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영양지수로 살펴본 유아와 초등학생의 식행동과 비만 사이의 관련성에 있어서 연령의 차이
Age difference i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Nutrition Quotient scores of preschoolers and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6, 2016년, pp.447 - 458  

배주미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만 3세부터 만 11세까지 어린이 222명을 대상으로 3~5세 유아, 6~8세 초등학교 저학년, 그리고 9~11세 초등학교 고학년의 세 연령군으로 나누어 연령별 식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식행동과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식행동 조사도구로는 최근 개발된 NQ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연령별로 NQ 점수와 NQ를 구성하고 있는 '균형', '다양', '절제', '규칙', '실천'의 다섯 영역 점수를 산출하여 비만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자 NQ 점수는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NQ의 다섯 가지 구성요인으로 본 점수 중 '균형' 요인과 '실천' 요인 점수는 연령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양' 요인 점수는 3~5세와 6~8세에 비해 9~11세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p < 0.001), '절제' 요인 점수는 3~5세에 비해 6~8세와 9~11세에서 (p < 0.01), 그리고 '규칙' 요인 점수는 3~5세와 6~8세에 비해 9~11세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대상자를 정상군과 과체중 비만군의 두 군으로 나누었을 때, 3~5세의 경우, 비만에 따른 NQ 점수 및 구성요인 점수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6~8세의 경우는 NQ 점수 (p < 0.001) 및 '절제' (p < 0.001), '규칙' (p < 0.001), '실천' (p < 0.05) 점수에서 과체중 비만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낮았으며, 9~11세의 경우는 '절제' 요인 점수에서만 과체중 비만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p < 0.001). 연령별로 체중과 NQ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3~5세의 경우, 체중과 NQ 점수 및 구성요인 점수 사이에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6~8세의 경우 체중과 NQ 점수 사이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 (p < 0.01), 또 체중과 '절제' (p < 0.001), '규칙' (p < 0.001) 및 '실천' (p < 0.05) 점수 사이에 각각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9~11세의 경우도 체중과 NQ 점수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 (p < 0.05)를보였고, 체중과 '다양' (p < 0.05) 및 '절제' (p < 0.001) 점수 사이에 각각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NQ 설문지 19개 문항의 응답빈도를 다섯 가지 구성요인으로 나누어 정상군과 과체중 비만군의 응답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3~5세는 '균형' 요인 중 과일섭취 (p < 0.05), 콩 제품 섭취 (p < 0.05) 및 야식 빈도 (p < 0.05)에서, 6~8세는 '절제' 요인 중 단 음식 섭취 (p < 0.01), 패스트푸드 섭취 (p < 0.001), 라면 섭취 (p < 0.01), 야식빈도 (p < 0.001), 길거리 음식 사먹기 (p < 0.05) 응답빈도, 그리고 '규칙' 요인 중 정해진 식사시간 (p < 0.05), TV와 컴퓨터 게임 사용시간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9~11세는 '절제' 요인 중 단 음식 섭취 (p < 0.05), 패스트푸드 섭취 (p < 0.001), 야식빈도 (p < 0.01), 길거리 음식 사먹기 (p < 0.01), 그리고 '실천' 요인 중 음식 꼭꼭 씹어 먹기 (p < 0.05)에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별로 NQ 구성요인 점수에 차이를 보여 나이가 어릴수록 '다양' 요인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식행동 지도가 필요하고,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절제' 요인 및 '규칙' 요인에 포함되는 식행동에 대한 지도와 교육이 중점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6~8세의 비만한 어린이에게서 NQ 점수와 '절제', '규칙', '실천' 점수가 낮았고, 9~11세의 경우 '절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두 연령층 모두 '절제' 요인 점수는 3~5세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으므로 초등학교 어린이의 비만 예방을 위해서는 '절제' 요인에 포함된 식행동 항목에 대한 교육을 집중적으로 하는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235 children aged 3 up to 11 y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eating behaviors and obes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preschoolers aged 3 to 5 yrs,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6 to 8 yrs, and late e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부터 만 11세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먼저 나이에 따라 어린이 NQ 점수로 살펴본 대상자의 식행동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 그 다음 나이 별로 비만 여부에 따라 식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관련성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NQ 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설문지의 문항에 포함된 어린이의 식행동은 먼저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특히 학령전 어린이나 저학년 어린이의 경우, 식품섭취를 할 때 본인의 선택보다는 부모나 돌보는 사람의 의견이 많이 반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etary index의 일반적인 방법들의 단점은 무엇인가? 6-9 Dietary index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혹은 식품섭취빈도법에 의해 식사섭취조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로부터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고, 여기에 식사의 다양성, 식품가짓수 등을 포함한 식사의 질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다. 9 그러나 이 방법들은 개인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조사와 분석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5 집단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적합 하지 않으며, 훈련 받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영양 상태나 영양 개선 사업의 효과를 판정을 하고자 할 때에는 보다 간단하면서도 타당성이 인정된 식생활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Dietary index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개인의 식사의 질 혹은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dietary index 들이 개발, 활용되고 있다. 6-9 Dietary index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혹은 식품섭취빈도법에 의해 식사섭취조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로부터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고, 여기에 식사의 다양성, 식품가짓수 등을 포함한 식사의 질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다. 9 그러나 이 방법들은 개인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조사와 분석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5 집단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적합 하지 않으며, 훈련 받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동의 식습관과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는 요인은? 현대사회에서의 급변하는 생활환경은 아동의 식습관과 생활양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1 이에 따라 소아비만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6~11세 비만율이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Lee JS, Kim HY, Choi YS, Kwak TK, Chung HR, Kwon S, Choi YJ, Lee SK, Kang MH.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s of dietary lif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Korean J Nutr 2011; 44(6): 527-536.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3. Dietz WH.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youth: childhood predictors of adult disease. Pediatrics 1998; 101(3 Pt 2): 518-525.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 of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5. Martoni M, Carissimi A, Fabbri M, Filardi M, Tonetti L, Natale V. 24-h actigraphic monitoring of motor activity, sleeping and eating behaviors in underweight,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Eat Weight Disord 2016; 21(4): 669-677. 

  6. Kant AK. Indexes of overall diet quality: a review. J Am Diet Assoc 1996; 96(8): 785-791. 

  7. Kant AK. Dietary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J Am Diet Assoc 2004; 104(4): 615-635. 

  8. Michels KB, Schulze MB. Can dietary patterns help us detect dietdisease associations? Nutr Res Rev 2005; 18(2): 241-248. 

  9.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10. Thiagarajah K, Fly AD, Hoelscher DM, Bai Y, Lo K, Leone A, Shertzer JA. Validating the food behavior questions from the elementary school SPAN questionnaire. J Nutr Educ Behav 2008; 40(5): 305-310. 

  11. Boo MN. Analysis of the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degree of keeping the dietary guidelines with regard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Jeju [dissertation].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12. 

  12. Patterson RE, Haines PS, Popkin BM. Diet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J Am Diet Assoc 1994; 94(1): 57-64. 

  13. Kennedy ET, Ohls J, Carlson S, Fleming K. The healthy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s. J Am Diet Assoc 1995; 95(10): 1103-1108. 

  14. Yook SM, Park S, Moon HK, Kim K, Shim JE, Hwang JY.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2015; 48(5): 419-428. 

  15. Blackburn ML, Townsend MS, Kaiser LL, Martin AC, West EA, Turner BJ, Joy AB. Food behavior checklist effectively evaluates nutrition education. Calif Agric (Berkeley) 2006; 60(1): 20-24. 

  16. Branscum P, Sharma M, Kaye G, Succop P. An evalu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modified for children. J Nutr Educ Behav 2010; 42(5): 349-352. 

  17. Lazarou C, Newby PK. Use of dietary indexes among children in developed countries. Adv Nutr 2011; 2(4): 295-303. 

  18. Yon M, Hyun T.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igh risk of energy over intake. Korean J Nutr 2008; 41(5): 414-427. 

  19. Yon M, Hyun T.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9; 42(1): 38-47. 

  20. Kang MH, Kwak TK, Choi YS, Chung HR, Kim HY, Lee JS, Yi NY, Choi JH.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safety index for children's dietary life. Seoul: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21.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22. Lee SJ, Kim Y.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40-446. 

  23. Kim JR, Lim H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 Nutr Health 2015; 48(1): 58-70. 

  24. Kim NH, Lee IS.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by nutrition quotient (NQ): Gyeongiu.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5; 25(1): 73-86. 

  25. Yoo JS, Choi YS.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2013; 46(5): 427-439. 

  26. Huang YC, Kim HY.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hildre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4; 47(5): 342-350. 

  27. Lim HW. The relationship among nutrient quotient, food environment and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dissertation]. Seoul: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13. 

  28. Kim JH, Jung YH.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Nowon-gu of Seoul by using nutrition quotient (NQ).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1): 1-11. 

  29. Reinehr T, Kleber M, Lass N, Toschke AM. Body mass index patterns over 5-y in obese children motivated to participate in a 1-y lifestyle intervention: age as a predictor of long-term success. Am J Clin Nutr 2010; 91(5): 1165-1171. 

  30. Kleber M, Schaefer A, Winkel K, Hoffmann D, Wunsch R, Kersting M, Reinehr T. Lifestyle intervention “Obeldicks Mini” for obese children aged 4 to 7 years. Klin Padiatr 2009; 221(5): 290-294. 

  31. Danielsson P, Svensson V, Kowalski J, Nyberg G, Ekblom O, Marcus C. Importance of age for 3-year continuous behavioral obesity treatment success and dropout rate. Obes Facts 2012; 5(1): 34-44. 

  3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Growth chart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33. Moraeus L, Lissner L, Olsson L, Sjoberg A. Age and time effects on children's lifestyle and overweight in Sweden. BMC Public Health 2015; 15(1): 355-364. 

  34. Ek A, Chamberlain KL, Ejderhamn J, Fisher PA, Marcus C, Chamberlain P, Nowicka P. The more and less stud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esting different approaches to treat obesity in preschoolers. BMC Public Health 2015; 15(1): 735-751. 

  35. Golan M, Kaufman V, Shahar DR. Childhood obesity treatment: targeting parents exclusively v. parents and children. Br J Nutr 2006; 95(5): 1008-1015. 

  36. Larsen JK, Hermans RC, Sleddens EF, Engels RC, Fisher JO, Kremers SP. How parental dietary behavior and food parenting practices affect children's dietary behavior. Interacting sources of influence? Appetite 2015; 89: 246-257. 

  37. Tschann JM, Martinez SM, Penilla C, Gregorich SE, Pasch LA, de Groat CL, Flores E, Deardorff J, Greenspan LC, Butte NF. Parental feeding practices and child weight status in Mexican American families: a longitudinal analysis.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5; 12(1): 66-75. 

  38. Mitchell GL, Farrow C, Haycraft E, Meyer C. Parental influences on children’s eating behaviour and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parent-focussed interventions. Appetite 2013; 60(1): 85-94. 

  39. Hughes SO, Power TG, Orlet Fisher J, Mueller S, Nicklas TA.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parenting styles in a child-feeding context. Appetite 2005; 44(1): 83-92. 

  40. Ayyildiz TK, Kurtuncu M, Kulakci H, Celik S.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in Turkey. Iran Red Crescent Med J 2014; 16(12): e17785. 

  41. Sacchetti R, Dallolio L, Musti MA, Guberti E, Garulli A, Beltrami P, Castellazzi F, Centis E, Zenesini C, Coppini C, Rizzoli C, Sardocardalano M, Leoni E.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to promote healthy habits in children 8-11 years old, living in the lowland area of Bologna Local Health Unit. Ann Ig 2015; 27(2): 432-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