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연구 -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Perception of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Subject-Special Services: Focusing on Survey Targeting Students Who Take 'Medical Terms and MeSH' and 'Health & Medical Information Sourc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1, 2016년, pp.437 - 456  

오의경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교육이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진로결정 의사능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을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대표적인 주제전문사서양성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상명대학교의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 진로 결정능력 향상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대부분이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지하고(88.7%), 의학사서의 역할을 이해하며(92.5%), 의학정보서비스의 유형과 기능에 대하여 더욱 잘 알게 되었으며(100%), 전문직으로써 의학사서에 대한 자부심을 더욱 더 자각하게 되었다(83%). 둘째, 의학도서관으로의 취업의사를 갖거나(45.3%) 의학정보서비스 업무 담당 의사를 보인(26.4%) 응답자는 앞의 다른 질문의 응답자 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목 수강 여부, 수강 과목의 수, 학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에 대한 이해도 면에서는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높았고, 의학사서 취업 의사에 있어서는 비수강자가 수강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넷째,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안에서의 교육은 지식습득에는 효과적이지만 취업의사나 진로결정의 부분에서는 오히려 조심스러운 입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학주제에 대한 어려움과 낯설음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based on the need for department of LIS education program that targets training of subject-special librarian, focuses on proving that such education can improve perception of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strengthen career decision-making.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강생들의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조사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주제전문사서 양성 교과목 운영 사례 조사와 제시를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와 같은 사서교육 환경에서,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지식과 서비스를 다루는 학부(학과) 교과목을 편성, 운영하였을 때, 학생들의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에 도움이 되었는지, 진로에 대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영향을 주었는지 등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서들은 어떻게 자격을 갖추게 되나? 우리나라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서는, 사서들은 4년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서 4년간 도서관 및 문헌정보학의 이론과 정보서비스 기술 등을 학습하여, 정사서 2급의 자격을 갖추게 된다. 졸업 요건은 학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단일 전공의 경우 50~60학점 수준으로, 특정 주제(예를 들어, 의학, 법학 등)에 집중하여 서비스 역량을 구축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정 주제에 대한 지식 혹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 활용등에 대한 교과목을 설치한 문헌정보학과가 있는 대학교는 어디인가? 전국의 4년제 대학 문헌정보학과는 모두 35개교이며(2급정사서 교육기관 기준), 대부분 정보서비스, 주제별정보원, 인문과학정보원, 자연과학정보원 등의 전통적인 주제서비스 관련 교과목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주제에 대한 지식 혹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 활용 등에 대한 교과목을 설치한 학교는 전남대학교, 청주대학교, 상명대학교 등 3개교이며, 전남대학교는 의학과 법률의 2개 주제, 청주대학교와 상명대학교는 의학 주제를 다루고 있다. 3개 학교가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명과 교육내용은<표 3>과 같다.
주제전문사서란? 주제전문사서는 ‘특정 주제 분야에서 고도의 지식을 소유하고 관련 주제영역의 자료를 선정, 평가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아울러 정보서비스와 서지업무를 담당하는 도서관 직원’을 의미한다. 도서관계와 문헌정보학계에서는, 전문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학과별 주제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이에 따른 이용자 정보요구의 다양화, 학문의 전문화․세분화 환경에 적극적으로 응대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미혜. 2002.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주제서지과목 과제방안 연구 - 법률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49-68.(Kang, Mia-Hye. 2002. "A Study on the Assignment of the Subject Bibliography Course forthe Education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36(3): 49-68.) 

  2.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 홈페이지.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3. 김휘출. 2003.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69-186.(Kim, Hwi-Chool. 2003.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37(2): 269-286.) 

  4. 남영준, 허운순. 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39-64.(Nam, Young-Joon and Heo, Oun-Soon. 2005.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for Subject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36(3): 39-64.) 

  5. 남영준. 2011.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의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343-362.(Nam, Young-Joon. 2011.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Curriculum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2(2): 343-362.) 

  6. 노영희 외. 2008.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97-123.(Noh, Younghee et al. 2008.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s Services in Korea." Journal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97-123.) 

  7. 변제연. 2012.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Byun, Jea Yeon.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Require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M.A.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8. 한국도서관협회. 사서자격 교육기관 리스트.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online] (Korean Library Association. Saseojagyeok Kyoyookgigwan List.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online] ) 

  9. 상명대학교. 2016학년도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서울: 상명대학교. [online] (Sangmyeong University. 2016 haknyundo Moonheonjeongbohakgwa Kyogwagwajeong. Seoul:Sangmyeong University. [online] ) 

  10. 안인자 외. 2008.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533-549.(Ahn, In-Ja et al. 2008.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533-549.) 

  11. 안인자 외.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333-361.(Ahn, In-Ja et al. 2009.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f Subject Specialist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333-361.) 

  12. 윤영대. 2003.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131-146.(Yoon, Yung-Dai. 2003. "A Study of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1): 131-146.) 

  13. 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 서울: 고려대학교. [online] (Korean Law Library Association. Korean Law Library Association Homepage. Seoul: KoreaUniversity. [online] ) 

  14.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광주: 전남대학교. [onl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nheonjeongbohakgwa Kyogwagwajeong. Gwangju: ChonnamNational University. [online] ) 

  15. 정재영. 2007.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91-409.(Chung, Jae-Young. 2007.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of Subject Specialist UpbringingPla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ubjects Related to Library." Korean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41(1): 391-409.) 

  16.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119-136.(Chung, Jae-Young. 2009.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Academic Libraries: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119-136.) 

  17.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청주: 청주대학교. [online] (Cheongju University. Munheonjeongbohakgwa Kyogwagwajeong. Cheongju: Cheongju University.[online] ) 

  18. 최흥식. 2012.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용자 인식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303-319.(Choi, Hung-Sik. 2012. "A Study of Reconsideration for Users in the Subject-Special Librariansof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303-319.) 

  19. 홍명자. 2006.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345-373.(Hong, Myung-Ja. 2006.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Approval of Korean Law School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345-373.) 

  20. 한국의학도서관협회. 한국의학도서관협회 홈페이지. 서울: 한국의학도서관협회. [online]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Homepage.Seoul: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online] ) 

  21. 황재영. 2011.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한국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137-158.(Jae-Young Hwang. 2011.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42(4): 137-158.) 

  22. Noh, Dong-Jo et al. 2009. "The Current State of and Needs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2): 4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