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일본, 중국 김치의 품질 비교 분석

Comparative quality analysis of kimchi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Japan, and China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7, 2016년, pp.967 - 976  

이혜진 (세계김치연구소 산업기술연구단) ,  정수연 (세계김치연구소 산업기술연구단) ,  김재환 (세계김치연구소 산업기술연구단) ,  유승란 (세계김치연구소 산업기술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김치의 수출 촉진을 위한 품질 차별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현지 수출 시장에서 제조된 김치와 한국에서 제조된 김치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 중 일 삼국의 김치는 이화학적 특성(pH, 산도, 염도), 미생물적 특성, 관능적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국의 김치 재료 및 제조 방법 등이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장 기간 동안 한국김치는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spp.와 전체적인 관능 기호도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한국 김치 품질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타 국가에서의 김치 소비 특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quality of kimchi products produced in Korea, Japan, and China. Kimchi products from kimchi-producing countries with high consumer consumption such as Japan and China along with local products from Korea, where exporting has not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한·중·일 삼국 현지에서 제조된 김치에 관한 비교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한국 김치의 품질을 더욱 발전시키고 수출을 촉진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삼국 김치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 중 일 삼국의 김치는 어떤 특성이 다른가? 본 연구는 한국김치의 수출 촉진을 위한 품질 차별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현지 수출 시장에서 제조된 김치와 한국에서 제조된 김치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 중 일 삼국의 김치는 이화학적 특성(pH, 산도, 염도), 미생물적 특성, 관능적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국의 김치 재료 및 제조 방법 등이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김치는 어떤 효능을 갖는가? 김치는 주재료인 채소를 소금으로 절인 후 각종 양념을 첨가하여 숙성시켜 먹는 우리나라 고유의 염장 발효식품으로서 항암, 비만 방지, 동맥경화 억제, 항 균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1-6). 2001년 7월 김치에 대한 Codex 국제규격이 채택되고 2002년 김치가 한일 월드컵 공식 식품으로 인정되면서, 우리나라의 김치 품질이 인정받게 되었으며 김치 종주국으로서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7).
일본 김치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김치는? 일본 김치 시장은 2013년 기준, 730억 엔으로 추정되며 한국산 김치의 수입 비중은 10% 내외 수준으로 22만 톤을 차지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왔다(10). 일본의 경우 한국에서 수입도 하고 있지만, 김치의 아삭한 질감과 단맛을 좋아하는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김치가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11,12). 일본에서는 거의 발효하지 않은 형태의 김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김치는 아미노산, 유기산, 소르비톨, 과일즙, 설탕 등의 당류를 첨가하여 발효되지 않고도 한국 김치처럼 숙성된 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R, Kim MR (2010) Effects of traditional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5, 61-69 

  2. Gwangju City (2008) Korean taste, gwangju kimchi Gamchilbaegi. Design ssing Publisher, Gwangju, Korea, p 26-28 

  3. Kim JH, Park JG, Lee JW, Kim WG, Chung YJ, Byun MW (2008) The combined effects of N2-packaging, heating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stability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control, 19, 56-61 

  4.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 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69-182 

  5. Lee HJ (2000) A study on commercial kimchi consumption of housewives is Seoul and Chungbuk area. Korean J Food Nutr, 13, 221-225 

  6. Park WP, Park KD, Cheong YJ, Lee IS (2002) Effect of calcium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28-432 

  7. Food Journal (2010) Food distribution yearbook. Food Journal editorial department, Seoul, Korea, p 351-353 

  8. Health (2006) The world's 5 healthiest food. Time inc, NY, USA, March 2006, 106-121 

  9. Han JS, Cho YS, Lee SJ (2003) A comparis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ercial baechu kimchi. J Korean Home Econ Assoc, 41, 85-92 

  10. World Institute of Kimchi (2013) kimchi export guide book (Japan). Korean Studies Information, Gwangju, Korea, p 48-56 

  11. Ku KH, Cho JS, Park WS, Nam YJ (1999) Effects of sorbitol and sugar sour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794-801 

  12. Lee JH (2008) Kimchi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to global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41, 23-27 

  13. Hwang KS (2005) Current status and further development perspectives of exported Korean kimchi into Japan. Food Preserv Process Ind, 4, 46-56 

  14. Lee EJ, Park SE, Choi HS, Han GJ, Kang SA, Park K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J Korean Food Preserv, 17, 793-799 

  15. Chang JY, Choi YR, Chang HC (2011)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786-794 

  16. Kim HY, Kil JH, Park KY (2013) Comparing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kimchi made with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 and recip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20-526 

  17. Cho SK, Moon JS, Kim YJ, Kim JE, Choi HY, Ahn JE, Otgonbayar GE, Eom HJ, Kim TJ, Kim YM, Kim HR, Han NS (2012) Comparison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in Korea and Jap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55-161 

  18. Nam KO (2011) A Study on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for Korean kimchi industry in Japan market. M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Korea, p 35-36 

  19. Cho HJ, Cho JA (1998) The study on the kimchi in Chulra-Do. The 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myongji university, Korea, 17, 166-172 

  20. Han KI, Kim MJ, Kwon HJ, Kim YH, Kim WJ, Han MD (2013) The Effect of container types on the growth of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6, 249-257 

  21. Lim JH, Park SS, Jeong JW, Park KJ, Seo KH, Sung J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22. You BR, Kim EG, Jang JY, Choi HJ, Kim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llium hookeri root powder added. J Korean Food Preserv, 20, 863-870 

  23. Salminen S, Wright AV (2004) Lactic acid bacteria :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380-405 

  24.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Par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25. Shin DH (1994)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market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different contain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6-245 

  26. Maurice ES, Shike M, Ross AC, Caballero B, Cousins RJ (2005) Nutrition and diet in hypertension.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10th ed. Lippincott Williams & Wikins, Philadelphia, PA, USA, p 1095-1107 

  27. Choi HS (2004) Food Science and fermentation of kimchi. Hyo-il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 193-220 

  28.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9. Lee DS, Paik HD (1997) Use of a pinhole to develop an active packaging system for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Packag Technol Sci, 10, 33-43 

  30. Kim DK, Kim SY, Lee JK, Noh BS (2000)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89-8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