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혼자식사와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 실태 조사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Meal Alone and Processed Food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6, 2016년, pp.911 - 922  

최병범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meal alone and processed food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353 college students (171 fo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혼자식사와 식행동에 관한 사항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혼자식사에 관한 사항, 혼자식사를 하는 대학생의 식행동, 식습관 및 가공식품 섭취상태를 조사하여 혼자 식사하는 대학생의 식생활개선과 유용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개인의 식습관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되므로 이미 형성된 식습관은 단기간에 변화시키기 어렵고, 이러한 식생활 문제는 성인기에서 노인기까지 영향을 미친다 (Ko MS 2007). 대학생 시기는 부모와 학교에 의한 타율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자율적인 생활과 독립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시기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면서 확고한 가치관이 형성되어가고 성인기에 습관화될 식생활 태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시기이다(Park KA 2003; Chang 등 2011).
혼밥족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70년대 산업화 이후, 최근 저출산과 노령화로 인한 빠른 핵가족화로 한 가구의 가족 인원 감소와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이로 인한 혼자식사를 하는 이른바 ‘혼밥족’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학생도 대학 생활이 불규칙해지고, 외부 활동이 많아지면서 고등학교에 비해 개인화된 스케줄로 인해 혼자 식사하는 기회가 많아지는 등의 식생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Lee 등 2015).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가족식사 기회 결여와 혼자식사로 인해 나타난 많은 영양문제로 심각한 식생활을 지적하고 있고, 학생들의 혼자 식사는 결식 증가와 올바른 식습관을 방해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횟수는 학업이나 취업준비로 인해 더욱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Koo YN 2014).
대학생의 식생활에서 다양한 주거 형태로 인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대학생의 식생활은 부모세대보다 간편화, 편리화, 서구화, 체형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식사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수업시간표, 자유 시간 증가, 아르바이트, 동성 및 이성 친구와의 교제 등으로 인한 불규칙한 식사와 잦은 결식, 외모 및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 등 매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이 지적되고 있다(You 등 2008; Song 등 2009; Kim 등 2013). 또한, 대학생들은 원거리 통학이나 기숙사, 자취 생활의 보편화 등 다양한 주거 형태로 인하여 독자적인 식습관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른 외식이나 편리한 간편식, 가공 식품을 선호하게 되어 좋지 못한 식습관을 형성하기 쉬우며, 영양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식품 선택의 오류도 보고되고 있다 (Choi MJ 2009; Kim SJ 2015). 지난해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성인 식생활평가지수는 100점 만점에 59점 수준으로, 이 중 20대는 평균치에도 못 미치는 5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ng HB, Lee HY, Han YH, Kim KN, Hyn TS. 2011.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6:324-336 

  2. Choi BB. 2013. Dietary habit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the northern Gyeonggi-do region. Korean J Food & Nutr 26:404-413 

  3. Choi MJ. 2009. Dietary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actual status of fast food intake: Focused on Chungchengdo area.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 Yesan. Korea 

  4. Gu YN. 2014. Frequency of eating-alone and dietary behavior in accordance with collegian grade in some areas of Seoul. MS Thesis, Chungang Univ. Seoul. Korea 

  5.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181-191 

  6. Kim MJ, Kim KH, Kim HY. 2013.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Haman Ecology 22:701-709 

  7. Kim SH, Joung KH, Chae BS. 2007. Dietary life and eating-out style related to breakfast frequency of male students in culinary college. Korean J Community Nutr 12:13-24 

  8. Kim SJ, Bu SY, Choi MK. 2015. Preference and the frequency of processed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88-196 

  9. Kim SJ. 2015.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 dietary behavior and processed food intake status according to residing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 Yesan. Korea 

  10. Kim YS, Choi BB. 2016. Recognition and consumption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college students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Korean J Food & Nutr 29:206-217 

  11.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 Nutr 12:259-271 

  12. Korea JoongAng Daily. 2016. Available from: http://news.joins.com/article/20573528 

  13. Lee KO, Cho EJ. 2013. Comparison of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 and person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600-1607 

  14. Lee YM, Cho WK, Oh YJ. 2012. Comparison of eating behavior between commensality and solo-eating of university students by BMI. Korean J Community Nutr 17:280-289 

  15. Lee YM, Oh YJ, Cho WK, Jo PK. 2015.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1:57-71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2015. 2014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processed food in Korean. pp.116-144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sch/index.jsp 

  18. Park KA. 2003. Food preferences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in Kyungbuk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527-541 

  19. Song YJ, Paik HY, Joung HJ. 2009. A comparis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722-733 

  20. Statistics Korea. 20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 

  21. Winkleby MA, Cubbin C. 2004. Changing patterns in behaviors and risk factor related to chronic diseases, 1990-2000. Am J Health Promot 19:19-27 

  22. Won HR. 2010. A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food labelilng system according to residence type in Wonju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1:581-593 

  23. You JS, Chin JH, Kim MJ, Chang KJ. 2008. College students' dietary benavior,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41:818-831 

  24. Yu HJ. 2012. Eating habits and snacking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and gender of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MS Thesis, Konguk Univ Seoul.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