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성인의 비만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Obesity Type among 19-64 year old Korean Adul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6, 2016년, pp.545 - 557  

구혜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손영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types of obesity categorized by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Korean adults aged 19-64 year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BMI와 복부비만을 기준으로 구분된 비만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다양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 총 11,081명을 대상으로 하여 BMI 비만과 복부비만 둘 다 해당하는 경우 비만1군(19.
  • 본 연구에서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을 대상으로 BMI 비만과 복부비만을 근거로 비만유형을 분류하고, 이러한 비만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다양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은 전반적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부족 현상을 보이고, 권장섭취량에 미달되는 미량 영양소가 많고 탄수화물에 의존도가 높은 식이패턴과 같이 양적, 질적인 면에서 부적절한 식이섭취상태라는 선행연구[7]를 감안하여, 비만 유형별 비교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65세 이상을 제외하고 수행하였다.
  • 비만의 발생과 식습관이나 영양섭취와의 관련성을 고려한다면 비만의 유형에 따라 식사의 질이나 다양성은 다를 것이며, 외국과 우리나라의 식사패턴 및 비만유병의 양상이 다름을 감안한다면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상태에 따른 식사섭취상태나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가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을 대상으로 BMI 기준과 허리둘레 기준을 이용하여 BMI비만과 복부비만 모두에 해당하는군, BMI 비만에만 해당하는 군, 복부비만에만 해당하는 군, BMI비만과 복부비만 어느 곳에도 해당되지 않는 정상군의 총 4군으로 분류하여 비만군 분포를 파악하고, 비만유형별 식사의 질과 다양성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편적으로 비만을 정의하는 방법은? 5%)였다[1]. 이렇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비만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만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어떤 방법이 가장 타당한 지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2] 보편적으로 비만을 정의하는 방법은 전체적인 비만은 BMI, 복부비만은 허리둘레를 이용한 기준을 이용하고 있다. BMI가 정상이라도 허리둘레나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높으면 당뇨병이나 심혈관계질환 또는 대사증후군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3]와 BMI와 허리둘레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4]가 보고되면서 신체 내 지방의 분포, 특히 복부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5].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서 균형된 식사가 되기 위해서는 특정 성분의 과잉섭취를 막고,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식사의 질 유지가 중요한 이유는? 비만의 발생은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 열량 섭취의 과다 및 신체활동량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 부적절한 생활습관 및 식습관, 호르몬 관련 대사 이상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특히,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식사관련 특성은 조절 가능한 중요요인이다[6]. 따라서 균형된 식사가 되기 위해서는 특정 성분의 과잉섭취를 막고,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식사의 질 유지가 중요하다[7].
비만율의 추세는? 우리나라 2012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만 19세 이상 성인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이하 BMI) 25 kg/ m2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할 경우에 비만율은 31.5%(남자 36.3%, 여자 28.0%)로 2005년 31.3%에 비해 8년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허리둘레 남자 90 cm 이상, 여자 85 cm 이상으로 정의되는 복부비만율은 22.2%(남자 22.9%, 여자 21.5%)였다[1]. 이렇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비만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만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어떤 방법이 가장 타당한 지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2] 보편적으로 비만을 정의하는 방법은 전체적인 비만은 BMI, 복부비만은 허리둘레를 이용한 기준을 이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Internet]. 2013 [cited 2016 Jan 1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 Ko JH, Kim KJ.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percent body fat,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women. J Growth Dev 2007; 15(1): 1-7. 

  3. Zhu S, Wang Z, Heshka S, Heo MS, Faith M, Heymsfield S.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whites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ical action thresholds. Am J Clin Nutr 2002; 76(4): 743-749. 

  4. Ardern C, Katzmarzyk P, Janssen I, Ross R. Discrimination of health risk by combined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Obes Res 2003; 11(1): 135-141. 

  5. Lee YE, Park JE, Hwang JY, Kim WY. Comparison of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The 1998-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 Nutr Health 2009; 42(7): 631-638. 

  6.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s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2; 45(2): 140-149. 

  7. Kim MH, Lee JC, Bae YJ. The evaluation study o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Samcheok according to ag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5): 495-508. 

  8. Arroyo IM, Rocandio PA, Ansotegui AL, Pascual AE, Salces BI, Rebato OE. Diet quality, overweight and obesity in university students. Nutr Hosp 2005; 21(6): 673-679. 

  9. Wolongevicz DM, Zhu L, Pencina MJ, Kimokoti RW, Newby PK, D'Agostino RB et al. Diet quality and obesity in women: the Framingham Nutrition Studies. Br J Nutr 2010; 103(8): 1223-1229. 

  10. Jennings A, Welch A, van Sluijs EM, Griffine SJ, Cassidy A. Diet quality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weight status in children aged 9-10 years. J Nutr 2011; 141(3): 453-459. 

  11. Kim MS, Kweon DC,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based on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Based on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4; 47(6): 403-415. 

  12. Jayawardena R, Byrne NM, Soares MJ, Katulanda P, Yadav B, Hills AP. High dietary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 Sri Lankan adults: an evaluation of three dietary scores. BMC public Health 2013; 13(1): 314.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et]. 2000 [cited 2016 Jan 13]. Available from: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Redefining_obesity/en/. 

  14. Lee SY,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et al.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 1-9. 

  15. Bergier J, Kapka-Skrzypczak L, Bilinski p, Paprzycki P, Wojtyla A. Physical activity of polish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ccording to IPAQ: a population based study. Ann Agri Environ Med 2012; 19(1): 109-115. 

  16. Choi HM, Kim JH, Lee JH, Kim CI, Song KH, Jang KJ et al. 21st Century nutrition. 4th ed. Paju: Kyomunsa; 2011. p. 5. 

  17. Hansen RG.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1973; 31(1): 1-7. 

  18. Oh SY. Analysis of methods on dietary quality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2S): 362-367. 

  19.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4): 419-428. 

  20. Um JS, Park MY, Chung YJ. Composition of food groups appropriate for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Korean adolescents based on Kant's minimum amount. J Nutr Health 2006; 39(6): 560-571. 

  21.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1991; 91(12): 1526-1531. 

  22.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 1st ed. 2010. 

  23. Park SK, Park MS, Ko JA.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hydrate intake and waist circumference. Korean J Obes 2008; 17(4): 175-181. 

  24. Lee TY, Yoo HJ, Joo NS. Daily calcium intake and obesity in middle-aged Koreans. Korean J Obes 2009; 18(2): 59-64. 

  25. Lee JY, Chang HS, Seo KH, Lee BS, Nam BS. Diet therapy.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 2007. p. 231. 

  26. Chang HS.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r,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habits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among middle-aged women in Guns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227-239. 

  27.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2; 45(2): 140-149. 

  28.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83-591. 

  29. Rosell M, Johansson G, Berglund L, Vessby B, de Faire U, Hellenius ML. Associations between the intake of diary fat and calcium and abdominal obesity. Int J Obes 2004; 28(11): 1427-1434. 

  30. Marques-Vidal P, Goncalves A, Dias CM. Milk intake is inversely related to obesity in men and in young women: data from the Portuguese Health Interview Survey 1998-1999. Int J Obes 2006; 30(1): 88-93. 

  31. Lee CJ, Joung HJ. Milk intake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95-8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