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학적 가뭄빈도분석 기법을 통한 2015년 가뭄사상에 대한 분석
Analyzing the drought event in 2015 through statistic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3, 2016년, pp.177 - 186  

이태삼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손찬영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시공간적으로 점차적인 수분부족이 나타나는 자연재해로 비교적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가뭄이 가지는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또한 가뭄에 대한 대비 및 정부의 대응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재해의 대응책 마련 및 수공구조물 설계 운영기준에 활용하고자 이론적인 가뭄 재현기간 산정기법과 더불어 3가지 시계열 모델(autoregressive (AR), Gamma AR, Copula AR)을 통해 장기간의 자료를 모의하여 가뭄사상에 대한 빈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시계열 모델을 활용하여 모의된 가뭄의 빈도 결과가 이론적인 기법을 통해 산정된 것보다 합리적인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모든 시계열 모델에서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남한지역에 발생하고 있는 현재의 가뭄사상 분석에 대해 총 4개의 대권역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국내의 남부지방은 상대적으로 약한 가뭄이 발생하는 반면에 북부 및 중부지방은 현재 3년의 가뭄 지속기간을 가지는 가뭄이 발생하고 있으며 약 40년 빈도의 가뭄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a water-related natural disaster which can be simply described as spatially and temporally sequential absence of water. However, its characteristics are very difficult to define. For this reason, the preparation and mitigation from drought events have not been successful. In the current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지수화한 분석보다는 강우의 부족분을 통한 빈도개념을 도입하여 가뭄이 빈도에 따라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현 가뭄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가뭄대책을 위한 빈도개념의 기준을 통해 댐이나 저수지와 같은 수공구조물을 설치 및 운영하게 된다면 현재보다 가뭄 취약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10). 하지만, 가뭄은 홍수재해에 비해 장기간 동안 광범위한 지역에 점진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전망 및 감시가 어렵고 피해완화 차원의 대처가 미흡한 실정이다(Son et al., 2011; Lee et al.
가뭄재해의 전 세계적 특징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가뭄재해는 사회·경제적으로 극심한 피해를 유발시키는 자연재해로 분류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비정상적인 대기 및 해양환경 패턴의 변화가 가뭄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Hanson and Weltzin, 2000; Yoo et al., 2010).
저수지 설계, 단일 댐 및 댐군의 운영 등 가뭄에 대비 및 대응을 위한 정량적인 빈도 개념의 기준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대부분의 연구가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현재 및 미래의 가뭄상태 모니터링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가뭄지수의 경우 정량적인 여유수량 확보 및 가뭄의 발생 및 예상 시댐 용수 제한·공급량 설정 등 실질적인 가뭄대책의 정량적인 기준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저수지 설계, 단일 댐 및 댐군의 운영 등 가뭄에 대비 및 대응을 위해서는 정량적인 빈도 개념의 기준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yun, H.R., and Wilhite, D.A.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2, No. 9, pp. 2747-2756. 

  2. Cha, Y., Choi, K.-S., Chang, K.-H., Lee, J.-Y., and Shin, D.-S. (2014).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tropical cyclones influencing the South Korean region over the recent 10 years (2001-2010)." Natural Hazards, Vol. 74, 3, pp. 1729-1741. 

  3. Du Pisani, L.G., Fouche, H.J., and Venter, J.C. (1998). "Assessing rangeland drought in South Africa." Agric. Syst., Vol. 57, No. 3, pp. 367-380. 

  4. Fernandez, B., and Salas, J.D. (1990). "Gamma-Autoregressive Models for Stream-Flow Simula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Asce, Vol. 116, No. 11, pp. 1403-1414. 

  5. Guven, O. (1983). "A simplified semiempirical approach to probabilities of extreme hydrologic drough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9, No. 2, pp. 441-453. 

  6. Hanson, P.J., and Weltzin, J.F. (2000). "Drought disturbance from climate change: Response of United States forests." Sci. Total Environ., Vol. 262, No. 3, pp. 205-220. 

  7. Hao, Z., AghaKouchak, A. (2013). "Multivariate Standardized Drought Index: A parametric multi-index model." Adv. Water Resour., Vol. 57, pp. 12-18. 

  8. Heim Jr., R.R. (2002). "A review of twentieth-century drought indices used in the United States." Bull. Am. Meteorol. Soc., Vol. 83, No. 8, pp. 1149-1165. 

  9. Keyantash, J.A., and Dracup, J.A. (2002). "The quantification of drought: An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Bull. Am. Meteorol. Soc., Vol. 83, No. 8, pp. 1167-1180. 

  10. Keyantash, J.A., and Dracup, J.A. (2004). "An aggregate drought index: Assessing drought severity based on fluctuations in the hydrologic cycle and surface water storag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0, No. 9, pp. 1-13. 

  11. Kim, B.-S., Sung, J.-H., Kang, H.-S., and Cho, C.-H. (2012). "Assessment of Drought Severity over South Korea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9, pp. 887-900. 

  12. Kim, C.J., Park, M.J., and Lee, J.H. (2014). "Analysis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spatial and frequency patterns of drought using a potential drought hazard mapping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4, No. 1, pp. 61-80. 

  13. Kim, J.-S., Kang, H.-W., Son, C.-Y., and Moon, Y.-I. (2015). "Spatial variations in typhoon activities and precipitation trends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doi:10.1016/j.jher.2014.12.005 

  14.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hangma White Book". 

  15. Kwon, H.J., Park, H.J., Hong, D.O., and Kim, S.J. (2006). "A Study on Semi-distributed Hydrologic Drought Assessment Modifying SWS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8, pp. 645-658. 

  16. Lee, J.H., Cho, K.J., Kim, C.J., and Park, M.J. (2012).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rought using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0, pp. 983-995. 

  17. Lee, J.H., and Kim, C.J. (2013). "A multimodel assessment of the climate change effect on the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Hydrological Processes, Vol. 27, No. 19, pp. 2800-2813. 

  18. Lee, T., and Salas, J.D. (2011). "Copula-based stochastic simulation of hydrological data applied to Nile River flows." Hydrol. Res., Vol. 42, No. 4, pp. 318-330. 

  19.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 on Applied Climatology, January 17-22,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pp. 179-184. 

  20.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45. 

  21. Ryu, J.H., Lee, D.R., Ahn, J.H., and Yoon, Y.N.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ought Indices for Drought Evalu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4, pp. 397-410. 

  22. Salas, J.D., Delleur, J.W., Yevjevich, V., and Lane, W.L. (1980). "Applied Modeling of Hydrologic Time Series."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Littleton, Colorado, pp. 484. 

  23. Salas, J.D., Fu, C., Cancelliere, A., Dustin, D., Bode, D., Pineda, A., and Vincent, E. (2005). "Characterizing the severity and risk of drought in the Poudre River, Colorado." J. Water Resour. Plann. Manage., Vol. 131, No. 5, pp. 383-393. 

  24.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eedings of the Western Snow Conference, 50th Annual Meeting., pp. 164-175. 

  25. Shiau, J.T., and Shen, H.W. (2001). "Recurrence analysis of hydrologic droughts of differing severity." J. Water Resour. Plann. Manage., Vol. 127, No. 1, pp. 30-40. 

  26. So, J.M., Sohn, K.H., and Bae, D.H. (2014).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based on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2, pp. 171-182. 

  27. Son, K.-H., Bae, D.-H., and Chung, J.-S. (2011). "Drought Analysis and Assessment by Using Land Surface Model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8, pp. 667-681. 

  28. TRC (Typhoon Research Center) (2015). http://www.typhoon.or.kr. Accessed 24 December, 2015. 

  29. Yevjevi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30. Yoo, J.-Y., Choi, M.-H., and Kim, T.-W. (2010). "Spatial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No. 1, pp. 15-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