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성 "노은리 고택"의 건축 시기와 가구(架構)의 원형 고찰
Estimation of the History of "The Old House at No'eun-ri" and its Original Structur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1, 2016년, pp.33 - 46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ld house at No'eun-ri, located in Hongseong-gun Hongbuk-myeon of the Chungcheong Nam-do province, really seems like the old house of late Seong Sam-mun who died in 1456.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house seems to have been symmetrical, in terms of its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emales' c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은리 고택의 평면은 두 가지 공간으로 구분하면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그러므로 노은리 고택의 평면은 중정을 둘러싼 좌우 대칭의 ‘口’자형 공간과, 이 공간에 덧붙어 전체 평면을 비대칭으로 만드는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순히 여기에만 근거하여 ‘口’자형 대칭 공간과 여기에 덧붙은 공간 사이에 건축의 시간적 선후를 설정할 수는 없다.
한국의 전통가옥의 창건연대나 원형구조를 판단하기 위해 해야 하는 일은? 이 과정에서 새로운 양식이 적용되고, 공간이나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고택의 창건 연대나 원형 구조를 판단하려면 평면과 입면, 부재를 면밀히 살펴 후대에 중축하거나 변형된 부분을 가려내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 고택과 관련된 문헌기록도 세밀히 살펴야 한다. 가까운 시기는 지역 주민의 구술을 채록하는 것도 필요 하다. 본고에서는 ‘엄찬고택’이라는 명칭으로 문화재로 지정된 노은리 소재 고택에 이러한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논문에서 노은리 고택은 엄찬고택이 아니라 무엇이라고 주장하는가? 그러나 이는 한문 기록을 잘못 해석한 데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 고택은 엄찬과 전혀 관련이 없다. 이 고택이 기록에 나오는 대로 성삼문의 신주를 잠시 안치했던 곳이라면‘엄찬고택’이 아니라 17세기 중엽에 ‘성삼문의 구택’으로 알려졌던 집에 해당한다.1) ‘엄찬고택’은 잘못된 명칭임이 분명하므로 본고에서는 편의상 ‘노은리 고택’으로 지칭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조성기 등, 한국의 뜰집, 기문당, 2013 

  2.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방한설비와 취사 도구, 역사민속학, 24호, 2007 

  3. 조성기, 한국의 민가, 한울, 2006 

  4. 이종서, 조선전기의 주거용 층루 건축 전통, 역사민속학, 22호, 2006 

  5.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6. 김종헌.주남철, 한국 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1996 

  7. 김일진, 조선시대 15세기 주택의 영쌍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권, 9호, 1993, 41-53쪽 

  8.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한국의 전통가옥 43, 2014 

  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지정조사: 영양이도고택, 홍성엄찬고택, 해남윤두서, 안동죽하고택 (국가기록원 문서번호 CA0018436), 1994-1996 

  10. 문화재관리국, 충남홍성 엄찬고택 보수공사-98국고 보조-(1)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DA0273960), 1998 

  11. 日省錄, 宋子大全, 成謹甫先生集, 明齋遺稿, 屛溪先生集, 耳溪集, 練藜室記述, 星湖僿說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