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기장, 수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전립선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능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extracts on prostate cancer cell lin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7, 2016년, pp.1033 - 1041  

김정호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현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홍성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주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이용석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두현 (동아대학교 생명자원산업학과) ,  서권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조, 기장 및 수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및 인체 전립선암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 기장 및 수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SOD 유사 활성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 수수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조 및 기장 추출물보다 높은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의 다른 형태의 인체 전립선 암세포(PC-3 및 LNCaP)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조 추출물과 기장 추출물의 처리는 $1,000{\mu}g/mL$의 농도에서도 큰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LNCaP 세포에 수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10{\mu}g/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인 세포증식 억제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PC-3 및 LNCaP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알아본 결과, 수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부유, 사멸 및 증식억제가 관찰되었으나 동일한 농도의 조 및 기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세포형태를 유지하였으며 특이적인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Hoechst 염색을 통한 핵 형태 관찰에서도 조 및 기장 추출물과는 대조적으로 수수 추출물에서만 apoptotic body, 세포 및 핵의 응축 등 세포 사멸과 관련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조, 기장, 수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01, 1.71, 29.10 mg GAE/g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수수에서 항산화 및 항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조, 기장 및 수수 추출물 중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수수에서 항산화 활성 및 인체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수 추출물을 항산화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를 위한 식품원료 및 산업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Setaria italica extract (SIE), Panicum miliaceum extract (PME) and Sorghum bicolor extract (SBE). Antioxidant effects of these extracts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가진 물질이 암세포의 사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IE, PME 및 SBE의 처리가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뼈에 전이된 형태인 안드로겐 비민감성 PC-3 세포와 림프절에 전이된 형태인 안드로겐 민감성 LNCaP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를 SRB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Fig. 3). PC-3 및 LNCaP 세포에 각각의 추출물들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였을 때 SIE 및 PME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250~1,000 μg/mL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세포사멸을 나타내었다(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섭취되는 잡곡인 조, 기장 및 수수의 항산화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이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생리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은?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체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의 과잉생산에 의해 발생하며 만성 피로, 피부노화, 당뇨, 암, 알츠하이머 질환 등의 생리학적 변화를 유발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1-5). 한편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된 질병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식생활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의 생리활성효능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이다(6).
전 세계에서 사망원인 1위인 질병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하는 질병 중 은 전 세계에서 사망원인 1위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과 삶의 형태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사망률이 높은 암종으로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및 전립선암 등이 보고되었다(7).
수수의 효능은? 수수(Sorghum bicolor)는 식이섬유를 비롯하여 페놀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항산화능을 지니는 페놀화합물로는 대부분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고(20), 이러한 성분 들을 통하여 면역세포에서의 항체 생성능, 항당뇨 및 난소 암세포의 성장 억제에 대한 효능만이 밝혀져 있다(21,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hen Y, Zhang H, Cheng L, Wang L, Qian H, Qi X (2016)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black highland barley. Food Chem, 194, 1003-1012 

  2. Niki E (2016) Antioxidant capacity of foods for scavenging reactive oxidants and inhibition of plasma lipid oxidation induced by multiple oxidants. Food Funct, 7, 2156-2168 

  3. Maes M, Twisk FNM (2010) Chronic fatigue syndrome: Harvey and Wessely's (bio) psychosocial model versus a bio (psychosocial) model based on inflammatory and oxidative and nitrosative stress pathways. BMC Medicine, 8, 1-13 

  4. Rittie L, Fisher GJ (2002) UV-light-induced signal cascade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1, 705-720 

  5. Shen S, Callaghan D, Juzwik C, Xiong H, Huang P, Zhang W (2014) ABCG2 reduces ROS-mediated toxicity and inflammation: a potential role in Alzheimer's disease. J Neurochem, 114, 1590-1604 

  6. Lee JH, Shin YJ, Cho DJ, Lim HJ, Choi WE, Lee YK (2004) Antitumor and antimutagenic effect of the proteinpolysaccharides from Poluporus umbell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75-479 

  7. Park MS, So JS, Bahk GJ (2015)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cultivat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234-1240 

  8. Burks DA, Littleton RH (1992) The epidemiology of prostate cancer in black men. Henry Ford Hosp Med J, 40, 89-92 

  9. Panov A, Orynbayeva Z (2013) Bioenergetic and antiapoptotic properties of mitochondria from cultured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s PC-3, DU145 and LNCaP. PLoS One, 8, e72078 

  10. Won YS, Lee JH, Kwon SJ, Ahn DU, Shin DY, Seo KI (2014) Anticancer effects of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7-73 

  11. Kwon SH, Kwon SJ, Kim JY, Park KW, Shim KH, Seo KI (2009) Protective effect of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s against environmental hormones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63-666 

  12. Park SY, Kim EJ, Lim DY, Kim JS, Lim SS, Shin HK, Yoon JH (2008) Inhibitory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Saussurea lappa on the growth of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 

  13. Hwang EJ, Cha YJ, Park MH, Lee JW, Lee SY (2004)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te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7-493 

  14.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21-929 

  15.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e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7-192 

  16. An TK (1999)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887 

  17. Zhang L, Liu R, Niu W (2014) Phytochemic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roso millet. PLoS One, 9, e104058 

  18. Park MY, Seo DW, Lee JY, Sung MK, Lee YM, Jang HH, Choi HY, Kim JH, Park DS (2011)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Nutr Res Pract, 5, 192-197 

  19. Park MY, Jang HH, Kim JB, Yoon HN, Lee JY, Lee YM, Kim JH, Park DS (2011)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supplemented diet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C57BL/6J-ob/ob mice. Nutr Res Pract, 5, 511-519 

  20.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21. Vermont PD, Pangloli P, Jones L, McClureb A, Patel A (2016) Phytochemical concentration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orghum bicolor alcoholic extracts. Food Funct, 7, 3410-3420 

  22. Park JH, Lee SH, Chung IM, Park YS (2012) Sorghum extract exerts an anti-diabetic effect by improving insulin sensitivity via $PPAR-{\gamma}$ in mice fed a high-fat diet. Nutr Res Pract, 6, 322-327 

  23. Gao X, Bjork L, Trajkovski V, Uggla M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s. J Sci Food Agric, 80, 2021-2027 

  2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5. Biglari F, AlKarkhi AFM, Easa AM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various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fruits from Iran. Food Chem, 107, 1636-1641 

  26. Yildirim A, Mavi A, Kara A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 4083-4089 

  27.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8. Vichai V, Kirtikara K (2006) Sulforhodamine B colorimetric assay for cytotoxicity screening. Nature Protocols, 1, 1112-1116 

  29. Kang HI, Kim JY, Kwon SJ, Park KW, Kang JS, Seo KI (2010) Antioxida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41-946 

  30. Kim DG, Lee BG, Kim HY (2003) Use of Fraxnius rhynchophylla $H{\cdot}$ ance bark as antioxidant. J Kor For En, 22, 69-76 

  31. Kang SR, Shin MO, Kim SG, Lee SH, Kim MH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23-429 

  32. Lee JM, Chung H, Chang PS, Lee JH (2007) Development of a method predicting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s using 2,2-diphenyl-1- picrylhydrazyl (DPPH). Food Chem, 103, 662-669 

  33. Berg RVD, Haenen GRMM, Berg HVD,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 511-517 

  34.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8-1135 

  35. Oh YN, Jin SJ, Park HJ, Kwon HJ, Kim BW (2014)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by cell cycle regulation of Salsola collina extrac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 73-81 

  36. Khandrika L, Kumar B, Koul S, Maroni P, Koul HK (2009) Role of oxidative stress in prostate cancer. Cancer Lett, 282, 125-136 

  37. Liu C, Zhu Y, Lou W, Nadiminty N, Chen X, Zhou Q, Shi XB, White RW, Gao AC (2013) Functional p53 determines Docetaxel sensitivity in prostate cancer cells. The Prostate, 73, 418-427 

  38. Wyllie AH, Kerr JFR, Currie AR, (1980) Cell death: the significance of apoptosis. Int Rev Cytol, 68, 251-306 

  39. Fulda S, Debatin KM (2006) Extrinsic versus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nticancer chemotherapy. Oncogene, 25, 4798-4811 

  40. Suganyadevi P, Saravanakumar KM, Mohandas S (2013)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3-deoxyanthocyanins extracted from red sorghum (Sorghum bicolor) bran through $p^{53}$ -dependent and Bcl-2 gene expression in breast cancer cell line. Life Sci, 92, 379-382 

  41. Park JH, Darvin P, Lim EJ, Joung YH, Hong DY, Park EU, Park SH, Choi SK, Moon ES, Cho BW, Park KD, Lee HK, Kim MJ, Park DS, Chung IM, Yang YM (2012) Hwanggeumchal sorghum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suppresses tumor growth and metastasis through Jak2/STAT pathways in breast cancer xenografts. PLoS One, 7, e40531 

  42. Azuma K, Nakayama M, Koshio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43. Senter SD, Horvat RJ, Forbus WR (1983) Comparative GLC-MS analysis of phenolic acids of selected tree nuts. J Food Sci, 48, 798-7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