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양 영남루 단청의 창의적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Pattern Elements of Dancheong in Yeongnamnu Pavilion, Miryang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6, 2016년, pp.81 - 88  

구미주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곽동해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original design and character of dancheong in Yeongnamnu P avilion which features unusual portraits of twisting dragons and four heavenly creatures. Its artistic value and originality can be found in the portraits of four heavenly creatures which are painte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부터라도 이러한 기록화와 포괄적인 연구와 함께 단청의 개별 문양 및 화공(畫工) 등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영남루 단청 문채의 전반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대량머리초에 남아 있는 용실(龍絲) 문양의 조형 특성과 네 귀의 선자연에 채화된 사신도(四神圖)의 특성을 고찰하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그림 1.
  • 물론 영남루의 전신이었던 영남사 누각의 단청에 대한 기사가 전해지지만, 본고에서는 고려 말(1365년) 김주가 영남루 확장·중건한 이후 근현대까지의 단청 연혁을 다루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남루는 무엇인가? 영남루는 조선시대 밀양도호부의 객사에 딸린 부속 누각으로서 전면 5칸, 측면 4칸 규모에 익공과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건축되었다. 조선시대 지방 관영(官營) 누각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영남루는 고려말기에 초창된 후 여러 차례 소실1)과 중건2)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남루의 단청이 타 관영 누각과 차이되는 점은 무엇인가? 영남루의 단청은 타 관영 누각에서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화려한 양식이 특징이다. 대개 누각은 사찰의 불전과 달리 장엄의 등급이 다소 낮은 모로단청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영남루 단청은 머리초를 장식하고 그 중심부에도 금문이나 별화를 장식하는 금모로 양식, 또는 금단청 양식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영남루 단청의 보존 상태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이상과 같이 영남루 단청의 보존 상태가 위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물론 내 외부와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정도의 차이에 큰 원인이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 동안 거듭되는 보수를 거치면서 부분적으로 단청이 개칠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퇴락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에 따라 문양의 구성양식 역시 다양한 시대적 특성을 보여주며, 채 화(彩畵)와 선묘의 솜씨도 능숙함과 미숙함이 공존하는 양상이 현저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淮南子 

  2. 營造法式 

  3. 承政院日記 

  4. 朝鮮王朝實錄 

  5. 林下筆記 

  6. 新增東國輿地勝覽 

  7. 密州誌 

  8. 密州舊誌 

  9. 嶺南樓題詠詩文, 정경주 편역, 밀양문화원, 2002 

  10. 곽동해, 전통안료의 문헌사적 연구, 학연문화사, 2012 

  11.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002 

  12. 곽동해, 전통불화의 맥, 학연문화사, 2006 

  13. 김동현, 한국 목조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1995 

  14. 김한옥, 단청도감, 현암사, 2007 

  15.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2012 

  16. 馬瑞田, 中國古建彩畵, 文物出版社, 1996 

  17. 野崎誠近, 中國吉祥圖案, 古亭書屋編譯, 衆文圖書股?有限公司, 1979 

  18. 임영주, 단청, 대원사, 1991 

  19. 장기인.한석성, 한국건축대계 III: 단청, 보성문화사, 1982 

  20. 竹島卓一, 營造法式の硏究, 第三, 中央公論美術出版, 昭和47(1972) 

  21. 한석성.박해진.김대벽,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단청, 현암사, 2004 

  22. 김동현.장기인.김병호, (Forum) 한국의 단청, 공간, 103호, 1976.1. 

  23. 신영훈.김동현, 한국고건축단장: 그 양식과 기법 17.18. 단청(上).단청(下), 공간, 51.52호, 1971.2-3. 

  24. 신영훈, 건축에 응용된 문양의 상징성 (김원룡 외, 한국의 미 13: 사원건축), 중앙일보사, 1983 

  25. 임영주, 한국 단청양식의 원류에 대하여, 문화재, 17호, 1984 

  26. 예용해, 단청, 문화재, 7호, 1973 

  27. 장경호, 우리나라 단청과 그 보존, 공간, 160호, 1980.10. 

  28. 이호열, 밀양 영남루 연혁 및 건축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9권, 1호, 2000.3.6. 

  29. 곽동해, 연화머리초의 성립에 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 6호, 2005 

  30. 정경용, 韓國丹靑에 關한 硏究-大樑紋樣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31. 양윤식, 문헌자료조사 (안동시, 봉정사 대웅전 해체 수리공사보고서), 2004 

  32.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11권, 1931 

  33. 하강진, 19세기말 오횡묵이 저술한 밀양 관련 시문과 그 의미, 밀양문학, 22집, 2009 

  34. 문화재청, 밀양 영남루 실측조사보고서, 1999 

  35. 밀양시, 밀양 영남루 국보 승격을 위한 학술용역,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