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좌석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의 의무 장착에 따른 효과분석
The Effectiveness for Consolidating Fitment of Safety Belt Reminder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6, 2016년, pp.127 - 137  

장정아 (아주대학교 TOD 기반 도시교통연구센터) ,  심소정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연구기획실) ,  김영선 (교통안전공단 철도항공교통안전본부 철도기술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좌석 안전띠는 자동차 안전장치 중 차량의 안전상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장치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운해중 안전띠의 착용률, 특히 뒷좌석의 착용률이 낮다. 최근 조사 자료에 의하면 뒷좌석의 안전띠 착용률은 20%의 수준이다. 최근 좌석 안전띠 미착용 알림장치(Seat Belt Reminder, SBR)를 의무화하는 것을 고려중에 있다. 본 연구는 SBR의 의무화할 경우의 도입효과에 대한 분석이다. 본 연구에서 안전띠 착용효과는 해외의 연구사례(Evans(1991) 모형)를 준용하였다. 주요 변수로 안전띠 초기착용률은 국내 조사자료, SBR로 인한 목표 착용률은 운전자 순응도에 따른 시나리오에 따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좌석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의 운전자 순응비율이 90%이상일 경우 매해 119명의 사망자의 감소효과를 가져올 것이고, 편익비용비가 1.84에 달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idely recognised that the safety-bel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vehicle safety features. Nevertheless, actual safety-belt wearing rates are low in Korea, especially rear seats. In Korea, rear seat safety-belt use can be as low as 20%. Consolidating fitment of Safety Belt R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데이터를 근간으로 SBR 의무 장착 방안에 대한 비용 및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정량화된 결과는 정부 정책의 실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안전기준 제27조(좌석안전띠장치 등)에는 일정 성능 이상을 가지는 좌석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의 경우 승용자동차 운전자석에 대해서만 의무장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제적인 흐름에 맞추어 승용자동차에 SBR장착을 의무화할 경우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SBR 설치 시 이를 운전자석, 보조석 및 뒷좌석의 탑승자가 SBR로 인하여 안전띠를 착용하는 행동(behaviour)에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를 가정으로 대안을 설정하였는데, 실제 그러한 행동이 수반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둘째, 평가기간을 10년으로 설정하였기에 2015년부터 출시되는 모든 신차는 폐차되지 않고 등록된 상태로 평가기간동안 운행한다는 가정하에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기에 이에 대하여 계상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생애주기모델의 정립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BR에 관한 국제적 추세는? 이중 최근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좌석 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Seat Belt Reminder, 이하 SBR)를 승용차의 모든 좌석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적인 추세로 2016년 11월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 자동차 기준 관련 국제회의를 통해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고음이 울리는 장치를 승용차 모든 좌석에 설치하도록 국제기준을 개정하는 방안이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다. 이러한 법규는 승용차와 5인승 이하 소형 화물트럭 등은 모든 좌석에 SBR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국내 뒷좌석의 안전띠 착용률은? 우리나라의 경우 운해중 안전띠의 착용률, 특히 뒷좌석의 착용률이 낮다. 최근 조사 자료에 의하면 뒷좌석의 안전띠 착용률은 20%의 수준이다. 최근 좌석 안전띠 미착용 알림장치(Seat Belt Reminder, SBR)를 의무화하는 것을 고려중에 있다.
좌석 안전띠는 무엇으로 인식되어 있는가? 좌석 안전띠는 자동차 안전장치 중 차량의 안전상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장치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운해중 안전띠의 착용률, 특히 뒷좌석의 착용률이 낮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OECD (2014),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International Traffic Safety Data and Analysis Group, Road safety annual report 2014, p.18. 

  2.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5), "Survey of back seat load factor and seat belt wearing rate,"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p.7, 24. 

  3. Press website,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1&aid0007074425, 2016.06.30. 

  4.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homepage, www.kama.or.kr, 2016.06.30. 

  5. Elvik R., Hoye A., Vaa T. and Sorensen M. (2009), "The handbook of road safety measures second edition," Emerald Group Publishing, p.189. 

  6.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2014), "Benefit assessment for fitment of Seat Belt Reminder (SBR) systems to M1 passenger seat positions and to other vehicle types," Client Project Report CPR1818, p.14. 

  7. Police agency (2014), Traffic accident statistics. 

  8. Evans L. (1991), Traffic Safety and the Driver,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p.20. 

  9. Road Traffic Authority (2014), Estimated cost of road traffic accidents by region, p.41. 

  10. http://kosis.kr/, 2016.09.30. 

  11. http://www.molit.go.kr/portal.do, 2016.09.30. 

  12. Road Safety Observatory (2013), "Seat Belts Review for the Road Safety Observatory," p.4. 

  13. iMobility website, http://www.esafety-effectsdatabase.org/applications_14.html,2016.06.30. 

  14. NHTSA (2007), The effectiveness of enhanced seat belt reminder systems, Observational Field Data Collection Methodology and Findings, NHTSA, p.20. 

  15. Lie A., Krafft M., Kullgren A. and Tingvall C. (2008), "Intelligent seat belt reminders-do they change driver seat belt use in Europe?," Traffic Injury Prevention. vol. 9m no. 5, pp.446-449. 

  16. Farmer C. M. and Wells J. K. (2010), "Effect of enhanced seat belt reminders on driver fatality risk,"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41, no. 1, pp.53-57. 

  17. Koren C. and Borsos A. (2013),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fatality figures: Where is the turning point?," Proceedings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9. pp.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