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in nurses working in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2, 2016년, pp.451 - 461  

김경윤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4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6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은 중정도 이상의 수준이었고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 (r=.42, p <.001), 간호과정 수행능력 (r=.58, p <.001)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 (${\beta}=.34$, p <.001)과 간호과정 수행능력 (${\beta}=.57$, p <.001)은 근거기반실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전략이 요구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working in middle sized hospital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nurses working in the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JHNEBP에서는 근거기반실무지침 개발 시에도 간호과정의 단계를 활용하는 것을 도움이 된다고 제안하였다 (Newhouse 등, 2007). 따라서 간호사들의 근거기반실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부 과정에서부터 간호과정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근거기반실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근거기반 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기반실무란 무엇인가? 근거기반실무는 환자간호 시 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를 고려하여 간호사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체계적인 연구로부터 획득된 최상의 근거를 가지고 활용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Sackett 등, 2000). 근거기반실무는 간호의 질을 높이고 적합한 간호의 기준을 제시해주고 의료비 절감효과를 내어 환자 간호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Brown 등, 2009).
근거기반실무가 환자 간호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근거기반실무는 환자간호 시 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를 고려하여 간호사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체계적인 연구로부터 획득된 최상의 근거를 가지고 활용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Sackett 등, 2000). 근거기반실무는 간호의 질을 높이고 적합한 간호의 기준을 제시해주고 의료비 절감효과를 내어 환자 간호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Brown 등, 2009).
근거기반 업무 수행의 필요성을 촉진시키는 간호사의 근무 방식은? 세계적으로 근거기반실무의 활성화를 위해 간호연구를 발전시키고, 간호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지만 (Bostr˝om 등, 2009), 우리나라에서는 근거기반실무에 대해 알고 있는 간호사는 약 37%정도에 불과하다 (Yi와 Park, 2011). 간호사들은 임상현장에서 불확실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을 할 때 약 73%는 자신의 경험을 과신하고 (Thiel와 Ghosh, 2008), 동료들에게서 정보를 구하거나 병원 정책과 절차, 직관, 환자의 의료기록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성향이 있다 (Estabrooks 등, 2005). 또한 관습적으로 행하여온 간호 실무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위협적으로 생각한다 (Polit와 Beck, 2013). 따라서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간호사의 근거기반 한 업무 수행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다 (Cho와 Le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ostrom, A. M., Ehrenberg, A., Gustavsson, J. P. and Wallin, L. (2009). Registered nurses'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15, 1159-1163. 

  2. Brady, J. M. (2012). Evidence-based practice application: A goal for anaesthetic and recovery nurses. British Journal of Anaesthetic and Recovery Nursing, 12, 53-56. 

  3. Brown, C. E., Wickline, M. A., Ecoff, L. and Glaser, D. (2009). Nursing practic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 371- 381. 

  4. Choi, S. H. (2013). Nursing process, 3rd Ed., Hyun Moon Sa Publishing, Seoul. 

  5. Cho, S. M. and Lee, E. J. (2015).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nursing performa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441-453. 

  6. Estabrooks, C. A., Rutakumwa, W., O'Leary, K. A., Profetto-McGrath, J., Milner, M., Levers, M. J. and Scott-Findlay, S. (2005). Sources of practice knowledge among nurses.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 460-476. 

  7. Hockenberry, M., Wilson, D. and Barrera, P. (2006). Implementing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in a pediatric hospital. Pediatric Nursing, 32, 371-377. 

  8. Hong, S. J. and Kim, H. S. (2011).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mprehensive web-based nurs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497-505. 

  9. Kang, K. J., Kim, E. M. and Ryu, S. A. (2011).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for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284-293. 

  10. Kim, J. S., Gu, M. O. and Jo, S. Y. (2013).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readiness for tertiar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2945-2957. 

  11. Kim, N. Y. and Kim, E. A. (2014). Factors influencing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 2855-2868. 

  12. Kim, Y. S., Kim J. M. and Park, M. M. (2015).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21, 143-153. 

  13. Ko, K. J. (2003).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14. Koehn, M. L. and Lehman, K. (2008). Nurses' perception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 209-215. 

  15. Kwon, I. S., Lee, G. E., Kim, G. D., Kim, Y. H., Park K. M., Park, H. S., Son, S. K., Lee, W. S., Jang, K. S. and Chung, B. Y.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50-958. 

  16. Ilic, D. (2009). Assessing competency in evidence based practic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current tools in practice. BMC Medical Education, 9, 1-5. 

  17. Lee, W. H, Kim, C. J, Yoo, J. S, Hu, H. K. Kim, K. S. and Lim, S. M.(1990). Development of a clinical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for Yonsei University, 13, 177-209. 

  18. Lim, K. C, Park, K. O, Kwon, J. S., Jeong, J. S., Choe, M. A., Kim, J. H. and Lee, K. S. (2011). Registered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about evidence-based practice at general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375-387. 

  19. Newhouse, R. P., Dearholt, S. L. Poe, S. S. Pugh, L. C. and White, K. M. (2007).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guidelines, The Honor Society of Nursing,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Indiana. 

  20. Park, J. A. and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40-850. 

  21. Park, H. S. and Han, J. Y. (2015).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695-706. 

  22. Pierce, P. (2007).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practice, http://www.ceufast.com/courses/112/112.htm. 

  23. Polit, D. F. and Beck, C. T. (2013). Essentials of nursing research: Apprai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24. Sackett, D. L., Straus, S. E., Richardson, W. S., Rosenberg, W. and Haynes, R. B. (2000).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nd ed., Churchill Livingstone, Edinburgh. 

  25. Sharts-Hopko, N. C. (2003). Evidence-based practice: What constitutes evidenc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Nurses in Aids Care, 14, 76-78. 

  26. Shin, K. A., Cho, B. H. (2012).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 46-56. 

  27. Shin, K. R., Hwang, J. W. and Shin. S. J. (2008). Concept analysis on the clinical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nursing.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707-718. 

  28. Son, Y. J., Kim, S. H., Park, Y. S., Lee, S. K. and Lee, Y. M. (2012).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retrieval skill on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 635-646. 

  29. Tae, S. H. and Hwang, E. H. (2012). Nurses' clinical compet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perception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Korean Journal Health Promotion, 12, 40-46. 

  30. Thiel, L. and Ghosh, Y. (2008). Determining registered nurses' readiness for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5, 82-192. 

  31. Upton, D. and Upton, P. (2006).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e for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 454-458. 

  32. Wilkinson, J. (2007).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4rd ed., Prectice Hill, Paramus. 

  33. Yi, J. E. and Park, M. H. (2011). Nurses' access &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255-2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