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참깨와 들깨품종의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Sesame and Perilla Cultivar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3, 2016년, pp.184 - 189  

하지혜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강헌일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은근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이재현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김동근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선충연구센터) ,  최인수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부가가치 작물인 참깨와 들깨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참깨 10품종, 들깨 10품종, 총 20품종을 고구마 뿌리혹선충과 땅콩 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참깨 10품종 모두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이었다. 들깨 10품종은 모두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이었다. 참깨와 들깨를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참깨는 시설재배지에 감염되어있는 뿌리혹선충의 종을 먼저 동정하여, M. arenaria가 감염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M. incognita가 감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들깨는 2종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으로 이들 선충이 감염된 시설하우스에서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lect resistant oil seed crops against two species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 arenaria, 10 cultivar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and 10 cultivar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were screened in greenhouse pot test. All sesame cultivars tested were re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부가가치 작물인 참깨와 들깨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참깨 10품종, 들깨 10품종, 총 20품종을 고구마 뿌리혹선충과 땅콩 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참깨 10 품종 모두 M.
  • 그러나 국내 개발된 참깨와 들깨 품종을 이용한 구체적인 저항성 시험 결과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시험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된 참깨와 들깨 각 10개의 품종들을 국내시설재배지대에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는 2종 뿌리혹선충인 M. arenaria와 M.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여 뿌리혹선충 저항성 윤작작물로 추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윤작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시설재배지에서는 동일 작물의 연작재배로 인해 토양 기생선충의 밀도가 증가하여 선충피해가 만연하고 있는데 뿌리혹선충의 피해로 인하여 선충 침입에 의한 상처 부위에 이차적인 토양 전염성병의 발생을 유발하고 수확 후기부터작물이 고사하고 있다. 작물이 고사한 포장에는 다음해 선충피해를 막기위해 윤작, 객토등 여러 가지 처리를 하고 있는데(Kim 등, 2001a), 이러한 포장에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낮출 수 있으면서, 동시에 고부가가치인 작물을 심는다면 뿌리혹선충의 방제와 함께 농가의 부가적인 소득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윤작은 선충방제 효과가 높으면서 환경 친화적인 방제법이며(Rhoades, 1976), 저항성 품종은 살선충제나 유기물처리, 열처리, 태양열 소독, 침수, 비기주식물 윤작 등과 함께 선충 종합관리(integratedpest management)에 이용될 수 있다.
국내 뿌리혹선충이 주로 발생하는 작물은?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전 세계적으로 농작물에 큰피해를 미치는 선충인데 국내에서는 주로 시설재배지작물에 많이 발생되고 있다.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식물은 뿌리에 혹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양분과 물의 흡수가 저해되어 지상부에는 양분결핍 증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Williamson과 Hussey, 1996).
뿌리혹선충에 의한 식물의 감염증상은? )은 전 세계적으로 농작물에 큰피해를 미치는 선충인데 국내에서는 주로 시설재배지작물에 많이 발생되고 있다.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식물은 뿌리에 혹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양분과 물의 흡수가 저해되어 지상부에는 양분결핍 증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Williamson과 Hussey, 1996). 또한 뿌리혹선충은 양분과 수분의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선충의 침입에 의해 식물체에 상처를 발생시키고 그 상처를 통해 토양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 곰팡이 등이 침입하여 각종 식물병을 유발하기도 한다(Park 등,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iley, D. M. 1941. The seedling test method for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Proc. Am. Soc. Hortic. Sci. 38: 573-575. 

  2. Brown, C. R., Yang, C. P., Mojtahedi, H., Santo, G. S. and Masuelli, R. 1996. RFLP analysis of resistance to Columbia root-knot nematode derived from Solanum bulbocastanum in a $BC_2$ population. Theor. Appl. Genet. 92: 572-576. 

  3. [KATI] 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 (2016 onwards). Import and export statistics. URL http://www.kati.net [23 May 2016]. 

  4. Kim, D. G., Choi, D. R. and Lee, S. B. 2001a. Effects of control methods on yields of oriental melon in fields infested with Meloidogyne arenaria. Res. Plant Dis. 7: 42-48. (In Korean) 

  5. Kim, D. G., Lee, Y. G. and Park, B. Y. 2001b. Root-knot nematode species distributing in greenhouses and their simple identification schem. Res. Plant Dis. 7: 49-55. (In Korean) 

  6. Kim, D. G., Ryu, Y. H., Huh, C. S. and Lee, Y. S. 2013. Resistance of newly introduced vegetable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Res. Plant Dis. 19: 294-299. (In Korean) 

  7.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onwards). Thematic statistics. URL http://kosis.kr [23 May 2016]. 

  8. Kwak, Y. H., Kwon, J. K., Kim, S. D., Kim, H. K., Park, C. B., Pae, S. B., Pae, S. D., Oh, K. W., Yoon, E. S., Lee, D. C., Lee, M. H., Jung, C. S., Choi, Y. H. and Hong, Y. K. 2003. The origins and property of the genus sesame. In: Perilla, eds. by You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3-42.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Miryang, Korea. 

  9. Messeguer, R., Ganal, M., de Vicente, M. C., Young, N. D., Bolkan, H. and Tanksley, S. D. 1991. High resolution RFLP map around the root knot nematode resistance gene (Mi) in tomato. Theor. Appl. Genet. 82: 529-536. 

  10. Park, D. K., Kwon, J. K., Lee, J. H., Choi, Y. H., Kim, H. T., Lee, S. G. and Han, S. C. 2003. Establishment of effective cropping system to reduce the injuries by continuous cropping in oriental melon. Proc. Korean Soc. Bio-Environ. Control Conf. 12: 24-29. (In Korean) 

  11. Park, S. D., Kwon, T. Y., Jun, H. S. and Choi, B. S. 1995.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damage by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controlled fruit vegetable field. RDA J. Agric. Sci. 37: 318-323. (In Korean) 

  12. Perry, R. N., Moeus, M. and Starr, J. C. 2009. Root-Knot Nematod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488 pp. 

  13. Rhoades, H. L. 1976. Effect of Indigofera hirsuta on Belonolaimus longicaudatus, Meloidogyne incognita, and M. javanica and subsequent crop yields. Plant Dis. Reptr. 60: 384-386. 

  14. Southey, J. F. 1986. Laboratory Methods for Work with Plant and Soil Nematod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UK. 202 pp. 

  15. Starr, J. L. and Black, M. C. 1995.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M. incognita, and M. javanica on sesame. J. Nematol. 27: 624-627. 

  16. Taylor, A. L. and Sasser, J. N. 1978. Biology,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ecies). North Carolina State Univ., Raleigh, NC, USA. 111 pp. 

  17. Walker, J. T., Melin, J. B. and Davis, J. 1998. Response of Sesamum indicum and S. radiatum accessions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J. Nematol. 30: 611-615. 

  18. Williamson, V. M. and Hussey, R. S. 1996. Nematode pathogenesis and resistance in plants. Plant Cell 8: 1735-1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