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오픈소스 GIS 기반의 계획지원체계
An Open Source GIS Based Planning Support System for Abandoned,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4, 2016년, pp.1 - 16  

김동한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 시대를 지나 보다 안정된 경제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국토와 도시의 발전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대규모 신개발의 필요성은 점차 감소하는 가운데 도시 외곽에서 파편화된 소규모 개발이 진행되는 한편, 기존 도시 내에서 유휴화 되는 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도시의 압축적 이용을 위해 이러한 유휴공간에 대한 효율적 이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시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과 수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첫째,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형을 실험개발하고 부산시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둘째,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인 uDig을 활용하여 유휴공간 분석시스템을 실험 구축하고자 한다. 공간적 문제의 파악과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GIS기반의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나 계획지원체계를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는 아니다. 그러나 최근 발전하고 있는 오픈소스 GIS를 활용할 경우 기존의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과는 차별화된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국토도시에 존재하는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활용하기 위한 오픈소스 기반의 계획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entering a more stable growth phase since the 2000s, new urban development has become smaller and fragmented and interiors of existing cities are aging and becoming underutilized. Therefore, using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in urban area has high value in national urban policies in term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qhs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 오픈소스 GIS 기반의 유휴공간 분석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모형의 활용성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형의 개발은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인 uDig을 활용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을 활용하여 부산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유휴공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 물론 구체성과 현장성을 충분히 갖춘 계획지원체계로의 개발은 단년도 연구로 완성될 수 없으며 다년간의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시험 시스템을 개발하고 향후 추가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국토도시 정책지원을 위한 계획지원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목적하에 오픈소스 기반의 GIS를 활용하여 실험모형을 개발하고 부산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한 분석모형은 오픈소스 기반의 GIS를 활용하여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 또는 계획지원체계로 발전시키는데 새로운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요한 의의가 있다.
  • 유휴공간은 완전히 미이용 되거나 방치된 상태에서부터 부분적 미이용 또는 저이용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기능이 유지되고 있지 않거나, 부분적 또는 불충분하게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유휴의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때 개별 건축물관리, 부동산관리 등의 분야에서 공실(vacancy)의 개념으로 다루고 있는 “공간의 기능은 유지되고 있으나 이용이 간헐적이거나 부정기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태” 등은 본 연구에서 유휴의 범위에 포함하지 않는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목적 하에 도시 내의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충진개발을 장려할 수 있는 과학적 정책지원 수단으로써 유휴공간 분석모형(PLanning Support System for Abandoned,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PLAVU)을 시험개발하고 부산시를 대상으로 시험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며, 이때 유휴공간 분석모형은 유휴공간의 도출, 조회 및 탐색, 권역 및 지역별 분포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 이때 공간분석과 계획지원체계에 관한 전문지식을 보유한 전문가가 참여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중앙부처 또는 지자체의 업무 특성도 고려한 추가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픈소스 GIS는 이와 같은 협업과 추가확장 등에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전문가와 중앙부처 등이 주도하여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각 지자체를 비롯한 수요자에게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시험모형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유휴공간은 도시나 농산어촌 등 국토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는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무분별한 외연적 확산방지와 기존 도시의 재이용 촉진이라는 취지에서 도시지역을 주요한 고려대상으로 하여 유휴공간을 파악하고자 한다.
  • 유휴공간의 개념은 단일의 연구를 통해서 정의될 수는 없을 것이며, 후속연구 등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를 기반으로 유휴 공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유휴공간은 현시점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과 가까운 미래에 발생 가능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방향으로 접근한다. 이때 가까운 미래에 발생 가능한 유휴공간까지 포함하고자 하는 것은 현재의 정상적인 공간이 유휴화되는 것까지 예측하는 것을 연구범위에 포함하고자 함이 아니라 노후화되고 침체되어 활성화가 필요한 공간도 유휴공간의 범위에 포함시켜 분석함으로써 계획적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 GIS프로 젝트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가 주도 하여 다양한 GIS기반의 업무지원시스템을 구축 하여 온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 GIS프로 젝트는 주로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며, 준비와 추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유휴공간이란 무엇인가? 유휴공간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발생된 후현재는 이용되고 있지 않은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과거에 활발히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이용 되지 않는 공간과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 이용 되지 않는 공간이 모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네가지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측면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네가지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①소프트웨어를 자유로운 목적으로 활용 가능, ②소프트웨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수정 및변경 가능, ③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배포 가능, ④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개선하고 개선사 항을 일반대중에게 공개 가능(Steiniger and Hunter,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mara, G., L. Vinhas, and R.C.M. de Souza. 2012. Geospatial free and open source sftware in the 21st century, chapter 14 free and open source GIS: will there ever be a Geo-Linux?.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229-246. 

  2. City of Lakewood. 2009.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report. Lakewood, Ohio. 

  3. Kim, H.J. and S.H. Yi. 2011.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concept revealed at the renovation plans of under-used spaces -focused on the plans appeared at the former research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6):103-112 (김현주, 이상호. 2011.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6):103-112). 

  4. Kim, J.B., J.Y. Song, and S.Y. Rhew. 2005. Study of software development model based on opensourc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6(4):229-234 (김종배, 송재영, 류성열. 2005. 오픈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6(4): 229-234). 

  5. Kim, K.S. and K.H. Lee. 2014. A web application for open data visualization using 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72-81 (김광섭, 이기원. 2014. R 이용 오픈 데이터 시각화 웹 응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2):72-81). 

  6. Lim, Y.K. and H.S. Lim. 2012. Neighborhood regeneration policy proposal on the revitalization and reclamation of vacant urban spaces. Architecture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p.37 (임유경, 임현성. 2012.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37쪽. 

  7. MLTMA(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ICTEP(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and KURC(Korea Urban Renaissance Center). 2010. Building databas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for urban decline.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도시재생사업단. 2010. 도시쇠퇴 실태 자료구축 및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8. Mori, A.E. 2004.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in Boston. Master's Thesi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p.6-7. 

  9. Nam, S.K., Y.S. Oh, T.H. Kim, J.A. Kang, and J.W. Kim. 2009. Developing an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based on u-GIS using an opensource GIS softw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7(4):67-74 (남상관, 오윤석, 김태훈, 강진아, 김장욱. 2009.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u-GIS 기반 도시 지상시설물 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4):67-74). 

  10. Oh, J.G. and K.H. Kim. 2011. A study on the concept of underused multi-dimensional spac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space renew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7):87-95 (오준걸, 김광현. 2011. 유휴 입체공간의 개념과'공간재생'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7(7):87-95). 

  11. Ramsey, P., J. Garnett, and J. Eichar. 2005. uDig Technical Overview. Retrieved May 10. 2016. from http://udig.refractions.net/files/docs/osg05TechnologySession.pdf. 

  12. Rey, S.J. 2009. Show me the code: spatial analysis and open source.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1(2):191-207. 

  13. Song, D.H., J.W. Ryu, and E.H. Jung. 2015. A study on application of open platform of spatia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105-119 (송대호, 류지원, 정응호. 2015.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 개선을 위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활용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1):105-119). 

  14. Steiniger, S. and A.J.S. Hunter. 2013. The 2012 free and open source GIS software map - a guide to facilitate research, development, and adoption.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9:136-150. 

  15. Yoo, H.Y., K.W. Lee, K.J. Lee, and Y.S. Kim. 2013. Questionnaire analysis of geo-spatial open source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06-119 (유희영, 이기원, 이광재, 김용승. 2013. 공간정보 오픈소스 활용 설문조사에 따른 현황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06-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