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Research Tren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from 2011 to 2015: Literature Analysis vs Social Network Analysis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0 no.3, 2016년, pp.267 - 286  

윤진아 (부산대학교) ,  서혜애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및 영재교육 전문학술지 8종에 게재된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구논문 총275편에 대해 문헌분석과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연구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에서는 분석틀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분류범주를 설정하였으며, SNA방법에서는 논문별 제시된 영문 저자 키워드를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인지적 특성(25.8%), 교육과정/프로그램(22.6%), 사회․정서적 특성(20.2%)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조사연구(46.5%), 실험연구(18.8%), 프로그램 개발(10.6%), 상관연구(10.3%), 질적연구(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서는 중학생 대상연구(33.7%)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30.6%), 고등학생(12.7%)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SN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교육 연구에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creativity의 3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가장 빈번히 활용된 키워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STEAM 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제-키워드 이원모드(2-mode)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인식, 사고양식, 과학적 논쟁, 과학탐구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사회.정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관연구, 동기, 창의인성, 자기 효능감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A방법은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 제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research tren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of six years from 2010 to 2015 by utilizing literature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In this study, 275 papers published in eight major academic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were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학급에서 국가차원 GED를 활용하여 어떤 것을 확립하고 있는가? 이들 학교에서는 과학영재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도록 R&E, AP제도, 자율선택형 교육과정 등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이와 더불어 초등 및 중학교급 과학영재교육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청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에서 국가차원 GED (Gifted Education Database) 체제를 활용하여 영재를 선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과학기술인재양성의 기틀을 확립하고 있다(KEDI, 2015). 따라서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과학영재교육을 기반으로 성장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주제-키워드 이원모드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어떤 결과가 나왔는가? 둘째, SN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교육 연구에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creativity의 3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가장 빈번히 활용된 키워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STEAM 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제-키워드 이원모드(2-mode)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인식, 사고양식, 과학적 논쟁, 과학탐구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사회.
SNA방법으로 문헌을 분석한 결과 어떤 통계가 나왔는가? 문헌분석에서는 분석틀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분류범주를 설정하였으며, SNA방법에서는 논문별 제시된 영문 저자 키워드를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인지적 특성(25.8%), 교육과정/프로그램(22.6%), 사회․정서적 특성(20.2%)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조사연구(46.5%), 실험연구(18.8%), 프로그램 개발(10.6%), 상관연구(10.3%), 질적연구(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서는 중학생 대상연구(33.7%)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30.6%), 고등학생(12.7%)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SN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교육 연구에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creativity의 3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가장 빈번히 활용된 키워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STEAM 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H. R., & Yoo, M. H.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5(3), 401-420. 

  2.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3. Han, K. S., & Yang, T. Y. (2007).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7(2), 338-364. 

  4. Hong, S. H., & Kim, S. W. (2000). An analytic study of science gifted/talented education program of USA by ERIC sear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 112-136. 

  5. Kang, K. H. (2010). The domestic research trend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1), 54-67. 

  6. Kho, J., Cho, K., & Cho, Y. (2013).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in management of technology using keywords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19(2), 101-123. 

  7. Kim, D. S., & Kwahk, K. Y. (2013). Investigating the global financial markets from a social network analysis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8(4), 11-33. 

  8. Kim, D. R., Kwon, K. S., & Jeong, S. B. (2015).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Korea Society of Decision Sciences, 23(1), 111-125. 

  9.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gifted education. Statistics SM 2015-10. Seoul, Korea: Author. 

  10. Kwon, S. Y.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to network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author keyword based on the position of keywo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121-142. 

  11. Kwon, U. G., & Kim, Y. K. (2009). Researches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from 1980 to 2008.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1(2), 63-76. 

  12. Lee, J., & Choi, S. H. (2014). Conceptions toward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view between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and norm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4), 613-628. 

  13. Lee, S. H., & Choi, S. I. (2015).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publication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2003-2012.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5(6), 881-904. 

  14. Lee, J. K., & Ha, M. (2012).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act, hypothesis, theory, law, and scientificn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823-840. 

  15. Lee, S., & Jeong, B. K. (2015). Research trends in robotics, control, and automation based on 2011-2014 IEEE ICRA procee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32(5), 397-401. 

  16. Lee, Y. J., Jhun. Y. S., Shin, Y. J., Hong, J. E., & Choi, J. H. (2008). Analysis of the tendency of researches on the education of gifted-in-science by searching with ERIC.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2(1), 45-52. 

  17.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Science education master plan (2016-2020). Seoul, Korea: Author. 

  18. Otte, E., & Rousseau, R.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A powerful strategy also for the information scienc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28(6), 441-453. 

  19. Park, K. B. (201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4), 823-840. 

  20. Seo, H. A. (2004). Directions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scientific creativit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4(1), 65-89. 

  21. Seo, I. S., & Ha, M. J. (2011). Recent government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trend analysis: focusing on the network properties (2-mode SNA) analysis of the 2009-2010 data.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2(1), 179-207. 

  22. Sim, G. C., So, G. H., Kim, H. S., & Jang, N. G. (2003). Preference of science gifted/talented and general students for study course and occupation. Biology Education, 31(4), 292-298. 

  23.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Woo, S. (2015). The evolu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1968-2012: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5(2), 279-298. 

  25. Yoon, J. A., Kim, S. J., & Seo, H. A., (2015). Investigating trends of gifted educ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from 2010 to 2015.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6(2), 347-363. 

  26. Yun, K. M., & Yoo, S. H. (2011). A comparison of career patterns among the gifted in science, the gifted in human and social science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by Holland career theory. Secondary Institute of Education, 59(4), 1001-10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