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복지시설 사용자 중심의 영양·식생활관리 프로그램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1, 2016년, pp.65 - 74  

이민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정현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박옥진 (여주대학교 호텔관광과) ,  이영미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health conditions, eating habits and experience and demand for nutrition dietary management of senior citizens. And these data are formed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nutrition dietar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and con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복지시설별로 영양·식생활 관리에 대한 질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질병과 관련된 식사요법 컨텐츠를 포함한 상담, 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영양사 확보 정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에서 노인 스스로의 영양·식생활관리 동기부여 마련을 위해 영양교육 프로그램개발과 실천적 성격의 구체적 컨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시설별 노인들의 영양·건강 상태와 식습관 및 영양· 식생활 관리에 대한 경험과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명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우리 국민의 평균 수명은 78.5세였으며, 남성은 75세, 여성은 82세로 각각 보고되었다[1].이와 같은 평균수명이 증가하게 된 배경에는 보건의료기술의 발달, 영양섭취상태의 개선,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증가 등을 들 수 있으나 아직까지도 노인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소득수준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량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영양부족 문제가 노년층 자체의 고유한 특성으로 지적되고 있다.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 확보의 변동추이는 ?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으로 가정에서의 노인 부양 환경이 변화되어 노인부부 또는 독거노인의 주거형태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노인복지시설의 수가 양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2011년 12월 기준노인복지시설의 현황은 70,618개소로 변동추이를 살펴보면, 2008년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행 이후 재가서비스 단기보호의 시설 전환 등으로 인하여 2010년도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2011년도는 특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증가에 비해 질적인 수준이 아직 미치지 못해 특히 영양·식생활 관리에서는 체계가 미흡하여 노인들의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평균수명이 증가하게 된 배경은 ? 5세였으며, 남성은 75세, 여성은 82세로 각각 보고되었다[1].이와 같은 평균수명이 증가하게 된 배경에는 보건의료기술의 발달, 영양섭취상태의 개선,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증가 등을 들 수 있으나 아직까지도 노인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소득수준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량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영양부족 문제가 노년층 자체의 고유한 특성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식생활과 밀접한 질병중의 하나인 고혈압과 당뇨병의 만성질환 유병율이 각각 50%, 2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고령화 사회에서 영양·식생활관리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tatistic Korea. Projected population and proportion [internet]. 2011 [cited 2013 May 1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2. Ministry of Health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internet]. 2014 [cited 2015 Dec 2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3. Lim YJ, Choi YS. Seasonal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family in the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1): 58-67. 

  4. Chang HJ.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foodservice through identifying the foodservice quality factors in senior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69-79. 

  5. Choi JH, Lee ES, Lee YJ, Lee HS, Chang HJ, Lee KE et al. Development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 -by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technique-.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67-181. 

  6. Lee MS.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subjec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nutritional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72-781. 

  7. Yim KS.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40-652. 

  8. Kwak CS, Cho JH, Yon MY, Park SC. Anthropometric index,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the oldest-old population aged 95 and over living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03-622. 

  9. Bae JS, Kim MH, Kim S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65-76. 

  10. Park JY, Kim JN, Hong WS, Shin WS. Survey on present use and future demand for the convenience food in the elderly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81-90. 

  11. Kwak KS, Bae YJ, Kim MH. Nutritional status dietary quality in the low-income elderly residing at home or in health 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08; 14(4): 337-350. 

  12. Hong SY, Seo SH. Job performance frequency and the training needs of dieticians in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60-177. 

  13. Cho EH, Chang HJ, Kwak TK. Analysis of the job activities and demand of dietitian in the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06; 12(4): 313-328. 

  14. Choi BS, Kwon SY, Seo JY, Lee IS, Lee HJ.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meal service satisfaction of elderly at the local community centers: Free and reduced meal service char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3): 303-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