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정조직문화와 여성교도관들의 성차별적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The impact of mal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job conflict on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stress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49, 2016년, pp.11 - 36  

김은영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박웅섭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국내의 여성교도관들의 다양한 스트레스 관련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경험적 연구이다. 가장 중요한 연구의 검증주제는 어떠한 직업과 가정의 갈등요인들이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지 그리고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교도관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 개인적 단위의 요인들과 조직적 단위의 요인들의 영향력과 유의미성 역시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국내의 12개의 교도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여성교도관들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교정공무원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보안과 근무여부, 생활만족도, 상관의 조직운영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육아와 가사를 근무와 병행하는 어려움, 남성중심조직문화의 어려움의 5가지 변수들이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보안과 근무여부, 생활만족도, 상관의 조직운영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육아와 가사와 근무병행의 어려움의 네 가지 요인들은 모두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들이었다. 그러나 남성중심조직문화의 어려움은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육아와 가사와 근무병행의 어려움과 남성중심조직문화의 어려움은 여성교도관들의 직업-가정갈등요인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교도관들이 남성들에 비해 특별히 다른 스트레스 요인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며 심지어 육아와 가정생활과 관련된 업무의 부담까지도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남성중심적인 업무환경은 여전히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가장 심각한 위험요인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발견에 근거한 논의가 결과와 논의에서 해석되고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or studies have well established the factors of correctional staff's stress at work. However, it is not clearly identified gender-specific factors influencing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level of stres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particularly influencing female correctional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교도관이 더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이유 중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여성교도관의 경우 더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이유에 대해서 가정과 업무에 있어서의 갈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이 있다. 이러한 업무와 가정간의 갈등이 업무스트레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 것이 교정영역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교정현장에서 일하기 원하는 여성들이 점점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되는 것은 어떠한 변화때문인가? 오늘날 다양한 영역에서의 여성의 직업선택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은 많이 사라졌고, 전통적으로 남성의 직업영역으로 알려져 있던 교정직에도 다수의 여성이진출하고 있다. 그리고 교정현장에서 일하기 원하는 여성들이 점점 더 많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교정직원들의 업무스트레스는 주로 어디에서 오는가? 그렇다면 여성교도관들의 상대적인 높은 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일까? 전형적인 관점에서 이야기 하듯, 여성교도관들의 여성성이 그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남성중심의 문화인 교정환경에서 근무하는 것 자체가 주는 영향일까? 아니면 직장을 벗어난 일상적인 생활환경과 관련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실제로 Lamert 와 그의 동료들의 (2002)연구는 교정직원들의 업무스트레스가 그들의 가정생활과 직업과의 갈등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며 가정에서의 삶의 만족도가 직업현장에서의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면, 만약 국내의 여성교도관들의 업무스트레스가 남성교도관들보다 높다면 이는 일반적으로 이중적인 업무부담을 가지게 되는 국내의 여성교정직원들은 가정의 업무, 가정 내에서의 스트레스, 갈등, 그리고 육아 등이 이들의 교정현장에서의 업무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 영향을 미쳐서 남성교정직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이해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은영(2015). 남성수용자, 여성교정공무원에 대한 성적 고정관념적 인식, 그리고 그 영향의 검증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45:37-63. 

  2. 김은영.윤옥경(2015). 교정의 미래와 여성교도관의 역할: 교정조직의 성고정관념 수준과 여성교도관의 역할 확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교정연구. 제 65호: . 

  3. 이수정.윤옥경(2006). 교정공무원의 폭행피해로 인한 탈진감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교정연구. 제 31호:89-116. 

  4. 윤민우(2014). 다차원 안보위협과 융합안보 -탈근대 사회에서의 안보와 치안의 융합현상에 대한 이해.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 31호: 157-185. 

  5. 정우열(2007). 경찰서 유치장 시설 및 운영에 관한 유치인의 인식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 13호: 423-450. 

  6. Armstrong, G., & Griffin, M. (2004). Does the job matter? Comparing correlates of stress among treatment and correctional staff in prison. Journal of Criinal Justice, 32: 577-592. 

  7. Auerbach, S.M., Quick, B.G., & Pegg, P.O. (2003). General job stress and job-specific stress in juvenile correctional officer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1:25-36. 

  8. Boles, J.S., Johnson, M., & Hair, M.J. (1997). Role stress,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Inter-relationships and effects on some work-related consequences.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17:17-28. 

  9. Brandt, L.O.A., & Nielsen, C.V. (1992). Job stress and adverse outcome of pregnacy: A causal link or recall bias. American Journal of Epidmiology, 135:302-311. 

  10. Britton, D. (1997).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mong correctional officers: Do race and gender matter? Criminology, 35:85-105. 

  11. Boyd, E., & Grant, T. (2005). Is gender a factor in perceived prison officer competence? Male prisoner's perceptions in an English dispersal prison.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15:65-74. 

  12. Castle, T.L., & Martin, M.D. (2006). Occupational hazard: Predictors of stress among jail correctional officers.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1:65-80. 

  13. Cheek, F.E., & Miller, M.D. (1983). The experience of stress for correction officers: A double-bind theory of correctional stres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11: 105-112. 

  14. Cullen, F. Link, B., Wolf, N., & Frank, J. (1985). The social dimensions of correctional officer stress. Justice Quarterly, 2:505-533. 

  15. Cooper, C.L., & Watson, M. (1991). Cancer and stress: Psychological, Biological and Coping Studies. New York: John Willey. 

  16. DeCarlo, D.T., & Gruenfeld, D.T. (1989). Stress in the Aemrican workplace: Alternatives for the working wounded. Forth Washington, PA: :RP Publications. 

  17. Dillon, P. (1999). The cost of stress in mind-numbling. Orlando Business Journal, 16: 36-45. 

  18. Dowden, C., & Tellier, C. (2004). Predicting work-related stress in correctional officers: A meta-analysi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2: 31-47. 

  19. Finn, P. (1998). Correctional officer stress: A cause for concern and additional help. Federal Probation, 62: 65-75. 

  20. Greenhaus, J.H., & Beutell, N.V.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76-88. 

  21. Jonson, R., & Jonansson, G. (1991). The pscyhosocial work enviorment: Work organization, democratization and health. New York: Baywood. 

  22. Jurik, N.C., & Halemba, G. J. (1984). Gender, working condition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men in a non-traditional occupation: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in men's prisons. The Sociological Quarterly, 25:551-566. 

  23. Kahn, R.L. Wolfe,D., Quinn,R., Snoek, J., & Roesnthal, P.(1964). Organizait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ew York: Baisc Books. 

  24. Labmbert, E.G., Hogan, N. L., & Barton, S.M. (2002).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correctional staff job satisfaction: An exploratory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7:35-52. 

  25. Labmbert, E.G., Hogan, N. L., & Griffin, M.L. (2007). The impact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correctional staf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5:644-656. 

  26. Lobardo, L.X. (1981).Occupational stress in corrections officers: Sources, coping, stategies, and implications. In S.E. Zimmerman & H.D. Miller's (Eds.) Corrections at the corssroads: Designing policy, 2-28. Bevery Hills, CA: Sage. 

  27. Netermeyer, R.G., Boles, J.S., & McMurrian, R.N.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ced Psychology. 81: 400-410. 

  28. Saylor, W.G., & Wright, K.N. (1992). Status, longevity, and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mong federal prison employees.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17:133-160. 

  29. Slate, R.N., Vogel, R.E., & Johnson, W.W. (2001). PRobation officer stress: Is there an organizational solution? Federal Probation, 64:56-60. 

  30. Tewksbury, R., & Higgins,G.E. (2006). Prison staff and work stress: The role of organizational and emotional influences,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0:247-266. 

  31. Triplett, R., Mullings, J.L., & Scarborough, K.E., (1996). Work-related stress and coping among correctional officers: Implications from organizational literature.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4:291-308. 

  32. Tripplet,R., Mullings, J.L., & Scarborough, K.E. (1999). Work-related stress and coping among correctional officers: Implications from organizational literature.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4:291-3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