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지각된 인지기능, 피로 및 주간 졸림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phone Overuse on Perceived Cognitive Function, Fatigue,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9 no.3, 2016년, pp.245 - 255  

정미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주경옥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송미순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경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overuse and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age, relationship with friend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ime of smartphone usage on perceived cognitive functions, fatigue,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지각된 인지기능, 피로, 주간 졸림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 중재 전략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보유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3%보다 더 높았다[2]. 이러한 차이는 대학생들은 10대와 달리 미디어 기기 사용에 대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자신의 선호에 따라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구매 및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015년 미디어 보유와 이용행태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사용자는 전화기, 컴퓨터, TV, 종이 매체를 이용하는데 하루 평균 6시간 20분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전화기 사용은 평균 1시간 43분이었다.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에 미치는 주요 문제들은 무엇인가? 최근까지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상당수의 연구에서 신체적, 정신적 증상과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주요 문제로는 두통, 근골격계 문제, 안구 건조증, 시력 저하, 어지러움, 손발 저림 등의 신체적 증상부터 우울, 강박증, 공격성, 현실과 가상세계의 혼동 등의 정신건강장애까지 매우 다양하였다[3, 5, 6]. 하지만 현재까지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자파의 생물학적 영향 또는 사회문화적 경향, 정신 역동, 행동주의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와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밝히고 관련요인을 규명하는데 기여했지만, 중독자로 구분되지 않는 다수의 잠재적 위험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들이 직면할 수 있는 건강 관련 문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2016년 3월 기준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몇 명인가? 무선 통신 시장의 확대로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2016년 3월을 기준으로 보고된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6,000만 명에 이르고 있다[1]. 대학생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고등학생 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DI. Present situation of subscribers to 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 in May [internet]. Seoul: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5 [cited 2016 July 07]. Available from: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do?mIdMTQ2 

  2. Kang SJ. Korea media panel survey statistics. 2015 Korea media panel survey. Chungcheongbuk-do: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5 December. Report No.: 15-12. 

  3. Im K, Hwang S, Choi M, Seo N, Byun J.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3;26(2):124-131. 

  4. van Deursen AJAM, Bolle CL, Hegner SM, Kommers PAM.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5;45:411-420. http://dx.doi.org/10.1016/j.chb.2014.12.039 

  5. Lee B, Kim S, Kim Y, Bae J, Woo S, Woo 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3;26(1):45-53. 

  6. Hwang K, Yoo Y, Cho O.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0):365-375.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365. 

  7. Shaffer HJ. Understanding the means and objects of addiction: Technology, the internet, and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996;12(4):461-469. http://dx.doi.org/10.1007/BF01539189 

  8. Wood W, Neal DT. A new look at habits and the habit-goal interface. Psychological Review. 2007;114(4):843-863. http://dx.doi.org/10.1037/0033-295X.114.4.843 

  9. Lee J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mart phone use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clas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3;18(4):191-199. http://dx.doi.org/10.9708/jksci.2013.18.4.191 

  10. Cho GY, Kim YH. 2012 The survey of internet addiction [internet].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cited 2016 July 17].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4071 

  11. Park J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13. p. 1-51. 

  12. Kaplan S, Kaplan R. Cognition and environment. New York: Praeger; 1989. p. 99-115. 

  13. Kim D, Lee K, Lee Y, Cha S, Lim S, Won C,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17(1):105-112. http://dx.doi.org/10.21896/jksmch.2013.17.1.105 

  14. Szyjkowska A, Gadzicka E, Szymczak W, Bortkiewicz A. The risk of subjective symptoms in mobile phone users in Poland-An epidemiolog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14;27(2):293-303. http://dx.doi.org/10.2478/s13382-014-0260-1 

  15. Abramson MJ, Benke GP, Dimitriadis C, Inyang IO, Sim MR, Wolfe RS, et al. Mobile telephone use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in young adolescents. Bioelectromagnetics. 2009;30(8):678-686. http://dx.doi.org/10.1002/bem.20534 

  16. Thomee S, Harenstam A, Hagberg M.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2011;11:66-77. http://dx.doi.org/10.1186/1471-2458-11-66 

  17. Nathan N, Zeitzer J. A survey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daytime sleepiness in California high school students. BMC Public Health. 2013;13:840-845. http://dx.doi.org/10.1186/1471-2458-13-840 

  18. Van den Bulck J. Adolescent use of mobile phones for calling and for sending text messages after lights out: results from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a one-year follow-up. Sleep. 2007;30(9):1220-1223. 

  19.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validity of a two-item depression screener. Medical Care. 2003;41(11):1284-1292. http://dx.doi.org/10.1097/01.MLR.0000093487.78664.3C 

  20. Sole B, Jimenez E, Martinez-Aran A, Vieta E. Cognition as a target in major depression: new developments.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2015;25(2):231-247. http://dx.doi.org/10.1016/j.euroneuro.2014.12.004 

  21. Shin J, Kim H, Jung C, Kim J, Jung S, Cho H, et al.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3;52:115-121. https://doi.org/10.4306/jknpa.2013.52.3.115 

  22. Shin YM.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usage motivation and utilization degree and smartphone overuse [master's thesis]. Seoul: Dankook Univeristy; 2011. p. 1-56. 

  23. Jung MS. Cognitive function in Korean women diagnosed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dissert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2012. p. 1-221. 

  24. Dutra CK, Guirardello Ede B. Validation of the Brazilian version of the Attentional Function Index.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13;21(2):604-609. http://dx.doi.org/10.1590/S0104-11692013000200018 

  25. Kim YK.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job stress among taxi drivers in shift work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8. p. 1-41. 

  26.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6):540-545. 

  27. Cho Y,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and Breathing. 2011;15(3):377-384. http://dx.doi.org/10.1007/s11325-010-0343-6 

  28. Na YK, Nam HI, Park KW, Woo NH, Yoon YR, Jang MK, et al. The effect on well-be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1;36(2):172-182. 

  29. Yoo HS, Kim CW, Na JE. A study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November. Report No: 11-138300-00415-01. 

  30. Chen J, Liang Y, Mai C, Zhong X, Qu C. General deficit in inhibitory control of excessive smartphone users: evidence from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2016;7(511):1-9. http://dx.doi.org/10.3389/fpsyg.2016.005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