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분리된 황국균을 활용한 된장 제조 및 특성 분석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oenjang made with Aspergillus oryzae Strains Isolated in Korea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4 no.1, 2016년, pp.40 - 47  

이록경 (순창군 장류사업소) ,  조한나 (순창군 장류사업소) ,  신미진 (순창군 장류사업소) ,  양진화 (순창군 장류사업소) ,  김은성 (순창군 장류사업소) ,  김형회 (농업회사법인 순창장류(주)) ,  조성호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이지영 (순창군 장류사업소) ,  박영수 (순창군 장류사업소) ,  조용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이정미 (농업회사법인 순창장류(주)) ,  김현영 (순창군 장류사업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protease 활성이 높은 Aspergillus oryzae SCF-6, SCF-37, 그리고 JJSF-1 균주를 선발하여 된장을 각각 제조하고 60일간 숙성하면서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60일 숙성 동안 수분 염도 및 pH는 시료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된장의 숙성지표가 되는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숙성 경과에 따라 증가하여 60일 숙성 후 SCF-6을 활용하여 제조한 된장이 971.6 mg%로 다른 시료보다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은 8,064.9 mg%이었다. SCF-6과 37로 제조한 된장은 60일 숙성 후 GABA 함량이 각각 61.3과 53.7 mg%로 측정되었다. 색도는 숙성 경과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점차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점차 증가하였다. 아플라톡신은 모든 된장에서 불검출 되었고, 바이오제닉 아민histamine 함량은 2.55-5.60 mg/kg 그리고 tyramine은 3.70-5.87 mg/kg으로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본 결과로 A. oryzae SCF-6은 장류 제조의 종균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le utility of 3 Aspergillus oryzae strains (designated as SCF-6, SCF-37, and JJSH-1),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materials, as starter cultures in the soybean paste industry.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was made with the A. oryza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곰팡이 중 단백질 분해 역가가 높은 황국곰팡이의 장류 산업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Aspergillus oryzae SCF-6, 37 그리고 JJSH-1을 메주 접종균으로 활용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그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A.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서 시판되고 있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된 메주 및 누룩을 구입하여 분리된 곰팡이 중 단백질 분해 역가가 높은 황국곰팡이를 확보하였다. 이를 메주 접종균으로 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그 품질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국내에서 분리한 황국균의 장류 산업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래식 된장의 생리활성 효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이 있는가? 청국장, 간장 등과 함께 재래식 된장은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저장성이 뛰어나며,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우리 조상들의 식생활에 널리 애용되어 왔다[8, 12, 16, 20, 33]. 재래식 된장은 필수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미네랄, 비타민 등을 보충해 줄 수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5], 항산화 효과[10], 혈전용해 효과[15], 항암효과[23], 고혈압 방지효과[31], 항돌연변이성[27] 등 각종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품질의 균일화가 어려워 제조업체에 따라 관능품질의 차이가 많으며 소비자의 연령층이나 취향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가 크다[21].
재래식 된장에 함유된 영양요소는? 청국장, 간장 등과 함께 재래식 된장은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저장성이 뛰어나며,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우리 조상들의 식생활에 널리 애용되어 왔다[8, 12, 16, 20, 33]. 재래식 된장은 필수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미네랄, 비타민 등을 보충해 줄 수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5], 항산화 효과[10], 혈전용해 효과[15], 항암효과[23], 고혈압 방지효과[31], 항돌연변이성[27] 등 각종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품질의 균일화가 어려워 제조업체에 따라 관능품질의 차이가 많으며 소비자의 연령층이나 취향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가 크다[21].
메주를 이용한 전통된장 제조 방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개량식 된장의 맛과 풍미를 개선하고자 코지와 메주를 혼합 이용하여 전통 풍미를 지닌 개량된장을 제조하고 있으나, 업체별, 제품 종류별 품질차이가 있으며 품질 특성으로는 전통된장과 일본식 된장의 중간 형태를 띄고 있다[28]. 전통적인 방식으로 메주를 띄우는 동안 수 많은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류가 자연적으로 착생하고 이러한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할 경우, 숙성과정에서 다양한 미생물들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그 된장 특유의 품질 특성이 나타나게 되는데, 제조 장소 및 시기에 따라 전통메주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잡균의 오염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2,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35. 

  2. Chang M, Chang HC. 2007. Characteristics of bacterial-koji and doenjang (soybean paste) made by using Bacillus subtilis DJ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 325?333. 

  3. García-García P, Brenes-Balbuena M, Hornero-Méndez D, García-Borrego A, Garrido-Fernández A. 2000. Content of biogenic amines in table olives. J. Food Prot. 63: 111?116. 

  4. Hakihara, B. 1956. Method of enzyme vol. II, Asahousyoten, Tokyo. 

  5. Jang KI, Ahn JB, Park JA, Jo H, Woo I, Lee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Korean J. Food Nutr. 25: 142?148. 

  6. Jo SJ, Hong CO, Yang SY, Choi KK, Kim HK, Yang H, et al. 2011. Changes in content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s in traditional korean doenjang by ripening periods. J. Korean Food Sci. Nutr. 40: 557?564. 

  7. Jung SW, Kwon DJ, Koo MS, Kim YS. 199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for doenjang prepared with rice. Agric. Chem. Biotech. 37: 266?271. 

  8. Jung YJ, Chung SH, Lee HK, Chun HS, Hong SB.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from a meju contaminated with aflatoxins. J. Microbiol. Biotechnol. 22: 1740?1748. 

  9. KFDA. 2015. Food code. 

  10. Kim DH, Song HP, Kim KY, Kim JO, Byun MW. 2004. A correlation between fibrinolytic activity and microflora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1?46. 

  11.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ood Hyg. Safety 19: 31?37. 

  12. Kim JH, Yoo JS, Lee CH, Kim SY, Lee SK. 2006. Quality properties of soybean pastes made meju with mold producing protease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7?14. 

  13. Kim MJ, L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14. Kwak EJ, Park WS, Lim SI. 2003.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55?460. 

  15. Kwon SH, Shon MY. 2004.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traditional deonjang during maturation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4: 461?467. 

  16. Lee CH, Lee SS. 2002. Cereal fermentation by fungi. Appl. Mycol. Biotechnol. 2: 151?170. 

  17. Lee, GG. 2004. Soybean paste with good storage stability and flavor,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Korea Patent 10-0457354. 

  18. Lee HT, Kim JH, Lee SS. 2009.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biogenic amines content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doenjang. J. Food Hyg. Safety 24: 102?109. 

  19. Lee SE, Suh HJ, Hwang JH. 2011. Characteristics of rice doenjang prepared with brown rice koji. Korean J. Food Preserv. 18: 859?868. 

  20. Lee SS, Park KH, Choi KJ, Won SA. 1993.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zygomycetous fungi found on meju,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Korean J. Mycol. 21: 172?187. 

  21. Lim E, Lee JY, Abdo Elgabba MA, Han KH, Lee BS, Cho YS, et al. 2014.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spergillus oryzae isolated from soybean products in Sunchang county. Korean J. Mycol. 42: 282?288. 

  22. Lim SD, Kim KS. 2009.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Nutr. 40: 557?564. 

  23. Lim SY, Park KY, Bae MS, Kim KH. 2009. Effect of doenjang with black soybean on cytokine production and inhibition of tumer metastasis. J. Life Sci. 19: 264?270. 

  24. No JD, Choi SY, Lee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s (doenjang) prepared using different types of microorganisms and mixing ratio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43?250. 

  25. Oh SH. 2007. Effects and applica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Food Sci. Ind. 40: 41?46. 

  26. Park KY, Hwang KM, Jung KO, Lee KB. 2002.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43?350. 

  27. Park KY, Moon SH, Cheigh HS, Baik HS. 1996. Antimutagenic effects of doenjang. J. Food Sci. Nutr. 1: 151?158. 

  28.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29.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30. Sasagawa A, Gomi M, Ohura K, Yamazaki A, Yamada A. 2005. Production of miso based on koji prepared from mixed different grains using high-pressure treatment. Nippon Shkuhin. Kagaku Kaishi. 52: 485?490. 

  31. Shin ZI, Ahn CW, Nam HS, Lee HJ, Lee HJ, Moon TH. 1995.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32. Song JY, Ahn CW, Kim JK. 1984. Flavor components produced by microorganism during fermentation of korean ordinary soybean past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 147?152. 

  33. Yoo SK, Kang SM, Noh YS. 2000. Quality properties on soy bean pastes made with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 bean p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66?1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