff. An examination of peer-rela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body image disturbance and disordered eating among adolescent girls. Unpublished dissertation,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04. 

  38. S. G. Shin., T. J. Choi., S. M. Park., E. Y. Lee., Y. M. Kim. "Theory and practice of psychological tests". SeoHyeonSa: Seoul. 

  39. H. D. Jung. "(A) relation ship between body image perception and body mass index of female dance major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2008 

  40. D. A. Williamson, D. H. Gleaves, P. C. Watkins, D. G. "Schlundt. Validation of self-ideal body size discrepancy as a measure of body dissatisfaction.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15, No.1, p.57-68, 1993. 

  41. Y. S.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College Female Physical Expression Students. Korean Society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Vol.10, No.(2), p.1-13, 2008. 

  42. E. J. S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on the Eating Disorder Symptoms of College Aged Woman,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psychology", Vol.20, No.3, p.885-901, 2008. 

  43. R. H. Hwang, "A study on eating disorder,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5, No.4, p.328-335, 2009. 

  44. Young-Sook Kwon,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of th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121-127, 2014. 

  45. Bae-won Lee, Jae-chul Song, Hun-young Ha, Sang-hyo Sim, Jae-hun Shim, "A Study on Obesity-related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Body Mass Index (BMI) and Fat-CT in Middle-aged Women Living in Inche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19-28,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