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스트레스가 월경 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1, 2016년, pp.61 - 70  

이선희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송지아 (우송정보대학 간호과) ,  허명행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urvey to examine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among hospital nurse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8 nurses working at hospital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인 감정노동과 스트레스가 월경 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감정노동과 스트레스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고, 특히 이것이 월경전 증후군을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기여하게 되어, 간호사의 삶의 질의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월경 전 증후군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의료전문직이며 많은 여성들이 종사하는 직업군인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스트레스를 재조명하고, 월경 전 증후군을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게 하기 위해 시도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월경전증후군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월경전증후군의 수준은 평균이며, 이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주요한 상관관계가 있는 개념이었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감정노동과 스트레스가 월경 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스트레스, 월경 전 증후군 정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스트레스, 월경 전 증후군의 정도를 파악하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감정노동, 스트레스, 월경 전 증후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 높아질 경우 신체에 어떤 이상이 생기는가?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이 감정노동으로, 이는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거나 대상자들에게 긍정적 표현을 해야 하는 의무 등을 말한다[1]. 감정노동이 높아지면 순환기, 소화기, 호흡기 및 기타 기관의 장애와 근 골격계 증상, 두통, 동통 등 여러 신체적 기능 이상을 호소하거나 우울, 스트레스, 피로 등 심리적 증상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신체적 ·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2,3]. 특히 간호사들은 고객만족을 지향하는 병원조직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지향하는 환자들을 직접 대하고 간호 행위를 하며 의사, 동료 간호사 및 타 부서 직원들 간의 조정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감정관리 노력을 해야 한다.
간호사들이 감정관리 노력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감정노동이 높아지면 순환기, 소화기, 호흡기 및 기타 기관의 장애와 근 골격계 증상, 두통, 동통 등 여러 신체적 기능 이상을 호소하거나 우울, 스트레스, 피로 등 심리적 증상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신체적 ·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2,3]. 특히 간호사들은 고객만족을 지향하는 병원조직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지향하는 환자들을 직접 대하고 간호 행위를 하며 의사, 동료 간호사 및 타 부서 직원들 간의 조정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감정관리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은 간호 업무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직업군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련 요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4,5].
현대사회에 근무하는 전문인들이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트레스는 생활 속에서도 개인에게 가해지는 여러 가지 요구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긴장이나 압박감으로 개인의 심리 및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질병 발생뿐 아니라 인간관계 문제나 업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6,7]. 특히, 새로운 정보와 기술들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과중한 업무량, 환경적 공해, 부적절한 인간관계 등으로 인하여 현대사회에서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나 직업환경에서까지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2.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3. Yoo SK, Choi CK, Song HS, Lee CG.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emotional labor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experience of absence or early leave in some civil affairs offici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1;23(2):192-202. 

  4. Bolton S. Changing faces: Nurses as emotional jugglers.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2001;23(1):85-100. 

  5. Brotheridge CM, Grandey A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2;60(1):17-39. 

  6. Park M, Choi J, Lee EY, Park M. Effects of college life characteristics on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among freshme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 (1):346-355. 

  7. Schneiderman N, Ironson G, Siegel SD. Stress and health: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005;1:607-628. 

  8. Indusekhar R, Usman SB, O'Brien S. Psychological asp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 2007;21(2):207-220. 

  9. Kim J, Ryu SY.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6;10(1):11-20. 

  10. Park HE, Jee BC, Ku SY, Suh CS, Kim SH, Choi YM, et al. A survey on premenstrual syndrom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05;48(2):401-410. 

  11. Schmidt PJ, Nieman LK, Danaceau MA, Adams LF, Rubinow DR. Differential behavioral effects of gonadal steroids in women with and in those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8;338:209-216. 

  12. Brown MA, Lewis LL. Cycle-phase changes in perceived stress in women with varying levels of premenstrual symptomatolog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3;16(6):423-429. 

  13. Wyatt KM, Dimmock PW, Jones PW, O'Brien PMS. Efficacy of vitamin B-6 in the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Systematic review. British Medical Journal. 1999;318(7195):1375-1381. 

  14. Cho JH, Kim DI, Park KB, Kang HC. The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PMS through survey.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6;19(4):174-204. 

  15. Kim JS. Factors affecting dysmenorrhea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350-357. 

  16. Golding JM, Taylor DL, Menard L, King MJ. Prevalence of sexual abuse history in a sample of women seeking treatment for premenstrual syndrome.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0;21(2):69-80. 

  17. Kim MJ. Effects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1998;21(2): 129-141. 

  18. Chang SJ, Cha BS, Park JK, Lee EK. Standardization of stress measurement scale. The Journal of Wonju College of Medicine. 1994;7(1):21-38. 

  19. Lee MH, Kim JW, Lee JH, Kim DM. The standardization of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applicability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2;41(1):159-167. 

  20. Yang YK.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23-431. 

  21. Kim Y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8(6):57-76. 

  22. Lee W, Kim DK. A study on emotional labor affecting a burnout level of personal assista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1;27(2):115-140. 

  23. Weigl M, Stab N, Herms I, Angerer P, Hacker W, Glaser J. The Association of supervisor support and work overload with burnout and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tudy in two nursing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Forthcoming 2016 March 4 [Epub ahead of print]. 

  24. Yoon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7;40(5):351-362. 

  25. Chang SJ, Koh SB, Kang MG, Cha BS, Park JK, Hyun SJ, et al.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5;38(1): 25-37. 

  26. Ahn AK. Job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of staff nurse in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Wonju: Yonsei University; 2011. 

  27. Kim MJ, Kim SM, Kim JM, Park JL, Park HR, Yoon JH, et al. Study on severity and types of premenstrual syndrome according to age groups of fertile woman. Journal of Ewha Nursing. 2010;44:59-71. 

  28. Kim YR, Nam M, Meng KH. A comparative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e between women workers and housewiv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97;9(3):487-495. 

  29. Jeon JH.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2010. 

  30. Lim NG. Th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workers' psychosocial wellbeing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