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녀에서 외식을 통한 열량 섭취 정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 평가 :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energy intake from eating-out: Based on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6, 2016년, pp.482 - 494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 대규모의 데이터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남녀별 외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의 사분위에 따른 군간 일반사항,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를 분석하고, 영양소별 섭취 밀도 및 영양의 질적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녀 모두에서 외식을 통한 열량의 섭취 정도가 높은 성인일수록 연령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음주 빈도, 가구소득 및 교육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외식을 통한 열량 섭취가 높은 남녀 성인에서 전체 열량 섭취량 및 지방의 섭취 밀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식이섬유소, 비타민 $B_1$, 칼슘, 인, 칼륨 및 철과 같은 미량 영양소의 섭취 밀도는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비타민 $B_1$, 칼슘, 인 및 철의 INQ와 같은 식사의 질 지수 역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 비율을 분석시 남녀 모두에서 외식을 통한 열량 섭취가 높은 군에서 육류, 음료 및 주류의 섭취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던 반면, 곡류, 채소류, 어패류 및 해조류의 섭취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생활에서 외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외식을 많이 하는 대상자와 관련된 전반적인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s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energy intake from eating-out.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nd study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외식과 관련된 독립변수로 외식 빈도를 활용한 경우가 많았으나, 외식의 질적 평가를 위하여 외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을 평가하는 분석도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 대규모의 데이터(2013~2014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남녀별 외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에 따른 군간 일반사항,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를 분석하고, 영양소별 섭취 밀도 및 영양의 질적 지수와 같은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64세 성인 남녀에서 외식으로 섭취한 열량 정도에 따른 식사섭취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녀로 구분 후 외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 정도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군을 분류 후 일반사항,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 영양의 질적 지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 중 2013~2014 년까지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은 개인별 1일간의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된 영양조사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1일 총 열량 섭취량과 함께 섭취 열량의 차이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열량 1,000 kcal당 섭취하는 영양소 섭취량(섭취 밀도)을 분석하였다. 또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 비율, N-3 지방산, N-6 지방산 및 포화지방산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 비율, 나트륨을 목표섭취량(2,000 mg/일) 미만으로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및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의 125% 이상이면서 지방 섭취량이 에너지적정비율을 초과한 대상자)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 외식을 통한 열량 섭취가 높은 군일수록 1일 총 식품 섭취량이 높았으며, 대부분의 식품군의 섭취량도 양적으로 동반 증가되는 결과를 보여(표에는 제시하지 않음), 본 연구에서는 외식을 통한 열량 섭취에 따른 군별 전체 식품 섭취량 중 식품군별 섭취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외식을 통한 열량 섭취가 높은 군에서 곡류, 채소류 및 해조류의 섭취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던 반면, 육류, 음료 및 주류의 섭취 비율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외식 빈도 현황은? 1,2 이와 같은 식생활 변화 중 한국인의 외식 빈도 증가가 매우 두드러지고 있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1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19세 이상 성인에서 2008년 대비 18.9% 증가하였으며 (2008년 23.8%, 2014년 28.3%), 이는 연령대 별로 차이를 보여 19~29세 성인의 경우 2008년 대비 2014 년 5.0%의 감소율을 보였지만 (2008년 40.3%, 2014년 38.3%), 30~49세 성인 (2008년 27.0%, 2014년 36.3%)과 50~64세 성인 (2008년 14.3%, 2014년 23.7%)의 경우 2008 년 대비 2014년에 각각 34.4%, 65.7%의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
외식으로 섭취하는 식사와 간식의 영양학적 특징은? 특히 외식과 관련하여 영양소 섭취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Kant와 Graubard의 연구4 에서 상업적 외식의 빈도와 열량 섭취량은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외식으로 섭취하는 식사와 간식 등은 좀 더 많은 열량을 함유하고 있으며, 외식은 가정식 보다 총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식이 섬유소, 칼슘 및 철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고, 특히 성인의 경우 외식으로부터 좀 더 나트륨과 콜레스테롤 밀도가 높은 식사를 하게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5 Clemens 등6은 주 6~13회 외식을 하는 대상자의 경우 주 5회 이하 외식자에 비해 총 열량, 지방, 나트륨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고 하였으며, systematic review 연구에서도 외식은 총 열량 섭취량, 지방으로부터의 섭취 비율과 양의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미량영양소, 특히 비타민 C, 칼슘 및 철의 섭취와는 음의 관련성을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식습관 및 식품 소비 패턴이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배경은?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 성장에 따라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 핵가족의 증가, 여성들의 사회 참여 증가로 인한 가사 노동 시간의 감소, 식품산업의 발달로 인한 가공식품과 편이식품의 다양화 및 질적 향상 등 다양한 사회, 문화적 환경 요인의 변화로 인하여 식습관 및 식품 소비 패턴 또한 계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다.1,2 이와 같은 식생활 변화 중 한국인의 외식 빈도 증가가 매우 두드러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KS, Seo KM, Park HN, Hong SY. Issues of Korean restaurant industry by content analysis of food yearly statistics. Korean J Food Cult 2004; 19(3): 313-325. 

  2. Lee SL. The effect of household demographic trend on food expenditure pattern. J Consum Cult 2014; 17(3): 85-104.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4. Kant AK, Graubard BI. Eating out in America, 1987-2000: trends and nutritional correlates. Prev Med 2004; 38(2): 243-249. 

  5. Guthrie JF, Lin BH, Frazao E. Role of food prepared away from home in the American diet, 1977-78 versus 1994-96: changes and consequences. J Nutr Educ Behav 2002; 34(3): 140-150. 

  6. Clemens LH, Slawson DL, Klesges RC. The effect of eating out on quality of diet in premenopausal women. J Am Diet Assoc 1999; 99(4): 442-444. 

  7. Lachat C, Nago E, Verstraeten R, Roberfroid D, Van Camp J, Kolsteren P. Eating out of home and its association with dietary inta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Obes Rev 2012; 13(4): 329-346. 

  8. Chung YS, Yang IS, Ham S. Customer' perceptions of motivators, barriers, and expansion of menu labeling in restaurants. Korean J Food Cult 2015; 30(2): 190-196. 

  9. Yoo JN, Jeong HS.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Korean J Food Nutr 2011; 24(3): 282-290. 

  10. Lee CH, Oh ST. Changes in dining out consumption behavior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ople over 50 years and elderly in Korea: analysis of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2001 and 2011.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3): 301-314. 

  11. Oh HJ, Yoon J, Jeong HS. Influence of SNS usag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dine-out motivation,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Food Nutr 2014; 27(6): 1182-1192. 

  12. Kwon YS, Ju SY. Trends i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while eating-out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data. Nutr Res Pract 2014; 8(6): 670-678. 

  13. Koo S, Park K.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2(5): 705-712. 

  14. Kwon YS, Park YH, Choe JS, Yang YK. Investigation of variations in energy, macronutrients and sodium intake based on the places meals are provid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1998-2009). Nutr Res Pract 2014; 8(1): 81-93. 

  15. Bak H, Kim HS. A study of association dining-out, nutritional intakes and health risk factors among Korean women using the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Korean J Culinary Res 2015; 21(5): 139-146. 

  16.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841-849. 

  17. Hansen RG.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1973; 31(1): 1-7.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9. Lee JW. Effects of frequent eating-out and breakfast skipping on body mass index and nutrients intake of working male adults: analysis of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89-797. 

  20. Vandevijvere S, Lachat C, Kolsteren P, Van Oyen H. Eating out of home in Belgium: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Br J Nutr 2009; 102(6): 921-928. 

  21. Bes-Rastrollo M, Basterra-Gortari FJ, Sanchez-Villegas A, Marti A, Martinez JA, Martinez-Gonzalez MA. A prospective study of eating away-from-home meals and weight gain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the SUN (Seguimiento Universidad de Navarra) cohort. Public Health Nutr 2010; 13(9): 1356-1363. 

  22. Adams J, Goffe L, Brown T, Lake AA, Summerbell C, White M, Wrieden W, Adamson AJ. Frequency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of eating meals out and take-away meals at home: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UK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waves 1-4 (2008-12).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5; 12(1): 51. 

  23. Lee WJ, Kim HC, Oh SM, Choi DP, Cho J, Suh I. Factors associated with a low-sodium diet: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 Health 2013; 35: e2013005. 

  24. Mejean C, Macouillard P, Castetbon K, Kesse-Guyot E, Hercberg S. Socio-economic, demographic, lifestyle and health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fatty-sweetened and fattysalted foods in middle-aged French adults. Br J Nutr 2011; 105(5): 776-786. 

  25. Lampure A, Schlich P, Deglaire A, Castetbon K, Peneau S, Hercberg S, Mejean C. Socio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a liking for salty and sweet tastes in French adults. J Nutr 2015; 145(3): 587-594. 

  26. Kim MG, Kim KY, Nam HM, Hong NS, Lee YM.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odium intake in Korean middle-aged worker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4; 15(5): 2923-2929. 

  27. Choi KH, Park MS, Kim JA, Lim JA. Associations between excessive sodium intake and smoking and alcohol intake among Korean men: KNHANES V.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5; 12(12): 15540-15549. 

  28. Sorenson AW, Wyse BW, Wittwer AJ, Hansen RG. An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for a balanced diet. New help for an old problem. J Am Diet Assoc 1976; 68(3): 236-242. 

  29. Binkley JK, Eales J, Jekanowski M.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change and rising US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 24(8): 1032-1039. 

  30. Orfanos P, Naska A, Trichopoulos D, Slimani N, Ferrari P, van Bakel M, Deharveng G, Overvad K, Tjonneland A, Halkjaer J, Santucci de Magistris M, Tumino R, Pala V, Sacerdote C, Masala G, Skeie G, Engeset D, Lund E, Jakszyn P, Barricarte A, Chirlaque MD, Martinez-Garcia C, Amiano P, Quiros JR, Bingham S, Welch A, Spencer EA, Key TJ, Rohrmann S, Linseisen J, Ray J, Boeing H, Peeters PH, Bueno-de-Mesquita HB, Ocke M, Johansson I, Johansson G, Berglund G, Manjer J, Boutron-Ruault MC, Touvier M, Clavel-Chapelon F, Trichopoulou A. Eating out of home and its correlates in 10 European countries.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study. Public Health Nutr 2007; 10(12): 1515-15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