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최근 검찰청 보고에 의하면 성폭력 피해자 중 강간 피해자는 17.1%이지만 성추행 피해자는 78.0%로 강간 피해자보다 그 수가 많았다. 이러한 성추행 피해자들에게도 심각한 정신적 증상이 다수 발생한다는 국외 보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고한 국내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추행 성인 여성 피해자들의 정신적 증상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강간 피해자들의 이러한 증상들의 정도와 비교분석 하였다. 방 법 성폭력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부산 스마일센터를 방문한 58명의 성인 여성 성폭력 피해자들이 대상자들이었다. 인구 통계학적 및 성폭력 관련 변인에 대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정신적 증상 중, 우울, 불안 증상의 심각도와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유무는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BAI),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자가보고형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총 58명 중 성추행 피해자는 36명(62.1%), 강간 피해자는 22명(37.9%)이었다. 성추행 피해자들 중 80.6%가 중등도 이상의 우울 증상, 83.3%가 중등도 이상의 불안 증상, 그리고 94.4%가 PTSD선별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이러한 정신적 증상에 대한 강간 피해자들에서의 비율(각각 95.5%, 95.5%, 95.5%)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성추행 피해자들 또한 강간 피해자들만큼 대다수에서 우울, 불안 및 PTSD 증상이 동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추행 피해자들에서도 피해 초기부터 정신적 증상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조기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ccording to the recent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report, rape victims were 17.1%, but sexual molestation victims were more than the rape victims by 78.0%. Despite many international reports about the occurrence of severe psychiatric symptoms in sexual molestation victims, there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 전문 지역 센터를 내원한 성추행 성인 여성 피해자들의 정신적 증상을 조사하고, 이를 강간 피해자들의 결과와 비교분석 하여 성폭력 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간이란? 성폭력은 강간과 성추행으로 분류 하였다. 강간은 물리적인 힘, 약물, 말이나 권위, 친분을 포함한 폭행, 협박을 이용한 피해자의 의지에 반하여 가해자가 행하는 모든 ‘원하지 않는 삽입’으로 정의하였으며, 성추행이란 삽입 행위가 없는 피해자가 원하지 않는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신체 접촉 행위와 성희롱 같은 신체 접촉 없는 비접촉성 경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 하였다.
성폭력은 정도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성폭력(sexual violence)은 피해자의 의지에 반하여 가해자가 행하는 모든 성적인 행위를 포함한다. Basile 등1)은 성폭력을 정도에 따라1) 물리적인 힘을 가하며 행해지는 강간(rape)을 ‘강제적인 삽입’, 2) 물리적인 힘이 아닌 말이나, 권위, 친분을 이용한 강간을 ‘비물리적 압력에 의한 원하지 않은 삽입’, 3) 강제 추행 같은 경우를 ‘원하지 않은 성접촉’,4) 성희롱 같은 신체 접촉 없는 성적인 행위를 ‘원하지 않은 비접촉성 경험’으로 나누었다. 국내에서는 성폭력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다.
mason은 성폭력 중 강간이 피해자에게 어떤 후유증을 남긴다고 하였는가? 여러 연구들에서 성폭력과 관련된 다양한 정신적 증상 및 질환이 보고되었다. Mason 등11)은 강간의 경우 피해자들에게 불안, 우울 등의 증상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tic stress disorder, PTSD), 물질 남용, 성기능 장애,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 같은 심각한 정신적 후유증을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Chen 등12)은 섭식장애, 불안장애 등이 강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후유증이라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sile KC, Smith SG, Breiding MJ, Black MC, Mahendra R. Sexual violence surveillance: uniform definitions and recommended data elements, Version 2.0.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4. p.11-17. 

  2. 홍경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성폭력 태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청구논문).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2005. 

  3. Hwa HL, Chen SC, Wu MZ, Shun CT, Liu SK, Lee JC, Chen YC. Analysis of cases of sexual assault presenting at a medical center in Taipei. Taiwan J Obstet Gynecol 2010;49:165-169. 

  4. Testa M, Livingston JA. Alcohol consumption and women's vulnerability to sexual victimization: can reducing women's drinking prevent rape?. Subst Use Misuse 2009;44:1349-1376. 

  5. Resnick H, Acierno R, Holmes M, Kilpatrick DG, Jager N. Prevention of post-rape psychopathology: preliminary findings of a controlled acute rape treatment study. J Anxiety Disord 1999;13:359-370. 

  6. Paludi M, Nydegger R, Desouza E, Nydegger L, Dicker KA.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sexual harass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ounds of silence. Ann N Y Acad Sci 2006; 1087:103-120. 

  7. Norris WP. Liberal attitudes and homophobic acts: the paradoxes of homosexual experience in a liberal institution. J Homosex 1992;22:81-120. 

  8. Lafontaine E, Tredeau L. The frequency, sources, and correlates of sexual harassment among women in traditional male occupations. Sex roles 1986;15:433-442. 

  9. 황정임, 윤덕경, 이미정, 김영란, 주재선, 김동식, 이인선, 정수연, 김현정. 2013년 성폭력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용역보고서;2013. p.34-40. 

  10. 대검찰청. 2015 범죄분석. 대검찰청;2015. p.3-16. 

  11. Mason F, Lodrick Z.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sexual assault.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2013;27:27-37. 

  12. Chen LP, Murad MH, Paras ML, Colbenson KM, Sattler AL, Goranson EN, Elamin MB, Seime RJ, Shinozaki G, Prokop LJ, Zirakzadeh A. Sexual abuse and lifetime diagnosis of psychiatric disorde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yo Clin Proc 2010;85:618-629. 

  13. Rothbaum BO, Foa EB, Riggs DS, Murdock T, Walsh W.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rape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2;5:455-475. 

  14. Kilpatrick DG, Veronen LJ, Best CL. Factors predicting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rape victims. In: Figley CR, editors. Trauma and Its Wake: The Study an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New York: Brunner Mazel;1985. p.113-141. 

  15. Mushtaq M, Sultana S, Imtiaz I. The trauma of sexual harassment and its mental health consequences among nurses. J Coll Physicians Surg Pak 2015;25:675-679. 

  16. Marsh J, Patel S, Gelaye B, Goshu M, Worku A, Williams MA, Berhane Y. Prevalence of workplace abuse and sexual harassment among female faculty and staff. J Occup Health 2009;51:314-322. 

  17. Murdoch M, Polusny MA, Hodges J, Cowper D. The association between in-service sexual harassment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disability applicants. Mil Med 2006;171:166-173. 

  18. 송진경. 대학생 성피해자들의 후유증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2003. 

  19. 박정인. 성폭행 피해자들의 정신병리(석사학위 청구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대학원;2012. 

  20. 신경민. 성폭력 피해 여성의 심리적 후유증의 변화와 인지적 요인의 효과(석사학위 청구논문). 경기: 아주대학교 대학원;2014. 

  21. Beck AT, Ward CH, Memdelson M, Moo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3-63. 

  22. Hah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0. 

  23. McDowell I.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McDowell I, editors.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06. p.335-343. 

  24. Beck AT, Epstein N, Brown G, Steer GA.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1988;56:893-897. 

  25. Yook SP, Kim JS.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l 1977;16;185-197. 

  26. Marques L, Chosak A, Simon NM, Phan DM, Wilhelm S, Pollack M. Rating Scales for Anxiety Disorders. In: Baer L, Blais MA, editors. Handbook of Clinical Rating Scales and Assessment in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New York: Humana Press;2010. p.39-40. 

  27. Weiss DS.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2004. p.168-189. 

  28.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Chee IS, Lee KU, Paik KC, Seo HJ, Kim W, Jin B, Chae 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 Psychiatry 2009;50:385-390. 

  29. Roosmalen EV, McDaniel SA. Sexual harassment in academia: a hazard to women's health. Women Health 1998;28:33-54. 

  30. Jason NH, Jeremy S, Jeylan TM, Christopher U, Amy B. The impact of sexual harassment on depressive symptoms during the early occupational career. J Society Mental Health 2011;1:89-105. 

  31. Wortman C, Berhm J. Responses to uncontrollable outcomes: An integration of reactance theory and the learned helplessness model. Advance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75;8:277-337. 

  32. Brown JD, Siegel JM. Attributions for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on: the role of perceived control. J Pers Soc Psychol 1988;54:316-322. 

  33. Koss MP. Changed Lives: The Psychological Impact of Sex ual Harassment. In: Paludi MA, editors. Ivory Power: Sexual Harassment on Campu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1990. p.78-84. 

  34. Miller AK, Handley IM, Markman KD, Miller JH. Deconstructing self-blame following sexual assault: the critical roles of cognitive content and process. Violence Against Women 2010;16:1120-1137. 

  35. Regehr C, Regehr G, Bradford J. A model for predicting depression in victims of rape. J Am Acad Psychiatry Law 1998; 26:595-605. 

  36. Nickerson A, Steenkamp M, Aerka IM, Salters-Pedneault K, Carper TL, Barnes JB, Litz BT.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mental health following sexual assault. Depress Anxiety 2013;30:444-450. 

  37. Erickson DJ, Wolfe J, King DW, King LA, Sharkansky EJ.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symptomatology in a sample of Gulf War veterans: a prospective analysis. J Consult Clin Psychol 2001;69:41-49. 

  38. Schindel-Allon I, Aderka IM, Shahar G, Stein M, Gilboa-Schechtman 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post-traumatic di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following a traumatic event: a test of three models. Psychol Med 2010;40:1669-16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