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Attempts to Quit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9 no.3, 2016년, pp.277 - 285  

박지연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e of attempts to quit smoking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 smokers. Meth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2015 $11^{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number of subjects was 5,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흡연 청소년의 금연을 돕기 위한 학교의 보건정책과 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기에 향후 이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나타내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와 관련요인을 확인한 연구로써, 고위험 흡연자를 감소시켜 다음세대의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물론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지만, 이미 흡연을 시작한 청소년들은 본인의 의지만으로 금연을 시도하기가 어려우므로, 보건의료인들은 흡연 청소년들의 금연시도를 파악하고, 이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금연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금연시도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연구이다.
  • 그러므로 기존에 연구된 바와 같이, 청소년에게는 흡연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흡연을 시작한 청소년들에 대한 체계적인 금연방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금연시도와 성공을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청소년에게 가장 적절한 보건정책을 수립하기 위한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금연시도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앞으로 이들을 위한 학교보건에서의 효과적인 금연정책수립 및 중재 프로그램의 기반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청소년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학교 보건의 금연 중재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청소년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제 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을 위해 청소년기에 흡연행위 고착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1세로 조사된 이후, 매년 낮아지고 있어 그 심각성은 더해지고 있다[4]. 특히, 청소년기의 흡연은 세포 및 조직에 치명적인 피해와 손상을 일으키며, 범죄유발, 성문제, 우울증, 자살 등의 위험성을 높이고 신체적으로도 여러 위험을 높이므로 학교에서도 심각한 보건문제로 대두된다[5]. 청소년기의 이러한 위험 행동은 결국 성인기의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며 이는 의학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건강에 위험이 되는 행동이다[6]. 이처럼 평생의 건강을 위하여 청소년기에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청소년의 성인기 이후까지의 건강을 위해 무엇보다 청소년기에 흡연행위가 고착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지며, 금연시도를 높이는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금연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오늘날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오늘날 청소년들은 각종 시험과 입시로 인한 스트레스를 심하게 호소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미흡하여 유혹에 빠지기 쉬운데, 대표적인 것이 흡연이다. 흡연을 하는 청소년이 담배를 끊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성인의 흡연 시작시기가 주로 청소년이기이며[1], 이들 중 대부분이 정기적인 흡연자로 발전하기 때문이다[2].
흡연을 하는 청소년이 담배를 끊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청소년들은 각종 시험과 입시로 인한 스트레스를 심하게 호소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미흡하여 유혹에 빠지기 쉬운데, 대표적인 것이 흡연이다. 흡연을 하는 청소년이 담배를 끊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성인의 흡연 시작시기가 주로 청소년이기이며[1], 이들 중 대부분이 정기적인 흡연자로 발전하기 때문이다[2]. 한번 시작된 흡연은 중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성인이 될 때까지 흡연을 계속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3], 흡연을 경험한 청소년에게 금연을 유도하는 일은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위해서 매우 중요함으로 청소년 금연과 관련된 연구의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ng KO, Byun, EK, Lee NY, Choi, SY. The effects of knowledge about the harmfulness of smoking and attitude toward smoking tempt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es. 2010;21(4):522-531. https://dx.doi.org/10.12799/jkachn.2010.21.4.522 

  2. Lee SY, Lee SW.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000;25(2):41-50. 

  3. Fergusson DM, John HL. Transitions to cigarette smoking during adolescence. Addictive Behaviors. 1995;20(5):627-642. https://dx.doi.org/10.1016/0306-4603(95)00023-6 

  4.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Reports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Youth Risk Behavior Report. Chungcheongbuk-do: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December. Report No.:11-1460736-000038-10. 

  5. Pavanello S, Clonfero E. Biomakers of genotoxic risk and metabolic polymorphism. Medicina Del Lavoro. 2000;91(5):431-469. 

  6. Jee YJ, Kim YH.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risk behavior of late adolescents: Based on 2010 Korea adolescent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s. 2014;44(2):179-188. http://dx.doi.org/10.4040/jkan.2014.44.2.179 

  7. Ana M, Christina SL, Laura M, David RS, Belinda B, Richard AB, et al. Health risk behaviors in relation to making a smoking quit attempt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9;32(2):142-149. https://dx.doi.org/10.1007/s10865-008-9184-1 

  8. Kim HK, Park JY, Kwon EJ, Choi SH, Cho HI. 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programs by interven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in Korean journal during recent 3 year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3;30(5):61-77. https://dx.doi.org/10.14367/kjhep.2013.30.5.061 

  9. Albayrak S, Ergun A. Smoking and desire to quit smoking behavior in a sample of Turkish adolescents. Journal of Addictions Nursing. 2015;26(1):41-46. https://dx.doi.org/10.1097/JAN.0000000000000063 

  10. Abrantes A, Lee C, MacPherson L, Strong D, Borrelli B, Brown R. Health risk behaviors in relation to making a smoking quit attempt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9;32(2):142-149. https://dx.doi.org/10.1007/s10865-008-9184-1 

  11. Smit ES, Fidler JA, West R. The role of desire, duty and intention in predicting attempts to quit smoking. Addiction (Abingdon, England). 2011;106(4):844-851. https://dx.doi.org/10.1111/j.1360-0443.2010.03317.x 

  12. Jang JY. Analysis of related factors on middle school student smoking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p. 1-86. 

  13. Kim SR. Influencing factors on smoking quit attempts in adolescent smoker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p. 1-100. 

  14. Yi YJ, Lee KJ, Kim YS. Influences of demographic,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factors on smoking cessation success in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4):303-311. https://dx.doi.org/10.5392/JKCA.2011.11.4.303 

  15. Rubinstein ML, Rait MA, Sen S, Shiffman S.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intermittent and daily smokers. Addictive Behaviors. 2014;39(9):1337-1341. https://dx.doi.org/10.1016/j.addbeh.2014.04.021 

  16. Fagan P, Augustson E, Backinger CL, O'Connell ME, Vollinger RJ, Kaufman A, et al. Quit attempts and intention ot quit cigarette smoking among you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7;97(8):1412-1420. https://dx.doi.org/10.2105/AJPH.2006.103697 

  17. Darlow S, Marci L. Smoking behavior and motivational flexibility in light and heavy smokers. Addictive behaviors. 2012;37(5):668-673. https://dx.doi.org/10.1016/j.addbeh.2012.02.001 

  18. Cho KS, Yoon JH. Changes in smoking behavior following an increase in cigarette price among Korean adolescen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4;34(4):500-522. https://dx.doi.org/10.15709/hswr.2014.34.4.500 

  19. Kim HO. A study on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3):237-249. 

  20. Shishani K, Stevens K, Dotson J, Riebe C. Improv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using online education and simulation to help smokers quit. Nurse Education Today. 2013;33(3):210-230. https://dx.doi.org/10.1016/j.nedt.2012.03.002 

  21. Staton WR, Smith KM. A critique of evaluated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mes. Journal of Adolescence. 2002;25(4):427-438. https://dx.doi.org/10.1006/jado.2002.0486 

  22. Mermelstein R. Teen smoking cessation. Tobacco Control. 2003;12:25-34. https://dx.doi.org/10.1136/tc.12.suppl_1.i25 

  23. Wiehe SE, Garrison MM, Christakis DA, Ebel BE, Rivara FP. A systematic review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trials with long-term follow-up.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5;36(3):162-169.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04.12.003 

  24. Park J, Min S, Jang JY.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smoking expectancy-value and normative beliefs on nonsmoking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2010;14(3):234-256. https://dx.doi.org/10.15814/jpr.2010.14.3.234 

  25. Solomon L, Bunn J, Flynn B, Pirie P, Worden J, Ashikaga T. Mass Media for Smoking Cessation in Adolescents.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2009;36(4):642-659. https://dx.doi.org/10.1177/1090198106298421 

  26. Sim JY, Han NY, Cheng YS, Yoo MY, Park EH. Factors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success at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3):325-333. 

  27. Choi JH, Kim M, Choi EJ, Kim HK. Effectiveness of video-and discussion-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3;20(3):19-35. 

  28. Jeon HJ. The study of smoker's no-smoking decision and success factors - The implications of no-smoking policy.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013;29(1):89-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