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으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한 애기똥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Injured by Cadmium Chloride of Toxican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8 no.1, 2016년, pp.1 - 7  

김태윤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제갈승주 (원광보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CdCl_2$)의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CM) 추출물의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비롯한 $CdCl_2$에 대한 BHT의 영향 및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radical scavenging activity (SSA),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dCl_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XTT_{50}$값이 38.7u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인 BHT는 $CdCl_2$의 독성으로 인하여 심하게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CdCl_2$의 세포독성에 대한 CM 추출물의 방어효과에서, CM 추출물은 $CdCl_2$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또한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한 SSA 및 LDH 활성 억제와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CdCl_2$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CM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CdCl_2$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CM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독성의 제독 내지는 저감을 위한 항산화물질로서의 개발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admium chloride ($CdCl_2$), toxicant,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Chelidonium majus (CM) extract on $CdCl_2$-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Cell viability, the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M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한 superoxide anion-radical scavenging activity (SSA) 및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M 추출물은 항산화 분석 모두에서 유효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80 ug/mL CM 추출물 시료처리에서는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과 SSA에 있어서 비교군인 BHT 활성의 50∼65% 이상의 활성을 보여 BHT와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 본 연구는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독성물질인 염화 카드뮴(CdCl2)의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CM) 추출물의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 (cell viability)을 비롯한 CdCl2에 대한 BHT의 영향 및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radical scavenging activity (SSA),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dCl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XTT50값이 38.
  • 본 연구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병변의 치료물질에 대한 탐색이나 발굴을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CdCl2)의 독성분석과 함께 이에 대한 CM 추출물의 영향을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시험관 내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드뮴은 무엇이며 무엇을 형성하고 있는가? 카드뮴은 은백색의 중금속류 일종으로 크롬과 같이 자연계에서는 산소나 염소, 황과 결합하여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하고 있다[1]. 카드뮴은 돌연변이원이면서도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따이-이따이병(itai-itai disease)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따이-이따이병의 원인이 되는 중금속류는? 카드뮴은 은백색의 중금속류 일종으로 크롬과 같이 자연계에서는 산소나 염소, 황과 결합하여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하고 있다[1]. 카드뮴은 돌연변이원이면서도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따이-이따이병(itai-itai disease)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유로는 1968년 일본 도마야현에 있는 미쯔이 제련공장의 폐광석에서 흘러나온 카드뮴에 노출된 주민들에서 이의 독성으로 인해 골다공증을 비롯한 전신통증, 골연화증 폐암 및 신장기능장애와 같은 후유증을 일으켰던 대표적인 사례가 있었는데 특히 뼈나 근육의 통증을 호소함으로서 붙여진 이름이다[2].
식물 중 애기똥풀은 어디에 사용하는가? 흔히 CM은 백굴체라고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대개 여름과 가을에 꽃을 비롯한 잎이나 줄기를 채취하여 햇빛이 직접 들지 않은 서늘한 곳에서 말린 다음 이를 약재로 사용한다. CM은 오래전부터 해독이나 이뇨는 물론 위궤양이나 창종과 같은 염증성 병변 치료에 자주 사용되어 왔으며 그 밖에도 완선이나 수종, 황달과 같은 질환 등에도 유효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CM에서는 palmitic acid를 비롯한 stigmasterol이나 taraxerol 성분들이 분리 정제되었으며, 그 밖에도 berbenine이나 malic acid, polyphenol, flavonoid와 같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고 밝혀져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ung JY, Oh SK, Park SH, Yoon MY, Yu YW, Rim YS, et al. Antioxidative effect of Ajuga multiflora BUNGE extract on chrominum trioxide, dermatitis inducer i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J Invest Cosmetol. 2014;10:21-26. 

  2. Waalkes MP, Poirier LA. In vitro cadmium-DNA interaction: Cooperativity of binding and competitive antagonism by calcium, magnesium and zinc. Toxicol Appl Pharmacol. 1984;75:539-546. 

  3. Nomiyama K. Recent progress and perspective in cadmium health effects studies. Sci Total Environ. 1980;14:199-232. 

  4. Park ST, Choi MK, Lee KC, Cho KH, Jeon BH, Woo WH. Study on the effect of vitamin E on methylmercury i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Kor J Oriental Med Pathol. 2000;14:7-10. 

  5. Son YW, Rim YS, Yu YW, Jung IJ. Effect of persimmon leaves extract on the cytotoxicity induced by cadmium of hair dye component. J Invest Cosmetol. 2012;8:9-15. 

  6. Kim MS, Seo YM, Park ST. Antioxidative effect of kaempferol o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damaged by methylmercuric chloride.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0;13:23-29. 

  7. Jung JY, Joe DY, Park SH, Seo YM, Protective effect of Rumex crispus L.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damaged by cadmium of environmetal pollutant.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15-21. 

  8. Rim YS, Song WS, Seo YM, Park ST, Kim SM. A study on the cytotoxic effects of several plant extracts on the cell viability and cell adhesion activity in cultured NIH3T3 fibroblast. Kor J Clin Lab Sci. 2010;42:116-124. 

  9. Li YL, Gan GP, Zhang HZ, Wu HZ, Li CL, Huang YP, et al. A flavonoid glycoside isolated from Smilax china L. rhizome in vitro anticancer cell lines. J Ethnophamacol. 2007;113:115-124. 

  10. Son YW, Oh SK, Choi YR, Park SH, Seo YM, Lee HJ, et al. Effects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on mercury-induced cytotoxicity and melanogenesis. J Invest Cosmetol. 2013;9:229-235. 

  11. Lenfeld J, Kroutil M, Marsalea E, Stavik J, Preininger V. Antiinflammatory avtivity of quatemary benzophenanthridine alkaroids from Chelidonium majus. Planta Med. 1981;43:161-165. 

  12. Rim YS, Seo YM, Son YW, Oh YL.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on protein synthesis and detoxicity in cultured C6 glioma cell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149-154. 

  13. Wang EA.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s). Therapeutic potential in healing bony defects. Trends Biotechnol. 1993;11:379-383. 

  14. Jung HM, Seo SJ, Kim JB, Kim NW, Joo EY. The stud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from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extract. J Invest Cosmetol. 2011;7:359-366. 

  15. Brenfreund E, Puerner JA. A simple quantitative procedure using monolayer culture for cytotoxicity assay (HTD/NR-90). J Tiss Cult Meth. 1984;9:7-9. 

  1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26:1199-1200. 

  17. Koizumi T, Waalkes MP. Effect of zinc on the binding cadmium to DNA: assessment with testicular interstitial cell and calf thymus DNAs. Toxicol In Vitro. 1990;4:51-55. 

  18. Yamamoto M, Scima T, Uozumi T, Yamada K, Kawasaki T. A possible role of lipid peroxidation in cellular damages caused by cerebral ischemia and protective effect of alphatocopherol administration. Stroke. 1983;14:977-982. 

  19. De-Heredia JB, Torregrosa J, Dominguez JR, Peres JA. Kinetic model for phenolic compoud oxidation by fenton's reagent. Chemosphere. 2001;45:85-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