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지원에 있어 지역사회 기관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Link of Institution in Disaster Management : Ansan District Stud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2, 2016년, pp.125 - 132  

윤서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윤호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소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건강증진센터)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재난의 심리지원 및 관리에 기존 기관의 연계가 중요하다. 안산에서 세월호 참사 당시 민관기관의 연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방 법 25개 기관 121명 종사자를 대상으로 평상시와 세월호 당시 연계 활동 대상기관, 모임 빈도, 연계 활동의 내용, 만족도, 낮은 만족도의 원인에 대해 설문하여, paired t-test, Chi-square test 및 McNemar test를 이용하여 평상시와 세월호 당시를 비교하였다. 결 과 연계 사업 필요성에 대한 이해, 조직적 차원의 지지는 재난 당시 더 낮은 문제 요인이었으나, 연계의 정도(n=397에서 n=251로 감소) 및 만족도는 재난 시 더욱 저하되었다. 낮은 연계만족도의 원인으로는 실적위주의 평가제도가 재난 시 유의하게 더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45). 결 론 재난 시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재난 이전부터 지역사회 기관에 대한 역량 분석, 연계 프로토콜 개발 등의 대비가 이루어져야 하며, 불필요한 형식적 평가제도로 인한 소진은 지양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management of disaster should be immediate and sustainable. Further, it is hard to predict where the disaster will occur, using pre-exists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important.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ed activities of organiz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 이 과정에서 개별 기관의 소진을 막고 효율적인 최선의 대응을 하기 위하여서는 가능한 자원들을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산시에서의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재난에 대한 지원에 참여 가능한 어떠한 자원이 있는지 살펴보고, 각 기관 간의 연계의 수준 및 내용, 연계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어떤 점이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 재난 대비에 필요한 지역사회 자원의 발굴과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재난 대응에 직접 참가한 지역사회 기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연계활동에 대해 조사한 연구로서 가치를 지닌다. 특히,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 있으나 민관기관을 중심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를 지닌다.
  • 본 논문에서는 안산시에서의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재난에 대한 지원에 참여 가능한 어떠한 자원이 있는지 살펴보고, 각 기관 간의 연계의 수준 및 내용, 연계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어떤 점이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 재난 대비에 필요한 지역사회 자원의 발굴과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3) 재난 관리는 발생 이후의 대응 뿐만 아니라 재난 이전의 예방(prevention and mitigation), 대비(preparedness), 대응(response), 그리고 복구(recovery) 단계로 이루어진다. 예방은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고, 대비는 재난 발생 시의 대응활동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다. 대응은 재난 발생 시 실제적 구조 활동 등이며, 복구는 재난 발생 직후부터 시작하여 재난발생 이전상태로의 회복을 목표로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활동이다.
  • 셋째로, 사고가 진도 팽목항에서 발생하였으나, 다수의 생존자와 유가족은 특정 한 지역, 즉 안산지역에서 집중되었다. 재난에서의 정신건강 서비스는 정신장애의 예방과 치료 모두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DSM-5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심리적 외상사건에 실제적으로 노출된 경우 이외에도 미디어를 통한 노출이나 가까운 주변인의 직접적인 심리적 외상사건에의 노출을 알게 되는 경우에도 발생이 가능하다고 정의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의 정의는 무엇인가? 재난은 지역사회에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는 심각한 생태적 그리고 정신사회적인 붕괴로 정의된다. 이는 많은 경우 갑작스러우며, 예측불가능하고 조절의 범위를 넘어서며, 그 파괴의 범위가 큰 것으로 특징 지어진다.
재난을 경험하는 중과 직후에는 어떤 반응과 경험을 하는가? 이는 많은 경우 갑작스러우며, 예측불가능하고 조절의 범위를 넘어서며, 그 파괴의 범위가 큰 것으로 특징 지어진다. 재난의 생존자들은 다양한 수준의 고통스러운 심리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을 경험하게 되는데, 재난을 경험하는 중에는 마비되는듯한 불안이나 통제할 수 없는 부산스러운 행동(flight be havior), 집단 패닉 등으로 생존에 비적응적인 반응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재난 직후에는 많은 사람들이 무감각(numbness), 살아남은 데 대한 안도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재난 이후의 감정 반응으로는 재경험을 동반하기도 하는 심한 정도의 불안감이 회피나 무감각과 번갈아 나타날 수 있으며, 상실에 대한 애도과정이 나타난다.
재난 경험 이후에 나타나는 반응과 이환 질환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재난 경험 이후에는 이러한 즉각적이고 일시적이며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 이외에도 사회적응과 복귀, 일상생활 기능을 저해하는 심각한 정신장애들이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과 이환 질환으로는 비정상적인 애도, 적응장애, 우울증과 불안장애, 외상후스트레스 증후군, 비특이적인 신체 증상 및 물질사용장애 등이 있다.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고, 이환 이후에도 빠른 회복을 돕기 위해서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Psychosocial consequences of disasters: Prevention and managemen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1992. 

  2. North CS, Pfefferbaum B. Mental health response to community disasters: a systematic review. JAMA 2013;310:507-518. 

  3. Math SB, Nirmala MC, Moirangthem S, Kumar NC. Disaster management: Mental health perspective. Indian J Psychol Med 2015;37:261-271. 

  4. Arnberg FK, Michel PO, Lundin T. Posttraumatic stress in survivors 1 month to 19 years after an airliner emergency landing. PloS one 2015;10:e0119732. 

  5. Baum A, Fleming I. Implication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stress and technological accidents. Am Psychol 1993;48:665-672. 

  6. American Psych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7. Paik JW, Kim HS, Sim M, Lee HK, Woo YS, Chung C, Lee SH, Seok JH, Jeon HJ, Lee SM, Bang SY, Na KS, Lee BC, Lee, MS, Huh HJ, Chae JH. The Sewol ferry accident and early mental health care response by volunteer activities of Korean disaster mental health committee and members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1-5. 

  8. Pandey B, Okazaki K. Community-based disaster management: Empowering communities to cope with disaster risks. Reg Dev Dialogue 2005;26:52. 

  9. Shin YS. A study on reform of the disster management system after Sewol ferry disaster. Crisisonomy 2014;10:29-50. 

  10. Lin Moe T, Pathranarakul P. An integrated approach to natural disaster management: Public project management and its critical success factors. Disaster Prev Manag 2006;15:396-413. 

  11. Sundram S, Karim ME, Ladrido-Ignacio L, Maramis A, Mufti KA, Nagaraja D, Shinfuku N, Somasundaram D, Udomratn P, Yizhuang Z, Ahsan A, Chaudhry HR, Chowdhury S, D'Souza R, Dongfeng Z, Firoz AH, Hamid MA, Indradjaya S, Math SB, Mustafizur RA, Naeem F, Wahab MA. Psychosocial responses to disaster: An Asian perspective. Asian J Psychiatr 2008;1:7-14. 

  12. Kim SK, Choi YH. Organizational resource and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n local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fire fighters' perception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08;12:131-150. 

  13. Lee JE, Yang GG. A study of efficient plan for sustainable disaster management: Case analysis between U.S. and Korea. Moder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05;15:105-135. 

  14. Clary BB. The evolution and structure of natural hazard policies. Public Adm Rev 1985;45:20-28. 

  15.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 whole community approach to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themes, and pathways for action.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2011. 

  16. Hur JY, Lee JH. Study on Building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Responding to Future Disaster-Using Expert Survey Method. Crisisonomy 2014;10:173-195. 

  17. Kim HG. A Theoretical Review of Korean Agency Evalu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03;37:57-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