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원생대 백령층군 사암의 쇄설성 저어콘 LA-MC-ICPMS U-Pb 연령: 중원생대 집중연령의 의미
LA-MC-ICPMS U-Pb Ages of the Detrital Zircons from the Baengnyeong Group: Implications of the Dominance of the Mesoproterozoic Zircon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9 no.6, 2016년, pp.433 - 444  

김명정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박정웅 (숭문고등학교) ,  이태호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송용선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박계헌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령층군의 사암에서 분리한 쇄설성 저어콘에 대해 LA-MC-ICPMS를 이용하여 U-Pb 연령을 측정하였다. 저어콘 연령은 주로 중원생대와 고원생대말의 기간인 약 1100-1800 Ma의 범위에 집중된다. 그러나 하부고생대 조선누층군이나 상부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쇄설성 저어콘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1800-2000 Ma 또는 약 2500 Ma의 고원생대 연령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북한의 신원생대 상원계 퇴적암과 동일하며, 백령층군이 상원계의 남서쪽 연장부에 해당함을 시사한다. 군산 인근에 분포하는 임피층이 백령층군과 아주 비슷한 쇄설성 저어콘의 연령분포를 보이는 것은 임피층 역시 상원계에 대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옥천변성대의 황강리층, 태백산 분지의 묘봉층, 삼방산층, 세송층 등 여러 퇴적층에서 보고된 중원생대 연령의 쇄설성 저어콘들은 중원생대의 저어콘을 갖는 한반도 내의 암석으로부터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from the Baengnyeong Group were determined by LA-MC-ICPMS, yielding condensed age population in the range from 1100 Ma to 1800 Ma corresponding to the Mesoproterozoic to late Paleoproterozoic. However, detrital zircons of ca.1800-2000 Ma or ca. 2500 Ma ages, whic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령도는 북한 황해남도의 서쪽 끝에서 서해쪽으로 돌출해있는 장산곶을 마주보는 곳에 위치한다. 이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문제들에 대한 논의의 단서를 구하기 위한 방도의 하나로 지리적인 위치로 볼 때 인접한 황해남도의 지질이 연장되어 분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백령도에서 채취한 규질 사암으로부터 분리한 저어콘에 대한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한다. 특히 백령층군의 쇄설성 저어콘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중원생대 연령의 의미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 2003) 그리고 홍성 지역(Kim and Kee, 2015)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등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처럼 많은 자료들이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의 하나가 북중국과 남중국 사이의 트라이아스기 대륙충돌대가 한반도로 연장되는지 여부, 이에 따라 경기육괴와 영남 육괴가 중국의 북중국지괴와 남중국지괴중 어떤 지괴와 대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답이다. 북중국지괴와 경기 및 영남육괴와의 연결 문제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그 사이에 놓여있는 북한지역은 분명히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매우 중요함은 분명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학자들에 의한 연구는 아주 적은 수에 불과하다(Lee and Kim, 2003; Song et al.
  • 이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문제들에 대한 논의의 단서를 구하기 위한 방도의 하나로 지리적인 위치로 볼 때 인접한 황해남도의 지질이 연장되어 분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백령도에서 채취한 규질 사암으로부터 분리한 저어콘에 대한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한다. 특히 백령층군의 쇄설성 저어콘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중원생대 연령의 의미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어콘 연령은 어디에 집중되는가? 백령층군의 사암에서 분리한 쇄설성 저어콘에 대해 LA-MC-ICPMS를 이용하여 U-Pb 연령을 측정하였다. 저어콘 연령은 주로 중원생대와 고원생대말의 기간인 약 1100-1800 Ma의 범위에 집중된다. 그러나 하부고생대 조선누층군이나 상부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쇄설성 저어콘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1800-2000 Ma 또는 약 2500 Ma의 고원생대 연령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백령도는 어디에 위치하는가? 백령도는 북한 황해남도의 서쪽 끝에서 서해쪽으로 돌출해있는 장산곶을 마주보는 곳에 위치한다. 이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문제들에 대한 논의의 단서를 구하기 위한 방도의 하나로 지리적인 위치로 볼 때 인접한 황해남도의 지질이 연장되어 분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백령도에서 채취한 규질 사암으로부터 분리한 저어콘에 대한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한다.
저어콘 연령의 특징은 무엇인가? 저어콘 연령은 주로 중원생대와 고원생대말의 기간인 약 1100-1800 Ma의 범위에 집중된다. 그러나 하부고생대 조선누층군이나 상부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쇄설성 저어콘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1800-2000 Ma 또는 약 2500 Ma의 고원생대 연령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북한의 신원생대 상원계 퇴적암과 동일하며, 백령층군이 상원계의 남서쪽 연장부에 해당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ndersen, T. (2002) Correction of common lead in U-Pb analyses that do not report 204Pb. Chemical Geology v.192, p.59-79. 

  2. Cho, D.-L. (2007) SHRIMP zircon dating of a low-grade meta-sandstone from the Taean Formation: provenance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KIGAM Bulletin, v.11(8), p.9-14. 

  3. Cho, D.-L. (2014)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of the Gurygong Group in Odesan area, east Gyeonggi massif, Korea: a new identification of Late Paleozoic strat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p.197-208. 

  4. Cho, D.-L., Suzuki, K., Chwae, U. and Adachi, M. (2007) CHIME ages of Precambrian rocks from the Goseong-Ganseong area, northea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6, p.1-11. 

  5. Cho, M., Cheong, W., Ernst, W.G., Yi, K. and Kim, J. (2013)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central Ogcheon foldthrust belt, Korea: evidence for tectonic assembly of Paleozoic sedimentary protolith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63, p.234-249. 

  6. Choi, P.-y., Rhee, C.W., Lim, S.-B. and So, Y. (2008) Subdivision of the Upper Paleozoic Taean Formation in the Anmyeondo-Boryeong area, west Korea: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sedimentary organiz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Geosciences Journal, v.12, p.373-384. 

  7. Choi, S.-J., Kim, D.-Y., Cho, D.-L. and Kim, Y.B. (2015)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metapelite o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Belt and its stratigraphic implication.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p.55-63. 

  8. Cluzel, D., Lee, B.-J. and Cadet, J.-P. (1991) Indosinian dextral ductile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v.194, p.131-151. 

  9. Ha, Y., Song, Y.-S. and Kim, J.-M. (2014) Gwangju Shear Zone: Is it the tectonic boundary between the Yeongnam massif and Okcheon metamorhic blet?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p.17-30. 

  10. Hu, B., Zhai, M., Li, T., Li, Z., Peng, P., Guo, J. and Kusky, T.M. (2012) Mesoproterozoic magmatic events in the eastern North China Craton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Geochronological evidence from detrital zircons in the Shandong Peninsula and North Korea. Gondwana Research, v.22, p.828-842. 

  11. IGSASDPRK (Institute of Geology State Academy of Sciences, DPR of Korea) (1996) Geo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s Publishing House, Pyongyang (1996) 631p. 

  12. Kee, W.-S., (editor) 2008. Tectonic correlation of major crustal units and construction of geoscience system of Northeast Asia. Basic Res. Rep. Korea Inst. Geosci. Miner. Resour. Report GP2007- 004-03-02, 316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m, D.-Y., Choi, S.-J. and Yi, K. (2015)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metapsammite in the Yeongam- Gangjin area. Econ. Environ. Geol., v.48, p.287-299. 

  14. Kim, H., Kihm, Y.H. and Kee, W.-S. (2012) Geological report of the Iri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51p. 

  15. Kim, H.S., Hwang, M.-K., Ree, J.-H. and Yi, K. (2013) Tectonic link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land Asia in the Cambrian: insights from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v.368, p.204-218. 

  16. Kim, S.-W. and Kee, W.-S. (2015) Tectonic correlation of the Neoproterozoic and Paleozoic rocks between the western Gyeonggi block in Korea and major blocks in Chian: geochronological implic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1, p.511-524. 

  17. Kim, S.W., Oh, C.W., Ryu, I.-C., Williams, I.S., Sajeev, K., Santosh and Rajesh, V.J. (2006)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Okcheon Belt, South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the Nanhua Rift,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Rifting in Rodinia. The Journal of Geology, v.114, p.717-733. 

  18. Lee, H.Y. (1995) Petrochemical study on the mantle xenoliths in alkali basalts from S. Korea: P-T regime of upper mantl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4, p.104-123. 

  19. Lee, J.-H. and Kim, Y.-D. (2003) Geology and ore deposit of the Apdong Nb-Ta mine, North Korea. Econ. Environ. Geol., v.36, p.407-413. 

  20. Lee, K.-S., Chang, H.-W. and Park, K.-H. (1998)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age and tectonic implication. Prec. Res. v.89, p.47-57. 

  21. Lee, S.R. and Cho, K. (2012)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p.89-112. 

  22.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Wingate, M.T.D. (2003)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v.122, p.297-310. 

  23. Lee, Y.I., Choi, T. and Orihashi, Y. (2011) LA-ICP-MS zircon U-Pb ages of the Precambrian Yuli Group.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7, p.81-87. 

  24. Lee, Y.I., Lim, H.S., Choi, T. and Orihashi, Y. (2010)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late Paleozoic Sadong Formation in the Pyeongchang coalfield, Gangweondo Provinse, Korea: implications for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6, p.73-81. 

  25. Lee, Y.I., Choi, T., Lim, H.S. and Orihashi, Y. (2012)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northeastern Okcheon belt,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material source, provenance, and tectonic setting. Sedimentary Geology, v.282, p.256-267. 

  26. Lee, Y.I., Choi, T., Lim, H.S. and Orihashi, Y. (2016) Detrital zircon geochronology and Nd isotope geochemistry of the basal succession of the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ondwana linkage of the Sino-Korean (North China) block during the Neoproterozoic-early Cambrian.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v.441, p.770-786. 

  27. Li, Z.X., Bogdanova, S.V., Collins, A.S., Davidson, A., De Waele, B., Ernst, R.E., Fitzsimons, I.C.W., Fuck, R.A., Gladkochub, D.P., Jacobs, J., Karlstrom, K.E., Lu, S., Natapov, L.M., Pease, V., Pisarevsky, S.A., Thrane, K. and Vernikovsky, V. (2008) Assembly, configuration, and break-up history of Rodinia: a systhesis. Precambrian Research, v.160, p.179-210. 

  28. Lim, S.-B., Choi, H.I., Kim, B.C. and Kim, J.C. (1999) Depositional systems of the sedimentary basins (I): depositional systems and their evolution of the Proterozoic Paegryeong Group and Taean Formation. KIGAM Report, MOST, 116p. 

  29. Liu, X. (1993) High-P metamorphic belt in central China and its possible eastward extension to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 p.9-18. 

  30. Ludwig, K.R. (2008)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v.4, p.77. 

  31. McKenzie, N.R., Hughes, N.C., Myrow, P.M., Choi, D.K. and Park, T.-Y. (2011) Trilobites and zircons link north China with the eastern Himalaya during the Cambrian. Geology, v.39, p.591-594. 

  32. Oh, C.W., Krishnan, S., Kim, S.W. and Kwon, Y.W. (2006) Mangerite magmatism associated with a probable Late-Permian to Triassic Hongseong-Odesan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Gondwana Research, v.9, p.95-105. 

  33. Park, K.-H. (2010) Evolution of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ic mantle of Korean Peninsula: partial loss and its timing.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9, p.199-208. 

  34. Paton, C., Woodhead, J.D., Hellstrom, J.C., Hergt, J.M., Greig, A., and Maas, R. (2010) Improved laser ablation U-Pb zircon geochronology through robust downhole fractionation correction.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v.11, Q0AA06. 

  35. Paton, C., Hellstrom, J., Paul, B., Woodhead, J., and Hergt, J. (2011) Iolite: freeware for the visualization and processing of mass spectrometric data. Journal of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v.26, p.2508-2518. 

  36. Peng, P., Zhai, M., Guo, J., Zhang, H. and Zhang, Y. (2011) Petrogenesis of Triassic post-collisional syenite plutons in the Sino-Korean craton: an example from North Korea. Geological Magazine, v.145, p.637-647. 

  37. Peng, P., Zhai, M., Li, Q., Wu, F., Hou, Q., Li, Z., Li, T. and Zhang, Y. (2011) Neoproterozoic (-900 Ma) Sariwon sills in North Korea: geochronology, geochemistry and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the south-eastern margin of the North China Craton. Gondwana Research, v.20, p.243-254. 

  38. Ree, J.-H., Cho, M., Kwon, S.-Ta. and Nakamura, E. (1996)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the Imjingang belt. Geology, v.24, p.1071-1074. 

  39. Rogers, J.J.W. and Santosh, M. (2002) Configuration of Columbia, a Mesoproterozoic supercontinent. Gondwana Research, v.5, p.5-22. 

  40. Song, Y.-S., Park, K.-H., Lee, H.-S., Cao, L. and Orihashi, Y. (2009)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granite gneiss from Jeungsan-Pyeongwon area of North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8, p.171-179. 

  41. Wiedenbeck, M., Alle, P., Corfu, F., Griffin, W.L., Meier, M., Oberli, F., von Quadt, A., Roddick, J.C., and Spiegel, W. (1995) Three natural zircon standards for UTh- Pb, Lu-Hf, trace element and REE analyses. Geostandards Newsletter, v.19, p.1-23 

  42. Yin, A. and Nie, S. (1993)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 eastern Asia. Tectonics, v.12, p.801-813. 

  43. Zhao, G., Cao, L., Wilde, S.A., Sun, M., Choe, W.J. and Li, S. (2006) Implications based on the first SHRIMP UPb zircon dating on Precambrian granitoid rocks in North Kore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v.251, p.365-379. 

  44. Zhao, G., Sun, M., Wilde, S.A. and Li, S. (2003) Assembly, accretion and breakup of Paleo-Mesoproterozoic Columbia Supercontinent: records in the North China Craton. Gondwana Research, v.6, p.417-4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