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무작위시험설계
A Systematic Review of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OPD Patien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2, 2016년, pp.82 - 99  

안민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김윤희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s using qualitative synthesis. Methods: Studies 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dentified to extract data and to as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더욱이 개별 연구들 간에 비뚤림 위험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통계 방법을 통한 양적 합성보다는 정성적 합성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COPD 환자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무작위시험설계 연구를 체계적인 검색을 통해 선정한 후 선택된 문헌을 질평가(Risk of Bias, ROB)하고 정성적 합성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는 추후 COPD 환자를 위해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임상전문가와 적용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자에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구성, 효과적인 중재 및 종속변수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추후 문헌의 질평가에 대한 평가자 훈련과 보완을 통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중재의 범위를 축소하여 양적인 합성을 통한 결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COPD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시험설계로 이루어진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국내 ․ 외 선행연구에 대해 질평가 및 정성적 합성을 통해 COPD 환자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 효과를 요약 제시하였다. 체계적 검색과정을 통해 포함된 최종 9편 연구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은 크게 운동, 교육 및 심리사회적 중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동내용이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호흡운동 등 5가지이고, 유산소운동에도 걷기, 계단오르기 등 7가지 운동이 있으며, 교육내용에서도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졌다.
  • 본 연구는 국내·외 COPD 환자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한 RCT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 본 연구목적은 국내·외 COPD 환자 대상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 RCT 연구를 고찰하여 중재내용 및 주요 결과를 분석하고 COPD 환자에게 적용한 가정호흡재활과 관련된 최신 경향을 파악하여 COPD 환자 대상의 효율적인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 중재방안에 대한 기초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인가?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병원중심 프로그램과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병원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장점은 입원이나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다학제 팀 접근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대상자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병원을 방문하는 번거로움과 교통비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병원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단점은 무엇인가?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병원중심 프로그램과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병원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장점은 입원이나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다학제 팀 접근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대상자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병원을 방문하는 번거로움과 교통비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그에 반해 가정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프로그램 내용을 조절할 수 있어 운동량 조절이 가능하며, 병원 방문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KATRD, 2015).
가정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병원을 방문하는 번거로움과 교통비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그에 반해 가정중심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프로그램 내용을 조절할 수 있어 운동량 조절이 가능하며, 병원 방문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KATRD, 2015). 또한 COPD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수행한 무작위시험설계 중 병원중심 호흡재활과 가정중심 호흡재활은 삶의 질이나, 호흡곤란에 있어서 동일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Maltais et al., 2008). 뿐만 아니라 가정중심 호흡재활은 집 혹은 원하는 장소에서 환자 스스로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증상완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오고, 공간, 장비, 인력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가족 및 지역 사회 측면에서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환자에게 편리하고, 장기적인 자기관리 능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호흡재활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Boxall, Barclay, Sayers, & Caplan, 2005; KATRD,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xall, A. M., Barclay, L., Sayers, A., & Caplan, G. A. (2005). Manag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the commun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for elderly housebound patients.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25(6), 378-385. 

  2. Dinesen, B., Haesum, L. K., Soerensen, N., Nielsen, C., Grann, O., Hejlesen, O., et al. (2012). Using preventive home monitoring to reduce hospital admission rates and reduce costs: A case study of telehealth amo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18(4), 221-225. http://dx.doi.org/10.1258/jtt.2012.110704 

  3. Erfani, A., Moezy, A., Mazaherinezhad, A., & Mousavi, S. A. J. (2015). Does downhill walking on treadmill improve phys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a patient with COPD?. Asi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6(4), e25821. http://dx.doi.org/10.5812/asjsm.25821 

  4. Fernandez, A. M., Pascual, J., Ferrando, C., Arnal, A., Vergara, I., & Sevila, V. (2009).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very severe COPD: Is it safe and useful?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29(5), 325-331. http://dx.doi.org/10.1097/HCR.0b013e3181ac7b9d 

  5. Higgins, J. P. T., Altman, D. G., & Sterne, J. A. C. (2011). Assessing risk of bias in included studie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5.1th) The Cochrane Collaboration. [cited 2016 June 1] Available from www.cochrane-handbook.org. 

  6. HIRA.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Retrieved January 2, 2015,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332058_27116.html&subject. 

  7. Jang, H. J., & Park, K. M. (2003). Analysis of research about pulmonary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OPD.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2), 312-322. 

  8. Jeong, S. W., Lee, J. H., Choi, K. J., Hwangbo, Y., Kim, Y. Y., Lee, Y. J., et al. (2010). Comparison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in COPD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nd acute exacerbation.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9(1), 31-38. http://dx.doi.org/10.4046/trd.2010.69.1.31 

  9. Jung, J. H., & Kim, J. Y. (2006).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1(6), 533-546. 

  10. KATRD. (2015). Consensus document on pulmonary rehabilitation in korea 2015. Retrieved April 18, 2015, from http://www.lungkorea.org/thesis/file/cdpr_2015.pdf 

  11.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2. Liu, X. L., Tan, J. Y., Wang, T., Zhang, Q., Zhang, M., Yao, L. Q., et al. (2014). Effectiveness of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meta 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habilitation Nursing, 39(1), 36-59. http://dx.doi.org/10.1002/rnj.112 

  13. Maher, C. G., Sherrington, C., Herbert, R. D., Moseley, A. M., & Elkins, M. (2003). Reliability of the PEDro scale for rating quality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hysical Therapy, 83(8), 713- 721. 

  14. Maltais, F., Bourbeau, J., Shapiro, S., Lacasse, Y., Perrault, H., Baltzan, M., et al. (2008). Effects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z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9(12), 869-878. http://dx.doi.org/10.7326/0003-4819-149-12-200812160-00006 

  15. Man, W. D., Polkey, M. I., Donaldson, N., Gray, B. J., & Moxham, J. (2004). Community pulmonary rehabilitation after hospitalisation for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andomised controlled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9(7476), 1209. http://dx.doi.org/10.1136/bmj.38258.662720.3A 

  16. Mohammadi, F., Jowkar, Z., Reza Khankeh, H., & Fallah Tafti, S. (2013). Effect of home-based nursing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sed clinical trial.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8(8), 398-403. http://dx.doi.org/10.12968/bjcn.2013.18.8.398 

  17. Oh, E. G., Kim, S. H., Kim, S. H., Park, H. O., & Lee, C. W. (2002).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3), 368-377. 

  18. Oh, E. G., Park, H. O., Bang, S. Y., Lee, C. H., Yeo, J. H., & Kim, S. H. (2003). Effects of a short-term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570-579. 

  19. Oh, H. S. (2003).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6), 743-752. 

  20. Pan, L., Guo, Y. Z., Yan, J. H., Zhang, W. X., Sun, J., & Li, B. W. (2012). Does upper extremity exercise improve dyspnea in patients with COPD? A meta-analysis. Respiratory Medicine, 106(11), 1517-1525. http://dx.doi.org/10.1016/j.rmed.2012.08.002 

  21. Park, H., Jang, K. S., Choi, J. Y., & Kim, Y. H. (2015). Systematic search for guidelin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part II: Using the ovid MEDLI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1), 64-76.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64 

  22. Pomidori, L., Contoli, M., Mandolesi, G., & Cogo, A. (2012). A simple method for home exercis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ne-year study.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32(1), 53-57. http://dx.doi.org/10.1097/HCR.0b013e31823be0ce 

  23. Song, H. Y. (2015). Developing a home-based self-management support intervention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8(2), 75-87. 

  24. Spruit, M. A., Singh, S. J., Garvey, C., ZuWallack, R., Nici, L., Rochester, C., et al. (2013). An official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statement: Key concepts and advances in pulmonary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8(8), e13-e64. http://dx.doi.org/10.1164/rccm.201309-1634ST 

  25. Statistics Korea. (2014). 2014 Report for causes of death. Retrieved. September 23,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48541 

  26. Subin Rao, V., Prem, V., & Sahoo. (2010). Effect of upper limb, lower limb and combined train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PD. Lung India, 27(1), 4-7. http://dx.doi.org/10.4103/0970-2113.59260 

  27. Vieira, D. S., Maltais, F., & Bourbeau, J. (2010).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Current Opinion in Pulmonary Medicine, 16(2), 134-143. http://dx.doi.org/10.1097/MCP.0b013e32833642f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