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09 - 117  

김주이 (삼성서울병원.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in Ko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he sample consisted of 210 clinical nurses from th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amm[12]의 공감만족-공감피로 모델을 중심으로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여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환자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과 공감만족은 소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공감피로는 소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간호근무환경과 공감만족이 높을수록 소진은 낮았고 공감피로가 높을수록 소진은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소진에 쉽게 노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진(burnout)이란 스트레스원에 대한 개체 반응 중의 하나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 상태의 경험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적인 건강증후군이며[1] 많은 사람들을 상대해야 하는 직업에서 흔히 나타난다[2].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의사, 행정직, 의료기사 등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들과 협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외부 고객인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며 그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에 소진 현상의 발생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1,3]. 또한 소진은 개인과 업무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현상이기에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 및 간호근무환경의 차이는 간호사의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소진이란 무엇인가? 소진(burnout)이란 스트레스원에 대한 개체 반응 중의 하나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 상태의 경험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적인 건강증후군이며[1] 많은 사람들을 상대해야 하는 직업에서 흔히 나타난다[2].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의사, 행정직, 의료기사 등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들과 협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외부 고객인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며 그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에 소진 현상의 발생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1,3].
소진으로 인해 나타나는 건강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소진은 업무수행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주요 건강문제이기에 이를 중재하여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이는 간호사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업무에 지장을 미쳐 대상자 간호의 질을 떨어트리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소진의 발생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고 중재하여야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YO.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2;14(4):591-600. 

  2. McCranie EW, Lambert VA, Lambert CE Jr. Work stress, hardiness, and burnout among hospital staff nurses. Nursing Research. 1987;36(6):374-378. 

  3. Gardner D, Parzen ZD, Stewart N. The nurse's dilemma: Mediating stress in critical care units. Heart & Lung. 1980;9(1):103-106. 

  4.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14-42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5. Kim JK, Kim MJ, Kim SY, Yu M, Lee KA.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69-8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69 

  6.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Lake ET, Cheney T.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5):223-229.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aeb4cf 

  7. Lee JM, Yom YH.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89-69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89 

  8.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Mazel; 1995. 

  9. Coetzee SK, Klopper HC.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0;12:235-24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26.x 

  10. Crabbe JM, Bowley DM, Boffard KD, Alexander DA, Klein S. Are health professionals getting caught in the crossfire? The personal implications of caring for trauma victims.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04;21(5):568-572. 

  11. Gow KM, Marek CJ. Way finding through life's challenges: Coping and survival. New York, NY: Nova Science Publishers; 2011. p. 385-402. 

  12.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Internet]. Pocatello: ProQOL.org; 2010[cited 2014 October 18]. Available from: http://proqol.org/uploads/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13.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3):176-188. 

  14.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41(3):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15.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1-9. 

  16. Kim HJ, Yom Y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44(3):259-269.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259 

  17. Kim SR, Kim HY, Kang JH.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0(3):272-280.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72 

  18. Ko CM, Lee A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47-65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47 

  19. Robins PM, Meltzer L, Zelikovsky N. The experi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upon care providers working within a children's hospital.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9;24(4):270-279. http://dx.doi.org/10.1016/j.pedn.2008.03.007 

  20. Slocum-Gori S, Hemsworth D, Chan WW, Carson A, Kazanjian A. Understanding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 survey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workforce. Palliative Medicine. 2013;27(2):172-178. http://dx.doi.org/10.1177/0269216311431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