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칠 발효액을 첨가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Fermented Hwangchil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3, 2016년, pp.372 - 379  

박성은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서승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유선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나창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손홍석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칠 추출물에 미생물 균주를 달리 접종하여 제조한 황칠 발효액을 스타터로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황칠 발효액 접종 시 총균수가 log 8 CFU/mL 이상으로 스타터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발효 후에는 염도 8%, 10%의 경우 황칠 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의 총균수가 황칠 발효액을 첨가하지 않은 된장보다 낮았다. pH의 경우 염도 8%, 10% 된장이 12% 된장에 비하여 낮은 pH 값을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산도는 12% 된장이 낮았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후 2,162.5~2,872.2 mg/L로 발효 전보다 함량이 증가하였고 염도가 낮아질수록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높았으며, Bacillus methylotrophicus S8을 이용하여 제조한 저염 된장(염도 8%, 10%)의 경우 같은 염도에서 다른 균주를 이용한 된장보다 glutam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황칠 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20일 숙성한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는 413.4~700.7 mg%로 염도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특히 B. methylotrophicus S8을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B. methylotrophicus S8과 Saccharomyces bayanus를 접종하여 제조한 된장에서 좋은 평가를 보였으며 8% 염도의 된장에서 B. methylotrophicus S8의 전체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salted (8, 10, and 12%) Doenjang prepared with fermented Hwangchil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s well as the effect of Bacillus methylotrophicus S8 strain, isolated from soy sauce, as a starter culture. After fer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황칠 추출액이 아닌 미생물이 활성화된 황칠 발효액을 된장 제조의 스타터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방법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된장을 제조하여 새로운 스타터 첨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황칠발효된장 제조에 적합한 스타터를 알아보고자 자체적으로 선발한 균주를 비롯한 여러 비교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염 농도보다 낮은 저염 된장을 제조하여 황칠발효 스타터를 첨가한 저염 된장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특히, 인간면역체계에서 항체 생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B세포와 T세포의 생육과 cytokines의 양이 증가하는 결과가 보고되어 대사기능과 면역기능을 증진하는 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2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진 황칠을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황칠 추출액이 아닌 미생물이 활성화된 황칠 발효액을 된장 제조의 스타터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방법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된장을 제조하여 새로운 스타터 첨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된장이란? 된장은 대두를 이용한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으로 소금에 의한 짠맛, 아미노산의 구수한 맛, 유리당의 단맛 이외에 유기산, 알코올 등이 가지는 맛과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천연 조미료이다(1,2). 된장은 발효 중 생성되는 펩타이드 성분이 감칠맛을 더해줄 뿐 아니라, 기본 재료인 대두의 isoflavone으로 인한 항암(3,4), 항산화(5), 면역증진(6) 및 콜레스테롤 저하(7)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의 대사기능 및 면역기능과 관련된 황칠나무의 효능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 활엽수로 해남, 완도, 보길도 등 서남해안 지역 및 제주도 일대에 자생하며(18), 항염증, 항균(19), 항암 및 항산화(20)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인간면역체계에서 항체 생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B세포와 T세포의 생육과 cytokines의 양이 증가하는 결과가 보고되어 대사기능과 면역기능을 증진하는 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2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진 황칠을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황칠나무의 국내 서식지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 활엽수로 해남, 완도, 보길도 등 서남해안 지역 및 제주도 일대에 자생하며(18), 항염증, 항균(19), 항암 및 항산화(20)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인간면역체계에서 항체 생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B세포와 T세포의 생육과 cytokines의 양이 증가하는 결과가 보고되어 대사기능과 면역기능을 증진하는 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hin AG, Lee YK, Jung YK, Kim SD. 2008.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onion and five cerealsdoenjang. Korean J Food Preserv 15: 174-184. 

  2.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Optimization of the taste components composition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21: 449-453. 

  3. Lim SY, Rhee SH, Park KY. 2004.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36-940. 

  4. Choi SY, Cheigh MJ, Lee JJ, Kim HJ, Hong SS, Chung KS, Lee BK. 1999.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on the various tumo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458-463. 

  5. Lee JH, Kim MH, Im SS, Kim SH, Kim GE.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3. Separation of hydrophilic brown pigment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604-613. 

  6. Lee BK, Jang YS, Yi SY, Chung KS, Choi SY. 1997. Immunomodulators extracted from Korean-style fermented soybean paste and their function: 1. Isolation of B cell mitogen from Korean-style fermented soybean paste. Korean J Immunol 19: 559-569. 

  7. Lee IK, Kim JG. 2002.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Korean soybean paste (Doen-jang)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and/or a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8: 282-305. 

  8. Kim JH, Yoo JS, Lee CH, Kim SY, Lee SK. 2006. Quality properties of soybean pastes made from Meju with mold producing protease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7-14. 

  9. Kim JR, Kim YK, Kim DH. 2013. Effects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s of low salted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64-1871. 

  10.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11. Son DY. 2008. Characterization of soybean paste Doenjang with added Ulmi cortex. Korean J Food Preserv 15: 518-523. 

  12. Min S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Cook Sci 22: 514-520. 

  13. Kwon OJ, Kim M, Kim TW, Kim DG, Son DH, Lee SH. 2011. Effect of rice fermented using Poria cocos (a wooddecay fungus) mycelium on fermentation of doenjang (soybean paste). Korean J Food Preserv 18: 18-25. 

  14. Yoo SM.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using selective starters.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Korea. 

  15. Yoo SK, Kang SM, Noh YS. 2000. Quality properties on soy bean pastes made with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 bean p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66-1270. 

  16. Hong JS, Park JR, Jeon JR, Cha MH, Kim J, Kim J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Doen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SS103.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363-369. 

  17. Jeong JK. 2012. Improvement of quality and probiotic effect of meju and doenjang prepared with mixed starter cultures.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8. Kim HR, Chung HJ. 2000.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and the seeds of Korea Dendropanax (Dendropanax morbifera Lev.).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63-66. 

  19. Kim HR. 1997.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 Hyun TK, Kim M, Lee H, Kim Y, Kim E, Kim JS. 2013.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Food Chem 141: 1947-1955. 

  21. Lee SH, Lee HS, Park YS, Hwang B, Kim JH, Lee HY. 2002.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vifera Lev. Korean J Med Crop Sci 10: 109-115. 

  22. AOAC. 1990.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3. Mok C, Song K, Lee JY, Park YS, Lim S.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9: 112-117. 

  24. Lim SI, Kwak EJ, Choi C. 2004. Isolation of the white pellicle- forming strain from gochujang, growth inhibition and its effect on quality of gochujang. Food Sci Biotechnol 13: 75-79. 

  25. Jeon SB, Ryu MS, Kim YS, Jo SW, Jeong DY, Uhm TB. 201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strains with antagonistic properties against film-forming yeasts overgrown in low salted soybean pastes. Kor J Microbiol 49: 286-291. 

  26. Lee JY, Mok C. 201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4: 153-158. 

  27. Park BJ, Jang KS, Kim DH, Yook HS, Byun MW. 2002.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low salt content and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9-84. 

  28. Kim BM, Kim YS. 201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Doenjang (soybean paste) added with Dioscorea opposita Thunb. powder. J Agric Life Sci 45: 1-7. 

  29. An HS, Bae JS, Lee TS. 1987.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sugars, and organic acids in soy bean paste prepared with various organisms. J Korean Agric Chem Soc 30: 345-350. 

  30. Jung SW, Kwon DJ, Koo MS, Kim YS. 199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for Doenjang prepared with ric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7: 266-271. 

  31. Oh GS, Kang KJ, Hong YP, An YS, Lee HM. 2003. Distribution of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and modified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77-1185. 

  32. Lee ES, Jo SW, Yim EJ, Kim YS, Park HS, Kim MK, Cho SH. 201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produced using microbe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development of fermented soybean food. Korean J Food Preserv 21: 866-877. 

  33. Jeong JH, Kim JS, Lee SD, Choi SH, Oh MJ. 1998. Studies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15. 

  34. Cho KM, Kang JR, Kim GM, Kang MJ, Hwang CE, Jeong YS, Kim JH, Shin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garlic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1: 627-635. 

  35. Lee S, Kim DH.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salt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92-599. 

  36. Lim SI, Song SM. 2010. Fermentation properties of lowsalted doenjang supplemented with licorice, mustard, and chitos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23-328. 

  37.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38.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d Hyg Safety 19: 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