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δ Scuti형 변광성 BO Lyn의 근적외선 광도곡선 분석
An Analysis of Near-infrared Light Curves of δ Scuti Variable BO Ly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7, 2016년, pp.389 - 397  

임지혜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손정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lta}$ Scuti형 변광성 BO Lyn의 파장에 따른 광도곡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보현산천문대의 1.8m 반사망원경적외선 검출기 KASINICS를 이용한 측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2011년 3월 26일부터 4월 1일까지 총 7일간의 관측 자료로 J, H, Ks필터 광도곡선을 얻어 기존에 보고된 V필터에서의 광도곡선과 비교하여 주기, 극대점, 진폭, 형태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적외선 광도곡선의 주기 분석 결과 단일 주파수해 $f_1=10.712cycle/day$, 주기$P=0.09335{\pm}0.00002days$의 값을 얻었으며, 파장에 따른 주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적외선에서는 $2f_1$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고진폭 ${\delta}$ Scuti형 변광성의 특징인 비대칭적인 광도곡선의 형태를 잘 설명해준다. 극대점의 위치를 비교한 결과 계산된 V필터의 예상 극대점보다 관측된 적외선 극대점이 전체 주기의 약 0.3에 해당하는 만큼 더 늦게 나타났다. 진폭은 ${\Delta}J/{\Delta}V=0.328$, ${\Delta}H/{\Delta}V=0.216$, ${\Delta}Ks/{\Delta}V=0.211$로 파장이 길어질수록 변광의 폭이 더 작게 나타났다. 파장에 따른 극대점의 지연과 변광폭의 차이는 맥동변광성의 밝기 변화가 주로 온도변화에 기인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ight curve difference in visual and infrared wavelength of ${\delta}$ Scuti variable Bo Lyn, observations were performed using BOAO 1.8m reflecting telescope and an infrared detector, KASINICS, with J, H, and Ks filters. Infrared light curves of total 7 nigh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O Lyn은 HADS로 분류되었지만, 추가 주파수의 존재 여부가 아직 명확하지 않아서 전형적인 방사상맥동을 하는 HADS인지 아니면 방사상맥동에 비방사상 맥동이 더해진 HADS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주기와 진폭의 변화 여부도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광도곡선에서 보여지는 BO Lyn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미 알려져 있는 가시광선 광도곡선과 비교하여 주기, 극대점, 진폭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폭이 작은 δ Scuti형 변광성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진폭이 작은 δ Scuti형 변광성은 비방사상(nonradial) 맥동의 복잡한 변광 양상을 보이는 반면 진폭이 큰 δ Scuti형 변광성은 대부분 단일 주기를 갖는 전형적인 방사상(radial) 맥동을 한다는 것이 알려진 이후부터는 고진폭 δ Scuti형(High Amplitude δ Scuti; 이후 HADS)이라는 하위 분류 개념이 도입되었다(Poretti, 2003). δ Scuti형 변광성 중에서 V등급 변광폭이 0.
가시광선 광도곡선에서 앞선 위상의 극대점이 이어지는 다음 위상의 극대점보다 더 밝다고 보고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판단하는가? BO Lyn의 가시광선 광도곡선에서 앞선 위상의 극대점이 이어지는 다음 위상의 극대점보다 더 밝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Kinman, 1998). 이는 두 번째 주파수(f2)의 존재에 의해 광도곡선의 변화가 나타났다고 본 것이다. Hintz et al.
진폭이 큰 δ Scuti형 변광성의 하위 분류 개념이 도입된 이유는? 진폭이 작은 δ Scuti형 변광성은 비방사상(nonradial) 맥동의 복잡한 변광 양상을 보이는 반면 진폭이 큰 δ Scuti형 변광성은 대부분 단일 주기를 갖는 전형적인 방사상(radial) 맥동을 한다는 것이 알려진 이후부터는 고진폭 δ Scuti형(High Amplitude δ Scuti; 이후 HADS)이라는 하위 분류 개념이 도입되었다(Poretti, 2003). δ Scuti형 변광성 중에서 V등급 변광폭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geloni, R., Ramos, R., Catelan, M., Dekany, I., Gran, F., Alonso-Garcia, J., Hempel, M., Navarrete, C., Andrews, H., Aparicio, A., Beamin, J., Berger, C., Borissova, J., Pena, C., Cunial, A., Grijs, R., Espinoza, N., Eyheramendy, S., Ferreira Lopes, C., Fiaschi, M., Han, J., Helminiak, K., Hempel, A., Hidalgo, S., Ita, Y., Jeon, Y.B., Jordan, A., Kwon, J., Lee, J.T., Martin, E., Masetti, N., Matsunaga, N., Milone, A., Minniti, D., Morelli, L., Murgas, F., Nagayama, T., Navarro, C., Ochner, P., Perez, P., Pichara, K., Rojas-Arriagada, A., Saito, R., Siviero, A., Sohn, J.J., Sung, H.I., Tamura, M., Tata, R., Tomasella, L., and Whitelock, P., 2014, The VVV Templates Project Towards an Automated Classification of VVV Light-Curves: I. Building a database of stellar variability in the near-infrared. Astronomy & Astrophysics, 567, A100-A111. 

  2. Breger, M., 2000, Asteroseismology of Delta Scuti Stars. Baltic Astronomy, 9, 149-63. 

  3. Breger, M., Stich, J., Garrido, R., Martin, B., Shi-yang, J., Zhi-ping, L., Hube, D., Ostermann, W., Paparo, M., and Scheck, M., 1993, Nonradial pulsation of the ${\delta}$ Scuti star BU Cancri in the Praesepe cluster. Astronomy & Astronomical, 271, 482-486. 

  4. Elst, W., 1978, On a Color Effect in the Light Curve of SX Phoenicis. The Astrophysical Journal, 223, 959-960. 

  5. Hintz, G., Bush, C., and Rose, B., 2005, Monitoring Three Less-Studied ${\delta}$ Scuti Variables: GW Ursae Majoris, BO Lyncis, and AN Lyncis. The Astronomical Journal, 130, 2876-2883. 

  6. Jin, H., Kim, S.L., Lee, C.U., and Lee, D.J., 2004, Reclassification of ROTSE-I ${\delta}$ Scuti Stars with Multiband Photometry and Fourier Decomposition. The Astronomical Journal, 128, 1847-1856. 

  7. Kinman, D., 1998, The Delta Scuti Star GSC 2985-01044. The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0, 1277-1289. 

  8. Kinman, D., Suntzeff, B., and Kraft, P., 1994, The Structure of the Galactic Halo Outside the Solar Circle as Traced by the Blue Horizontal Branch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08, 1722-72. 

  9. Lasker, M., Sturch, R., Mclean, J., Russell, L., Jenkner H., and Shara, M., 1990, The Guide Star Catalog: IAstronomical Foundations and Image Processing. Astronomical Journal, 99, 2019-2058. 

  10. Lee, H., Kim, S.-L., Cho, S.-I., and Park, H.-S., 2006, CCD Photometry of a ${\delta}$ Scuti Variable HR 2707 (21 M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 670-676. (in Korean) 

  11. Lee, E.-J., Jeon, Y.-B., Lee, H., and Park, H.-S., 2007, A Search for New Variable Stars in the Open Cluster NGC 129 using a Small Telescop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87-104. (in Korean) 

  12. Lenz, P. and Breger, M., 2005, Period04 User Guide. Communications in Asteroseismology, 146, 53-136. 

  13. Moon, B.K., Jin, H., Yuk, I.S., Lee, S.H., Nam, U.W., Cha, S.M., Cho, S.H., Kyeong, J.M., Park, Y.S., Mock, S.W., Han, J.Y., Lee, D.H., Park, J.H., Han, W.Y., Pak, S.J., Kim, G.H., and Kim, Y.H., 2008, KASINICS: Near Infrared Camera System for the BOAO 1.8m Telescope.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60, 849-864. 

  14. Park, S.-Y., Kwon, S. M., and Kim, S.-L., 1998, Photometric Study of a ${\delta}$ Scuti Variable HR 2107.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 622-631. (in Korean) 

  15. Percy, R., 2007, Understanding Variable St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350 p. 

  16. Poretti, E., 2003, Asteroseismology of HADS Stars: V974 Oph, a Radial Pulsator Flavoured by Nonradial Components. Astronomy & Astrophysics, 409, 1031-1035. 

  17. Rodriguez, E., 2004, High Amplitude ${\delta}$ Sct-type variables. Communications in Asteroseismology, 145, 40-41. 

  18. Soszynski, I., Gieren, W., and Pietrzynski, G., 2005, Mean JHK Magnitudes of Fundamental-Mode Cepheids from Single-Epoch Observations. Publication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7, 823-830. 

  19. The VVV Templates project offical hompage, http://www.vvvtemplates.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