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창 갯벌에서 중국산 및 충남산 바지락의 성장, 비만도 및 폐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index and mortalit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etween originated from China (Liaoning Dandong) and Chungnam (Taean) in Gochang tidal flat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2 no.3, 2016년, pp.175 - 184  

안현미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기훈종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정희도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이희중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한형균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박광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송재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창갯벌에 가을에 이식한 중국산 종패를 1년간 양식 후 이듬해 가을에 전량 채취하지 않으면 월동중인 2월부터 죽기 시작하여 봄철에는 전량 폐사한다는 현지 어업인의 애로사항을 토대로, 고창갯벌에서 중국산과 충남산 종패를 같은 어장에 이식하여 양식시험을 실시하여 종패 차이로 인한 양식생산성의 차이 유무를 진단하고, 차이가 있을 경우 적합한 양식관리 방안 도출을 위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수행하였다. 이식 중에 공기 중에서 약 5일의 운반과정을 거치는 중국산 종패는 이식 1개월 이내에 20% 이상의 폐사가 발생하여 초기 손실이 컸으나, 종패 산지에서 채취 후 다음날 시험어장에 입식한 충남산 종패는 이식초기에 약 7%의 폐사가 발생하였다. 2015년에는 2014년에 비해 여름철 강수량은 감소하고 6월 중순 이후 급격한 기온 상승 등으로 인해 중국산과 충청산 모두 폐사가 급증하는 결과를 보였다. 바지락의 성장면에서는 이식초기에 장기간 절식 및 공기 중 노출 등 많은 스트레스를 받은 중국산에 비해 짧은 이식 시간 및 환경적응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충청산이 이식 1년차의 성장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중국산 바지락의 비만도는 시험 1년차에는 6월에 최고치에 도달 후 7월에 급격한 감소를 보인 반면 2년차에는 5월에 최고치에 도달 후 6월부터 8월 사이에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충남산의 비만도는 시험 1년차에는 5월에, 시험 2년차에는 4월에 각각 최고치에 도달 후 감소함으로써 바지락의 비만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생식소 발달 및 산란시기가 중국산과 충청산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산은 대개 가을에 성패를 채취하지만 부득이 월동할 경우에는 이듬해 5월까지는 채취하는 것이 폐사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한편, 고창 어업인들 사이에서는 충청산 바지락이 중국산에 비해 봄부터 가을까지 성장이나 비만도면에서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산란 직후인 7월과 월동중인 12월부터 2월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충청산이 전반적으로 우수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 점도 유의할 만하다. 본 연구는 고창갯벌의 동일지점에서 종패의 원산지 차이가 양식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약 18개월간 수행되었으나 원산지가 다른 두 지역의 바지락이 양식기간이 경과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충분히 적응하는 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치패 단계부터 성패단계까지 최소한 3년 이상의 시험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ansplanted Chinese (Liaoning Dandong) and Chungnam (Taean) manila clam seeds to Gochang tidal flats in Jeonbuk province, and compared growth, mortality, and condition indices from May 2015 to August 2016. Within 2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clam mortality of Chungnam and Ch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전북 고창지역처럼 국내산과 외국산 종패를 오랜 기간 대량 이식하여 양식하는 지역에서도 이식 초기부터 최종 생산단계에 이르기까지 바지락의 성장과 폐사, 비만도 등 양식 생산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종패와 국내 충남산 종패를 고창 갯벌에 이식하고 성장, 비만도 및 생존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고창지역 어업인들의 바지락 양식 전략 수립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고창갯벌에 가을에 이식한 중국산 종패를 1년간 양식 후 이듬해 가을에 전량 채취하지 않으면 월동중인 2월부터 죽기 시작하여 봄철에는 전량 폐사한다는 현지 어업인의 애로사항을 토대로, 고창갯벌에서 중국산과 충남산 종패를 같은 어장에 이식하여 양식시험을 실시하여 종패 차이로 인한 양식 생산성의 차이 유무를 진단하고, 차이가 있을 경우 적합한 양식관리 방안 도출을 위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수행하였다. 이식 중에 공기 중에서 약 5일의 운반과정을 거치는 중국산 종패는 이식 1개월 이내에 20% 이상의 폐사가 발생하여 초기 손실이 컸으나, 종패 산지에서 채취 후 다음날 시험어장에 입식한 충남산 종패는 이식초기에 약 7%의 폐사가 발생하였다.
  • ,1996)와 유사한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인들이 실제 양식하는 밀도의 현장실험에서 중국산과 충청산 바지락의 성장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지락의 성장은 수질 환경 외에 저질 내 황 함유율 및 금속 이온, 먹이 생물의 공급, 유기물량 등과 관련된다는 점 (K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지락은 무엇이며 서식지는 어디인가?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이매패강 (Bivalvia), 백합과 (Family Veneridea) 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영국과 미국 등에 널리 분포 (Ponurovsky and Yakovlev, 1992; Lee et al., 1996; Goulletquer, 197; Yoo, 1998; Min et al., 2004)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서해 및 남해 연안의 담수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 수역을 중심으로 간출시간 2-3시간 되는 곳에서부터 수심 3-4m 사이인 조간대에 주로 서식하고 있다 (Kang et al., 2000; Min et al.
우리나라 바지락 생산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우리나라 바지락 생산은 해면어업과 천해양식의 방법으로 생산되며 총 생산량은 1980년대부터 증가하여 1990년에 74,581톤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생산량이 꾸준히 감소하여 2015년에는 25,517톤을 생산하였다 [Fig.
바지락의 생산량이 꾸준히 감소한 이유는? 이와 같은 바지락 생산 감소의 원인으로는 갯벌어장 주변의 공장 건립과 생활하수 폐기 등에 의한 갯벌어장의 오염 (Choi et al., 2013), 대규모 간척과 매립으로 인한 패류 서식장의 축소 (Chung et al., 1994; Park et al., 2011), 연안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변화와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축적 (Choi et al., 2013), Perkinsus olseni와 같은 바지락 기생생물에 의한 면역력 및 성장 저하, 생식소 성숙 부진에 의한 번식량 감소 (Yang et al., 2012; Kang et al., 2015), 기후 변화로 인한 대량폐사 (Park et al., 2010) 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2007년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 유류 유출 사고와 같은 해양오염 사고가 바지락 폐사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고된 바도 있다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ck, S.H., Park, S.U., Suh, S.H., Oh, T.G., Choi, C.W., Kim, H.J. and Kim. J.R. (2011) A study on the cause of mass mortality of Ruditapes philippinarum west coast. The Journal of Fisheries Research Management, 1(1): 91-97. 

  2. Baek, M.J., Lee, Y.J., Choi, K.S., Lee, W.C., Park, H.J., Kwak, J.H. and Kang, C.K. (2013) Physiological disturb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alter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78: 137-145. 

  3. Cho, T.J., Lee, S.B. and Kim, S.Y. (2001)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4: 245-253. 

  4. Choi, K.S. and Park, K.I. (1997) Report on the Occurrence of Perkinsus sp. In the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 Journal of Aquaculture, 10(3): 227-237. 

  5. Choi, Y.M., Yoon, S.C., Lee, S.I., Kim, J.B., Yang, J.H., Yoon, B.S. and Park, J.H. (2011) The study of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aehwa river of Ulsan.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2): 107-114. 

  6. Choi. Y.S., Cho, Y.R. and Lee, C.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mental ondition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west coast of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8: 56-63. 

  7. Choi, Y.S., Park, K.J., Yoon, S.P., Chung, S.O., An, K.H. and Song, J.H. (2013)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arine Shellfish Farm in Namhae-po Tidal Flat of Taean.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1): 51-63. 

  8. Choi. Y.S., Song, J.H., Yoon, S.P., Chung S.O., An, K.H. and Park, K.J. (2014)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in the cultur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t Hwangdo and Jeongsanpo of Taean i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30(2): 117-126. 

  9. Chung, E.Y., Ryou, D.K. and Lee, J.H. (1994) Gonadal Development, Age and Growth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um (Pelecypoda: Veneridae), on the Coast of Kimje,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0(1): 38-54. 

  10. Chung, E.Y., Hur, S.B., Hur, Y.B. and Lee, J.S. (2001) Gonadal Maturation and Artificial Spawning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in Komso Bay, Korea. J. Fish. Sci. Tech., 4(4) : 208-218. 

  11. Ford, S.E., Kraeuter, J.N., Barber, R.D. and Mathis, G. (2002) Aquaculture-associated factors in QPX disease of hard clams: density and seed source. Aquaculture, 208: 23-38. 

  12. Kang, H.K., Chang, J.Y. and Kim, Y.H. (2000) Growth Comparison of Short Neck Clams, Tapes philippinarum between the Tow Culturing Area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6(1-2): 49-54. 

  13. Kang, H.S., Hong, H.K., Yang, H.S., Park, K.I., Lee, T.K., Kim, Y.O. and Choi, K.S. (2015) Spati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during Spawning and Effects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olseni Infection on the Reproductive Effort. Ocean and Polar Research, 37(1): 49-59. 

  14. Kim, C.W. and Kho, K.H. (2004)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dietary feeding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2: 28-34. 

  15.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2016 http://www.khoa.go.kr/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6) http://web.kma.go.kr/ 

  1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5) http://kosis.kr/ 

  18. Lee, H.J., Kang, H.S., Park, K.I., Mondol, M.R. and Choi, K.S. (2012a) Quantification of Reproductive Effort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and Reeve, 1850).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8(2): 145-156. 

  19. Lee, Y.H., Chang, Y.J., Han, K.L., and Chung, G.S. (1996)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 i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Different Seedling Production Areas. Journal of Aquaculture, 9(3): 223-232. 

  20. Lee, Y.W., Park, M.O., Yoon, J.H. and Hur, S.B. (2012b)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of the Gomso Bay as Determined by Chemotaxonomic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87-94. 

  21. Min, D.K. (2004) Mollusks in Korea. Busan, Korea: Hangul Graphics. 465 pp. 

  2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Marine enviromental test method, pp. 495. (in Korean). 

  2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6) http://www.fips.go.kr/ 

  24. Nam, K.W., Jeung, H.D., Song, J.H., Choi, K.S. and Park, K.I. (2015) Dissemination of Perkinsus olseni is affected by the viability of Ruditapes philippinarum.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31(4): 267-272. 

  25.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2015) http://www.nifs.go.kr/ 

  26. Park, K.I., Yang, H.S., Kang, D.H. and Choi, K.S. (2010a) Density Dependent Growth and Mortality of Manila Clam Ruditapse philippinarum Reared in Cages in Gomso Bay,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6(1): 91-95. 

  27. Park. K.I. (2013a) Variation of nitric oxide concentrations in response to shaking stress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1): 1-6. 

  28. Park, K.J., Song, J.H., Han,H.S. and O, H.C. (2010b) Spring mass mortality and cause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eds in the West coast of Korea. 2010 Fisheries Societies Association of Korea (FSAK) annual meeting abstract book. pp.39. 

  29. Park, K.J., Yoon, S.P., Song, J.H., Han, H.S. and O, H.C. (2011) Improve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bitat Condition by Adding Crushed Oyster (Crassostrea gigas) Shells to the Substratum.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4): 291-297. 

  30. Park, K.J., Song, J.H., Choi, Y.S and An, K.H. (2013b) Change in density and culture condition of r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3): 207-216. 

  31. Park, K.J., Yang, H.S., Jeung, H.D. and Choi, K.S. (2013c) Pathologic condition of the strand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storm-originated sediment erosion in spring 2007 in Incheon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2): 147-154. 

  32. Park, K.J., Kim, S.K., Kang, D.Y. and Song, J.H. (2015a) Oil spill of Herbei spirit and Chang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eds i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31(3): 213-220. 

  33. Park, S.K., Kim, B.Y., Oh, J.S., Park, K.J. and Choi, H.K. (2015b) Seasonal Variations of Microphytobenthos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at Jeongsanpo and Hwangdo Tidal flat, Taean, Korea. Kor. J. Env. Ecol., 29(6): 884-894. 

  34. Park, S.W., Kim, Y., Kim, J.H., Chung, S.H. and Han, K.N. (2013d) Effect of Environment Factors on Growth and Mortality of Cupped Oyster, Crassostrea giga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4): 273-281. 

  35. Ponurovsky, S.K. and Yakovlev, Y.M. (1992)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e Japanese littleneck, Tapes philippinarum (A. Adams and Reeve, 1850) (Bivalvia: Veneridae).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11: 265-277. 

  36. Ren, Y.P., Xu,B.D., Gou, Y.L, Yang, M. and Yang, J.W. (2008) Growth, mortality and reproduction of the transplant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 Reeve 1850) in Jiaozhou Bay. Aquaculture Research, 39: 1759-1768. 

  37. Shin, H.C. and Shin, S.H. (1999) Population Biology of Short-na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in Kwangyang Bay,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Population Dynamics and Secondary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5(1): 31-39. 

  38. Shin, Y.K., Kim, Y., Chung, E.Y. and Hur. S.B. (2000)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3(3): 213-218. 

  39. Unddin, M.J., Yang, H.S., Park, K.J., Kang, C.K., Kang, H.S. and Choi, K.S. (2012) Annual reproductive cycle and reproductive effort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Incheon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using a histology-ELISA combined assay. Aquaculture, 364-365: 25-32. 

  40. Won, M.S. and Hur, S.B. (1993) Fatness Index and Spat Occurrence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Journal of Aquaculture, 6(3): 133-146. 

  41. Yang, H.S., Park, K.I., Donaghy, L., Adhya, M. and Choi, K.S. (2012) Temporal variation of Perkinsus olseni infection intensity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31: 685-690. 

  42. Yoo, S.G. (2000) Marinculture. Gooduk edition, Busan, P262. 

  43. Zhang. Z.M., Wang, S.W., Huang, H.W., Gong, Z.F., Wang, X.Y., Cai, T., Jia, W.G. and Ping, X. (2013) Effects of decaboromodiphenyl ether (BDE-209) on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Ruditapes philippinarum mantle membrane. Chinese Journal of Ecology, 32(1) : 128-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