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영양지수를 이용한 아동의 식행동 특성 평가 - 서울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1, 2016년, pp.84 - 95  

임지예 (서울 남성초등학교) ,  김정현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  이명희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민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74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o lived in Seocho-gu, Gwanak-gu, and Dongjak-gu, Seoul. The average NQ score of the subjects was 68.3, which was a medi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 3개구 4개교(동작구 2개교와 서초구와 관악구 각 1개교)의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일반 특성과 식생활 특성, 아동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담임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 보완된 설문지로 2013년 1월 30일에서 2월 1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영양지수(NQ)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생활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식생활지침을 제언하고 어린이 영양․식생활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지역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NQ는 중위등급에 속하였으며, 균형과 절제 요인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양, 규칙, 실천 요인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특성 및 가정환경 특성과 영양 지수에 기반한 식행동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바람직한 식행동에 대한 제언 및 아동 영양·식생활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습관이란? 식습관은 생활환경에 적응하여 형성된 식행동 양식으로 일상생활에서 거의 의식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크게는 민족에 의해, 작게는 가정이나 개인에 따라서 식사 횟수, 식사 시각, 주요 식품, 메뉴, 조리법, 기호, 식사관 등 식행동 양식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식행동 양식은 개인의 건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식행동 평가지수인 영양지수의 5개의 하위 요인 중 균형 요인은 무엇을 추정할 수 있는가?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는 최근 개발된 식행동 평가지수로 아동의 식사의 질, 영양소 섭취 수준과 식행동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문항들로 식행동과 식사섭취 실태의 파악을 위해 현장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인데, 영양지수(NQ)를 이용하여 최상위, 상위, 중위, 하위, 최하위의 5개 등급으로 식행동을 평가할 수 있고, 등급에 따라 영양소의 섭취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Kang MH 등 2012). 영양지수(NQ)는 5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요인별 진단 기준 점수를 제시하고 있으며, 5개의 요인 중 균형요인은 칼슘, 식이섬유, 철, 칼륨, 아연, 비타민 C의 섭취 부족을 추정할 수 있고, 규칙요인은 칼슘, 철, 칼륨, 아연, 비타민 A 섭취 부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균형과 규칙요인은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엽산, 아연과 같은 여러 가지 영양소의 평균 영양소 섭취 적정도(Mean Adequacy Ratio, MAR)를 통해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식행동 양식으로 무엇이 있는가? 식습관은 생활환경에 적응하여 형성된 식행동 양식으로 일상생활에서 거의 의식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크게는 민족에 의해, 작게는 가정이나 개인에 따라서 식사 횟수, 식사 시각, 주요 식품, 메뉴, 조리법, 기호, 식사관 등 식행동 양식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식행동 양식은 개인의 건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식행동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Kim SA & Lee BH 2008, Shin EK 등 2008, Jeong NY & Kim KW 2009, Choi YJ & Min HS 2009, Jo AR & Khil JM 2010, Oh SH 등 2010, Shim E 등 2010, Kim BH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can C, Neumark-Sztainer D, Hannan P, van den Berg P, Story M, Larson N. 2007. Parental eating behaviors, home food environment and adolescent intakes of fruit, vegetables and dairy foods: Longitudinal findings from project EAT. Public Health Nutr 10(11):1257-1265 

  2. Choi YJ, Min HS. 2009. Comparison of children's body weights and eating habits by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1):77-86 

  3. Jang HB, Park JY, Lee HJ, Kang JH, Park KH, Song JH. 2011.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level, overweight, and eating habits with diet quality in Korean sixth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44(5):416-427 

  4.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4(1):55-66 

  5. Jo AR, Khil JM. 2010. Relationship of TV watching, internet usage and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and Jeon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25(2): 160-169 

  6. Jung SY. 2010.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and unbalanced die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21-25 

  7.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45(4):372-389 

  8. Kim BH, Sung MY, Lee YN. 2011. 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s by the score of dietary action guides for Korean childre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16(4):411-425 

  9. Kim HS. 2007. The effect of character types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eating habits.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ungin, Korea. pp 26-48 

  10.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2012.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45(4):390-399 

  11.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5(2):180-190 

  12. Kim MJ. 2011. Explora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feeding style dimension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ers and middle schoolers and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dimensions and child's food behavi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544-556 

  13. Kim SA, Lee BH. 2008.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intake status, dietary habi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si. Korean J Nutr 41(8):786-796 

  14. Lee HS, Jeong WS, Park UI. 2003. The dietary behavior of obese and normal weight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maternal guideline for their dietary behavior. Korean J Community Nutr 8(6):831-839 

  15. Lee KA. 2004. Effect of mother's nutrition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their children's obesity inducing factors. J Nutr 37(6):464-478 

  16. Lee SJ, Kim Y. 2013.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46(5):440-446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 Accessed January 14, 2016 

  18. Oh SH, Hyun WJ, Lee HM, Park HR, Lim HJ, Song KH. 2010.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5(4):498-506 

  19. Park NS, Jeon YS, Kim YN, Cho KD, Baek OH, Lee BH. 2009.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dietary intake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atopic dermatitis. J Korean Soc Food Scie Nutr 38(11):1543-1560 

  20. Pearson N, Timperio A, Salmon J, Crawford D, Biddle SJ. 2009. Family influences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 n. Int J Behav Nutr Physical Activity 6(1):34 

  21. Shim E, Kim JS, Ji SM, Sohn TY, Hwang J, Chung EJ. 2010. The Effects of a nutrition and body shape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health promoting projects in an elementary school. Korean J Nutr 43(4):382-394 

  22. Shin EK, Kim SY, Lee S, Bae IY, Lee HG. 2008.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eating habit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 Life 8(5):662-674 

  23. Yoo JS, Choi YS. 2013.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46(5):427-439 

  24. You JS, Kim SM, Chang KJ. 2009.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41(8):786-7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