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성장을 위한 한약 투여에 대한 후향적 연구

Effects of Herbal Medicine for Growth of Children: a Retrospective Study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4, 2016년, pp.87 - 98  

김지은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children's growth. Methods 51 children from the age of 5 to 16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7 of boys and 24 of girls). The participants were from the department of the pediatrics in Daegu hanny university o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상에서 소아 성장 평가에 골연령 측정과 체성분분석을 많이 사용하지만, 각각 다른 분야의 성장 상태를 평가하는 항목이다 보니 2가지를 연관 지은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투여 전후의 골연령과 체성분, 신체계측치의 분포 차이를 관찰하여 유의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성장을 위한 한약 투여 전후의 골연령과 체성분, 신체계측치의 분포 차이를 관찰하여 한약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저자는 한방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5세에서 16세 사이의 한약 투여를 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신체 계측, 체성분 분석, 골연령 측정 후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성장을 위한 한약 투여 전후의 골연령과 체성분, 신체계측치의 분포 차이를 관찰하여 한약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저자는 한방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5세에서 16세 사이의 한약 투여를 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신체 계측, 체성분 분석, 골연령 측정 후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RB)의 심의에서 연구를 위해 환자의 검사, 시술 등의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지 않으며 후향적으로만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하는 증례보고로서 승인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은 무엇인가? 성장이란 키, 몸무게, 장기의 무게 등이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는데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전적 요인에는 인종, 민족, 가계, 연령, 성별, 염색체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 등이 있고, 환경적 요인에서사회 경제적 요인, 신체적 환경, 계절, 심리적 요인, 운동 및 신체 자극, 영양, 질병 등이 있다1).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성장이란 키, 몸무게, 장기의 무게 등이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는데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전적 요인에는 인종, 민족, 가계, 연령, 성별, 염색체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 등이 있고, 환경적 요인에서사회 경제적 요인, 신체적 환경, 계절, 심리적 요인, 운동 및 신체 자극, 영양, 질병 등이 있다1).
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은 무엇인가? 성장이란 키, 몸무게, 장기의 무게 등이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는데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전적 요인에는 인종, 민족, 가계, 연령, 성별, 염색체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 등이 있고, 환경적 요인에서사회 경제적 요인, 신체적 환경, 계절, 심리적 요인, 운동 및 신체 자극, 영양, 질병 등이 있다1). 일반적으로 성장장애라 하면 주로 키에 있어서의 성장장애를 말하는데, 의학적으로 성장장애라 함은 역연령에 비하여 키가 3백분위수 미만인 경우, 더 정확하게는 역연령의–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ong CU. Pedriatrics. Seoul: Daehan Co. 1999:18-9, 930-1, 1101-2. 

  2. Rosenfeld RG. Disorders of growth horm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secretion and action. In: SperlingamAed. Pediatric Endocrin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Co. 2002:116-69. 

  3.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eong HG,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eong MJ, Chae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ang).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69. 

  4. Yang SW. Management of children with short stature. J Korean Soc Endocrinol. 2003;18(6):561-70. 

  5. Jeong JH, Jeong KM. Oriental medical study on children's growth. J Korean Orient Pediatr. 1996;10(1):1-15. 

  6. Chang GT, Kim JH. The literature study on the growth disorder. J Korean Orient Pediatr. 1997;11(1):1-35. 

  7. Jung YH, Kim YH, Yoo DY. The literature study on the growth disorder. J Korean Orient Pediatr. 1999;13(1):17-62. 

  8. Koo BH, Lee TE, Lee BW. Effect of the herb medicines to growth and secretion of growth hormone in pigs. J Korean Orient Pediatr. 1998;12(1):277-87. 

  9. Leem KH, Kim HH. Effects of herbal composition on longitudinal bone growth of adolescent rats. Korea J Herbol. 2003;18(3):181-6. 

  10. Park BM, Soh KS, Jeong CG. Effects of Yukmiziwhangwhan on the growth of rats. Korea J Orient Prev Med Soc. 2003;7(2):23-33. 

  11. Ku EJ, Kim DG. The effect of Boyangsengjang-tang on the growth of mice and rats. J Korean Orient Pediatr. 2002;16(1):149-70. 

  12. Min SY, Chang GT, Kim JH.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Bojungikgitanggamibang on growth, learning and memory of rat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5;19(2):434-40. 

  13. Lee DH, Kim DG.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al care on growth deficiency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1998;12(1):145-62. 

  14. Park SM. Report of oriental medicine growth factor. J Korean Orient Pediatr. 2001;15(1):195-202. 

  15. Jeoun HS, Lee H, Lee JY, Kim DG. Clinical study of effect to the height-growth after the administration of Boyangsungjangtang to the prepuberty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1;15(1):47-57. 

  16. Jo HJ Jeong SM, Kim DG, Lee JY.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the growth of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4;18(2):119-26. 

  17. Yu HY, Kim KB, Min SH, Kim JH. Effects to the growth after administration of Seongjangbojunggeonatang. J Korean Orient Pediatr. 2009;23(2):103-15. 

  18. Jeong MJ, Gok SY, Lee SY. Pilot study of effect to the growth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medicine to the prepuberty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8;22(3):25-34. 

  19. Park ES, Lee JY, Kim DG. A study for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effect on the growth of children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J Korean Orient Pediatr. 2010;24(1):36-45. 

  20. Lee YJ, Baek JH, Ko MJ, Seo JM. Herbal medicine promotes growth of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1):49-62. 

  21. Yoon HJ, Kim DG, Lee JY. A study for the parent's recognition of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the expectation of children's growth.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1):119-27. 

  22. Tamura K, Akiyama T, Taguchi A, Fujikawa H, Saitch H, Tanaihara T. Measurement of bone density by ultrasound bone densirometer in normal pregnant women. Nippon Sanka Fujinka Gakkai Zasshi. 1996;48(11):1079-84. 

  23. Seo YM, Chang GT, Kim JH. A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by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bone. J Korean Orient Pediatr. 2003;17(2):1-13. 

  24. Kim MG, Kim SS, Kim CY.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in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using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and skinfold - thickness measurements. J Korean Soc Sport Leisure Stud. 1998;9(1):451-62. 

  25. Hong SC, Lee SI, Heon IS. Body composition by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 in primary, middle, high and college students in Cheju. Korea Public Health Res. 2002;28(2):149-57. 

  26. Kim JK, Park SH, Ryu HS, Kim KH, Heo Y, Ma MR, Lee CH, Kim JH. Development of body composition analysis and estimated regressions on male children aged 10 to 12. Korea Sport Res. 2005:16(4);671-80. 

  27. Song YJ, Jeong HJ, Kim YN, Baek HY.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intake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prevalence. J Nutr Health. 2006;39(1):44-9. 

  28. Bae YJ, Kim EY, Cho HK, Kim MH, Choi MK, Sung MK, Sung CJ. Relation among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normal and obese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Community Nutr. 2006;11(1):14-24. 

  29. Seo HY, Han JK, Kim YH.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obesity and skeletal maturity. J Korean Orient Pediatr. 2008;22(2):19-35. 

  30. Yun HJ, Lee YJ, Baek JH. A clinical study on growth of children based on analyzing body compositions and measuring bone age. J Korean Orient Pediatr. 2009;23(2):131-44. 

  31. Lee YJ, Yun HJ, Kwak MA, Baek JH.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J Korean Orient Pediatr. 2009;23(2):145-57. 

  32. Korean Pedriatrics Health Statistics Committee. The Reference Standard of Growth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7. 2007. 

  33. Choi YK. Endocrinology. Seoul: Uihak Publishing Co. 1994:601-26. 

  34.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ne Pedriatrics Class. Severance Manual of Pediatrics. Seoul: Yonsei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2009:566-72. 

  35. Kim HS. The role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s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 in growth disorders. Endocrinol Metab. 2003;18:543-51. 

  36. Heo J. Donguibogam. Seoul: Namsandang. 1986:72, 645-8, 651-3. 

  37. Park CG. Byeonginbyeonggihak. Seoul: Seongbosa. 1992:397-410, 504-17. 

  38. Smith RJ. Misuse of handwrist sadiographs. Am J Orthod Dentofac Orrhop. 1985;88:273. 

  39. Greuclich WW, Pyle SI. Radiographic atlas of skeletal development of the hand wrist. Standford: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59. 

  40. Seo JM, Lee YJ, Yun HJ, Kang MS, Baek JH. The relationship between zema 21 and inbody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differences of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9;23(1):173-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