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
Line Matching Method for Linking Wayfinding Process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4, 2016년, pp.115 - 123  

방윤식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유기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2012년부터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 및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부분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의 공간 인식체계와 도로명주소의 공간 구조화 방식의 간극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 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각종 공간정보들이 도로명에 의하여 주소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 인식 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개별 도로 객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이웃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이웃 집합 간의 기하학적 유사도 비교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의 각 객체에 매칭되는 도로구간을 탐색하였다. 매칭 성능은 F0.5 값을 기준으로 0.936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사도 값을 기준으로 10% 수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 이 값을 0.978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매칭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도로명 정보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한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및 공간 인식체계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has been in effect in Korea since 2012. However, the existing address system is still being used in many field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tial awareness of people and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For the spatial awareness based on the road name address s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 기본도를 활용하여, 길찾기 서비스에 사용되는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가설 설정

  • 9m로 설정하였다. 또한 도로명주소 도로구간 데이터의 최대 위치오차(ERS)는, 도로명주소 지도의 원도 격인 1:1000 축척 수치지도의 규정 최대오차 값인 0.7m로 가정하였다(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명주소 체계란 무엇인가? 도로명주소 체계는 지난 100여년간 지속되어 온 지번주소체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경로 안내의 용이성 강화, 국제표준 채택 등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입된 도로 기반의 주소체계이다. 1997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1년 전국 고지 및 고시, 2013년까지 병행사용 기간을 거쳐 2014년부터 전면 시행되었다(Road Name Address, 2016).
도로명주소 체계 활용의 대표적인 장점은?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공간 탐색이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 즉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도로명주소 체계 활용의 대표적인 장점으로 길찾기의 편의성이 홍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수많은 길찾기 또는 길안내 서비스에서 도로명주소는 그리 많이 활용되지 않고 있다.
네트워크 데이터의 링크 객체의 속성정보에 도로명이 포함되지 않은 이유는? 그러나 도로명은 속성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보행자 네트워크 데이터가 기존 차량용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공하여 구축되었는데, 이 데이터들이 도로명주소 체계와 무관하게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지번주소가 등록된 공간데이터의 경우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ng, Y. S., Ga, C. O. and Yu, K. Y., 2012,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4, pp. 379-388. 

  2. CMI Consortium, 2006, A study on maintenance of the address system and facilities for application of the road name address - part I, Research report, Ministry of the Interior, Republic of Korea, pp. 47-71. 

  3. Kang, Y. O. and Jang, Y. J., 2012, A study on the integrated topological data model based on linear features of new address and national basic districts,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Vol. 12, No. 3, pp. 63-79. 

  4. Kim, K. M., 2015, Establishing walk-friendly wayfinding system, World and City, Vol. 10, pp. 24-31. 

  5. Lee, J. S., Kim, J. H., Kim, M. G. and Yun, H. D., 2015, Error and accuracy analysis about road name address for reliability improvement and efficient utiliza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5, No. 2, pp. 223-230. 

  6. Min, D., Zhilin, L. and Xiaoyong, C., 2007, Extended Hausdorff distance for spatial objects in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21, No. 4, pp. 459-475. 

  7. Ministry of the Interior, 2013, Road name address act,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6735 

  8.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5, Regulations for generating digital map,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108484 

  9. Road Name Address, 2016, Introduction road name address, Ministry of the Interior, http://www.juso.go.kr/CommonPageLink.do?link/street/GuideBook 

  10. Roh, H. J., 2009, Assessment and improvement method of position accuracy of geocoding application for new address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Vol. 9, No. 1, pp. 63-72. 

  11. Seok, S. M. and Lee, J. Y., 2016, Development of geocoding and reverse geocoding method implemented for street-based addres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4, No. 1, pp. 33-42. 

  12. Van Rijsbergen, C. J., 1979, Information retrieval, Butterworths, UK, pp. 112-128. 

  13. Walter, V. and Fritsch, D., 1999, Matching spatial data sets: a statist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3, No. 5, pp. 445-473. 

  14. Yang, S. C., 2013, A study on construction of real estate development map using the road name address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3, pp. 47-54. 

  15. Yeom, J. H., Huh, Y. and Lee, J. B., 2014, Building matching analysis and new building update for the integrated use of the digital map and the road name address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2, No. 5, pp. 459-467. 

  16. Zhan, F. B., 1998, Shortest path algorithms: an evaluation using real road networks, Transportation Science, Vol. 32, No. 1, pp. 65-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