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required to evaluate ecological restorations in a comprehensive way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conservation areas such as DMZ and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new approach to evaluating ecological restorations with more various indexes than veget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양, 식생, 경관분야의 전문가 각 2명을 대상으로 Lee et al.(2015)의 연구결과로부터 본 연구를 위해서 선정된 생태복원 평가지표들의 검토와, 본 연구에서 분류한 훼손지유형 별로 복원사업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지표들로 구성이 되었는지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다.
  • 또한 친환경적인 시공재료와 생태적인 복원기술의 사용을 유도하는 평가기준의 뒷받침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 (2015)의 연구방법과 결과에 이어서, 생태복원 사업지의 토양, 식생, 생육지 및 경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실무자가 현장에서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유용한 평가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지역과 접하고 있는 DMZ(Demiliterized Zone) 및 인근 지역, 생태·경관 보전지역 및 산림보전지역 등 생태복원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보전우선지역의 생태복원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장기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현재 복원사업의 평가에 사용되고 있는 평가표는 유관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평가지표가 토양과 식생에만 한정되어 있어 생태복원에 대한 세밀한 평가가 부족하고 주변 경관과의 연계성이 고려되지 못하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전을 우선시하는 지역에서 실시된 생태복원사업을 대상으로 훼손발생의 원인에 따라 구분하여 차별화된 평가가 가능하고, 기존에 사용되지 않던 평가지표들 중 경관평가 부분에 유익한 지표들을 추가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수행에도 이용이 가능한 평가표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훼손지유형을 원지형훼손, 표층부유실, 토양오염, 토양이화학성변화, 식생쇠퇴 및 식생훼손의 6가지로 구분하였고, 평가지표들은 토양환경, 식생생장 및 구조, 생육환경 및 경관구조 및 기능의 4개 평가분야로 구분하여, 각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분야와 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였다.
  • 설문문항은 전체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공통 항목과 각 전문분야별 질문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평가시기를 복원 직후부터 3년차까지의 복원 초기와 3년차 이후의 복원 후기로 크게 나누어 평가하는 시점에 따라 평가지표의 구성을 달리 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문항들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6가지 훼손지 유형별로 반복하여 답변하도록 구성하였다.
  • 현장측정 용이성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1에서 5점 사이에 점수를 부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평균점수가 3점 이상인 경우를 측정하기 용이한 평가지표라고 해석하였다. 분석결과(Table 3)에 따르면, 토양환경 평가분야 중 토양물리성에 속한 평가지표 대부분이 평가하기 쉬운 편으로 나타난 반면, 토양화학성의 경우, 전체적으로 현장에서의 평가는 간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원사업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07). 복원사업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는 개별적인 복원 사업의 시행이나 주변으로부터의 지속적인 훼손 및 오염과 같은 사업설계에서의 한계점과 더불어, 생태계 유형간 상호 연계성이나 산림파편화, 서식처의 기능과 다양성 등에 대한 고려의 부재로 파악되었다(You et al., 2009; Kim et al.
생태복원의 목적은 무엇인가? 생태복원의 목적은 생물종의 재도입과 함께 훼손된 서식지도 교란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 생태계 전반의 건강성을 복원시키는 것으로(Bradshaw & Chadwick, 1980; Bradshaw, 1984; SER, 2004) 교란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어야 한다. 따라서 완료된 사업이 장기적으로 효과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생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익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탈면 녹화공법 평가지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예를 들면,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비탈면 녹화공법 평가지표는 국토해양부에서 2009년 개발된 지표로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그 현장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MLTMA, 2009). 그러나 여기서 사용되는 지표들은 도로 비탈면 녹화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평가대상이 식생과 토양에만 한정되어 있고, 평가에 대한 기준이 과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태복원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등에서 생태복원사업 평가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서식지평가절차(Habitat Evaluation Procedure, HEP) (Schamberger & Krohn, 1982)는 생태복원을 서식지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인근 지역 개발가능성이나 경관의 연결성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생태복원의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adshaw A. D. & J. Chadwick. 1980. The restoration of land. Oxford: Blackwell. 

  2. Bradshaw A. D. 1984. Ecological principles and land reclamation practice. Landscape Planning, 11: 35-48. 

  3. KFS.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Vol. 45.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4. Ki K and Kim J. 2012. Monitor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nge for four years (2007-2010) after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Nakdonggang(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707-718. (in Korean) 

  5. Kim GG and Cho DK. 2004. The principles of natural environment & ecological restoration. Seoul: Academybook. pp. 63. (in Korean) 

  6. Kim IH.Ahn DM.Lee JY.Kim CK and Kim SJ.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munity invol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Baekdudaegan - pilot project of alpine vegetable garden in Anbandaegi, Gangneung. Proceeding of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 39-45. (in Korean) 

  7. Kim N.Song H.Park G.Jeon G.Lee S and Lee B. 2007.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for highway slop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2): 1-15. (in Korean) 

  8. Lee CH. 2000. Group decision making. Sejong Books. Seoul, Korea. (in Korean) 

  9. Lee PS.Lee S.Lee SA and Choi J. 2015.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Degraded Environments near DMZ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1): 1-17. (in Korean) 

  10. MLTMA. 2009. Engineering guide to the greening system for road-slop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jong, Korea. (in Korean) 

  11. Moon SK.Koo BH and Nam SJ. 2000. View and Subjects on the Settling the Area of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4(1): 67-79. (in Korean) 

  12. Ro BH. 2010. How to evaluate the success of ecological restoration? - Focussing on goal setting and habitat evaluation, Environment Forum, 14(10): 1-8. (in Korean) 

  13. Schamberger M. & W. B. Krohn. 1982. Status of the habitat evaluation procedures. US Fish & Wildlife Servicem, US Fish & WIldlife Publication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14. SER. 2004. Science and Policy Working Group,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SER). Restoration & Management Notes, 16: 46-50. 

  15. You B.Jeon G.Shim J and Jang H. 2009. Application on environment-friendly vegetation countermeasures in expressway. Korean Geo-Environmental Conference 2009, p. 58-6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