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속 스트레스 및 수면장애를 유도한 흰쥐에서 허브 복합추출물에 의한 개선 효과
Attenuation Effects of Herbal Mixture Extract on Stress and Sleep Disturbance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3, 2016년, pp.313 - 320  

정안나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병태생리학교실) ,  이보경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병태생리학교실) ,  이두이 (평창 허브나라 농원) ,  이지인 (평창 허브나라 농원) ,  정이숙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병태생리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 캐모마일, 레몬버베나, 타임, 바질의 복합 열수 추출물이 수면을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농도에 따라 동물모델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허브 복합추출물(HME)을 10, 30, 100 mg/kg의 농도로 3주간 구속 스트레스 모델과 수면장애 모델에 각각 경구투여 하였고, 실험 결과 구속 스트레스를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HMEII군(30 mg/kg)과 HMEIII군(100 mg/kg)은 혈장 내 코티졸IL-6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HMEIII군은 체중 대비 부신 무게도 유의적으로 회복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수면장애 모델에서는 HMEIII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증가하였고, HME II, III군은 혈장 내 멜라토닌 수치를 높였으며 코티졸 수치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서 사용한 허브 복합추출물이 농도에 따라 스트레스 완화와 수면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whether or not an herbal mixture extract (HME) has attenuation effects on immobilization stress and sleep disturbance in rats. Immobilization stress was induced by restricting movement using a constraint box for 2 h, and sleep disturbance was induced by exposure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 vivo에서 구속 스트레스는 다른 스트레스 유발 방법보다 직접적인 통증을 유발하지 않아 인간에서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유사하여 흔하게 사용되는 정서적 스트레스 모델이 다(35-3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랫트에게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였고 이에 따른 생체 내 반응과 HME의 효과를 관찰 하였다.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신체 내에서는 시상하부-뇌 하수체-부신 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 axis)을 통하여 여러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2), 중추 신경계가 외부자극을 감지하여 시상하부의 코르티코트로픽 방출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CRF)의 분비를 자극한다.
  • 그리고 이 혼합물 추출물을 차(tea)로 마셨을 때 풍미를 더하고 조화로운 맛을 위해서 바질을 추가하였고 결과적으로 라벤더, 캐모마일, 레몬버베나, 타임, 바질을 3:3:1:1:2(w/w)의 비율로 제조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5가지 허브 혼합물 추출물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용량-효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작용기능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이 in vitro 실험을 통해 밝혀졌더라도 in vivo에서는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하지 못하여 실제 수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46) 수면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 연구에서 동물실험은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ME가 수면장애를 유발한 랫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수면장애를 유도하지 않은 정상군의 3주 후 증체량과 실험기간 동안 끊임없이 빛을 가하면서 1 mg/kg의 농도로 카페인을 투여하여 수면장애를 유도했던 대조군의 증체량을 비교했을 때 실험 마지막 날의 평균적인 체중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 4). 수면 유도에 관련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혈장 내 수치를 비교 하여 수면장애 완화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멜라토닌은 송과선(pineal gland)에서 분비되며 멜라토닌합성효소(NAT)의 활성이 광(light) 정보에 의해 저해되므로 어두울 때 합성이 촉진되고 밝은 상태에서는 억제되며(47), 또한 멜라토닌이 수면을 안정화하는 데에 이바지한다고 밝혀졌다(4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장애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수면은 인체 내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과정이며,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위장관계 질환, 근육통, 피로 등의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불안 및 우울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수면장애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긴장, 불안 등 다양하고 이 중에서도 현대인들은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를 겪는 빈도가 높은 편이다(4-6). 이처럼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 및 수면장애는 아주 흔히 발생하는 질환인데 반해 대부분의 환자는 처방을 통해 전문 의약품 치료를 받는 대신 음주 또는 비처방 일반의약품으로 극복하려는 경향이 있다(7).
현대사회에서 유발되는 과중한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현대사회는 도시화와 정보화로 인해 다양하고 긴장된 생활의 연속이며, 복잡한 대인관계, 과중한 업무 부담, 조직사회에 대한 피로 등으로 인해 과중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다. 과중한 스트레스는 심리적으로 불안정을 초래하고 신체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깨뜨려 심・ 뇌혈관 질환과 함께 호르몬의 불균형 및 수면장애 등을 초래하게 된다(1-3).
흔히 사용하는 수면장애를 치료하는 처방약은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 및 수면장애는 아주 흔히 발생하는 질환인데 반해 대부분의 환자는 처방을 통해 전문 의약품 치료를 받는 대신 음주 또는 비처방 일반의약품으로 극복하려는 경향이 있다(7). 물론 처방약에 의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흔히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 계열의 약물과 졸피뎀(zolpidem)이나 조피클론(zopiclone)과 같은 약물을 사용한다(8). 그러나 이러한 처방약은 약물 의존성을 유발하기도 하며 장기복용 시 두통, 악몽, 낮 시간의 피로, 메스꺼움, 어지러움, 넘어짐 등의 부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Kim SH. 2000.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in modern society. Korea J Sports Science 9: 223-232. 

  2. Seyle H. 1982.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the stress concept. In Handbook of Stress. Goldborger L, Breznitz S, eds. The Free Press, New York, NY, USA. p 7-17. 

  3. Park SO, Kim SB, Lee KS, Kang PS. 2002. Reduction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and insomnia. Korean J Rural Med 27: 17-26. 

  4. McKee MG. 1993. Stress of living. In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Mosby Publishing Inc., St. Louis, MO, USA. p 191-216. 

  5. Levi L. 1996. Spice of life or kiss of death?. In Handbook of Stress, Medicine, and Health. CRC Press, New York, NY, USA. p 1-10. 

  6. Baek Y, Yoo J, Lee SW, Jin HJ. 2013. Domestic trends of research and patent for sleep disorder. J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 309-317. 

  7. Ohayon MM. 2002.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Sleep Med Rev 6: 97-111. 

  8. Woo NS, Seo YB. 2013. Stress relaxation and sleep induction effect of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powder. Kor J Fish Aquat Sci 46: 702-707. 

  9. Glass J, Lanctot KL, Herrmann N, Sproule BA, Busto UE. 2005. Sedative hypnotics in older people with insomnia: meta-analysis of risks and benefits. BMJ 331: 1169-1173. 

  10. Gunja N. 2013. The clinical and forensic toxicology of Zdrugs. J Med Toxicol 9: 155-162. 

  11. Leach MJ, Page AT. 2015. Herbal medicine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Med Rev 24: 1-12. 

  12. Lue KH, Lee SS. 1998. The illustrated book of new vegetable. 1st ed. Herbworld Press, Seoul, Korea. p 239-258. 

  13. Bunney S. 199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erbs. Chancellor Press, New York, NY, USA. p 155. 

  14. Choi IY, Song YJ, Lee W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28: 871-876. 

  15. Chae IG, Kim HJ, Yu MH, Kim HI, Lee IS. 2010.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s in Korean mark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11-1417. 

  16. Choi SW, Lee MY, Hong I, Choi YS, Kim HK, Kim NS, Lee KG, Kim JM, Hwang CY. 2013.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plants extracts on Ascosphaera apis. Korean J Apic 28: 211-216. 

  17. Choi JH, Kim HI, Lee IS. 2009.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on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i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08-1015. 

  18. Lee JI, Lee HS, Jun WJ, Yu KW, Shin DH, Hong BS, Cho HY, Yang HC. 2000. Screening of anticoagulant activities in extracts from edible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35-341. 

  19. Chin HS, Pack KJ, Pack SH, Kim JK. 2009. The effects of herbal extract mixture on anti-obe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2-38. 

  20. Tyler VE. 1994. Herbs of choice: The therapeutic use of phytomedicines. Haworth Press, New York, NY, USA. p 126-145. 

  21. Lis-Balchin M. 1997.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their modern role in healing. J R Soc Health 117: 324-329. 

  22. Jung HN, Choi HJ. 2012. Effects of Lavandula angustifolia aroma on electroencephalogram in male adults with good sleep quality and poor sleep qual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5: 453-468. 

  23. Jung H, Choi H. 2012. Effects of Lavandula angustifolia aroma on electroencephalograms in female adults with sleep disorders. J Life Sci 22: 192-199. 

  24. Han SH. 2008. Effects of aromatherapy on headache, stress and immune response of stud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J Korean Acad Soc Nurs Edu 14: 273-281. 

  25. Park SY, Walker JJ, Johnson NW, Zhao Z, Lightman SL, Spiga F. 2013. Constant light disrupts the circadian rhythm of steroidogenic proteins in the rat adrenal gland. Mol Cell Endocrinol 371: 114-123. 

  26. Koh KB. 2008. Stress and immunity. Korean J Str Res 16: 151-159. 

  27. Woo JM, Kim GM, Kim SA. 2003. A case of mental ill health caused by job stress after job reallocation. Korean J Occup Environ Med 15: 205-212. 

  28. Aldwin CM, Jeong YJ, Igarashi H, Choun S, Spiro A 3rd. 2014. Do hassles mediate between life events and mortality in older men? Longitudinal findings from the VA Normative Aging Study. Exp Gerontol 59: 74-80. 

  29. Choi MJ, Cho KH, Lee S, Bae YJ, Jeong KJ, Rha SY, Choi EJ, Park JH, Kim JM, Lee JS, Mills GB, Lee HY. 2014. hTERT mediates norepinephrine-induced Slug expression and ovarian cancer aggressiveness. Oncogene 34: 3402-3412. 

  30. Cha JH, Kim MJ, Kim HS, Kim YI. 2010. Effects of aromatherapy in blending oil of basil, lavender, rosemary, and rose on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in the middle-aged women. J Korean Biol Nurs Sci 12: 133-139. 

  31. Cho YJ, Yoon SJ, Kim JH, Chun SS. 2005. Biological activity of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la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46-450. 

  32. Lawrence BM. 1996. Progress in essential oils. Perfum Flavor 21: 55-68. 

  33. Clevely A, Richmond K. 1998. The complete book of herb. 1st ed. Smithmark Publishing Inc., New York, NY, USA. p 51-52. 

  34. Kang PR, Jung KM, Min SS. Seol GH. 2012. Effect of basil essential oil-inhalation on pain, anxiety and vital sig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efore spine surgery: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orean J Str Res 20: 169-178. 

  35. Glavin GB, Pare WP, Sandbak T, Bakke HK, Murison R. 1994. Restraint stress in biomedical research: an update. Neurosci Biobehav Rev 18: 223-249. 

  36. Reyes TM, Walker JR, DeCino C, Hogenesch JB, Sawchenko PE. 2003. Categorically distinct acute stressors elicit dissimilar transcriptional profiles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of the hypothalamus. J Neurosci 23: 5607-5616. 

  37. Sawchenko PE, Li HY, Ericsson A. 2000. Circuits and mechanisms governing hypothalamic responses to stress: a tale of two paradigms. Prog Brain Res 122: 61-78. 

  38. Lee HC, Yeom MJ, Kim GH, Choi KD, Lee SH, Shim IS, Lee HJ, Hahm DH. 2003. Gene expression analyses in hypothalami of immobilization-stressed and Boshimgeonbi Tangtreated mice using cDNA microarray.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17: 1393-1403. 

  39. Ulrich-Lai YM, Figueiredo HF, Ostrander MM, Choi DC, Engeland WC, Herman JP. 2006. Chronic stress induces adrenal hyperplasia and hypertrophy in a subregion-specific manner.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91: E965-E973. 

  40. Park I, Kim YI, Lee SM, Cho TS. 1996. Anti-stress effect of cholic acid derivatives in restraint stress induced rats. J Appl Pharmacol 4: 162-166. 

  41. Yun SJ, Pack SH, Shin MH. 2013. The effect of the meridian massage on the change of the low back pain RP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and the changes of serum cortisol as well as stress index of middle aged women. J Kor Soc Cosm 19: 751-756. 

  42. Porterfield VM, Zimomra ZR, Caldwell EA, Camp RM, Gabella KM, Johnson JD. 2011. Rat strain differences in restraint stress-induced brain cytokines. Neuroscience 188: 48-54. 

  43. Manikowska K, Mikolajczyk M, Mikolajczak PL, Bobkiewicz- Kozlowska T. 2014. The influence of mianserin on TNF- $\alpha$ , IL-6 and IL-10 serum levels in rats under chronic mild stress. Pharmacol Rep 66: 22-27. 

  44. Kim YG. 2000. The role of cytokines in depression and their therapeutic implication. Korean J Psychopharmacol 11: 304-312. 

  45. McInnis CM, Thoma MV, Gianferante D, Hanlin L, Chen X, Breines JG, Hong S, Rohleder N. 2014. Measures of adiposity predict interleukin-6 responses to repeated psychosocial stress. Brain Behav Immun 42: 33-40. 

  46. Cho S, Han D, Kim J, Yoon M, Yang H, Kim J. 2013. Potential claims and evaluation methods for sleep-promoting effects of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46(2): 8-22. 

  47. Lee JY, Moon JS, Han BG, Yang HD, Kwon JB, Lee SI, Lee SS. 2001. The influence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on the circadian rhythm of melatonin secretion. J Korean Neurol Assoc 19: 359-363. 

  48. Klein DC. 2004. The 2004 Aschoff/Pittendrigh lecture: Theory of the origin of the pineal gland-A tale of conflict and resolution. J Biol Rhythms 19: 264-279. 

  49. Kim SS, Oh SH, Jeong MH, Cho SC, Kook MC, Lee SH, Pyun YR, Lee HY. 2010. Sleep-inductive effect of GABA on the fermentation of mono sodium glutamate (MSG).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42-146. 

  50. Oh JK, Shim I. 2009. Stress and sleep. Korean J Str Res 17: 209-217. 

  51. Setzer WN. 2009. Essential oils and anxiolytic aromatherapy. Nat Prod Commun 4: 1305-1316. 

  52. Wheatley D. 2005. Medicinal plants for insomnia: a review of their pharmacology, efficacy and tolerability. J Psychopharmacol 19: 414-421. 

  53. Shaw D, Annett JM, Doherty B, Leslie JC. 2007. Anxiolytic effects of lavender oil inhalation on open-field behaviour in rats. Phytomedicine 14: 613-620. 

  54. Avallone R, Zaonli P, Corsi L, Cannazza G, Baraldi M. 1996. Benzodiazepine-like compounds and GABA in flower heads of Matricaria chamomilla. Phytother Res 10: S177- S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