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주화강암과 안동 화강암의 인회석 Sr 동위원소 조성: 두 암체의 동위원소적 구분과 경계의 위치
Sr Isotopic Composition of Apatite from the Yeongju and Andong Granites: Isotopic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anites and Location of the Boundary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1, 2016년, pp.89 - 93  

윤리나 (문화재청 천연기념물센터) ,  이승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육괴의 북동부에 위치하는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은 동일한 시기에 정치하였지만 서로 다른 Sr 동위원소 초기치를 갖는다. 하지만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두 저반을 구분하는 경계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어떤 경계가 합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지역의 화강암들로부터 인회석을 분리하여 Sr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두 암체의 경계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ongju and Andong granite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reveal very similar emplacement ages but distinct initial isotopic compositions of strontium. However, previous studies used different boundaries to distinguish these batholith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Sr isotopic com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풍화도가 높은 암석의 경우 주원소와 미량원소조성 역시 제 값을 구하기 힘들 수도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두 경계선 사이에 분포하는 화강암체(Hwang et al.(2002a)의 풍산암체)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렇게 통일되지 않은 경계로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을 구분하게 되면 이 암체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혼란스러운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으며, 확실한 근거를 바탕으로 두 암체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의 두 암체가 구분되는 중요한 특징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에 따라 두 암체 사이의 합리적인 경계 위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연구에서 드러난 영주화강암과 안동 화강암의 특징은 ? , 1999, 2000, 2002a,2002b), 그리고 정치 깊이(Cho and Kwon, 1994;Hong, 2001) 등에 대해 여러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주화강암과 안동 화강암은 남한에 분포하는 현생 화강암체들 중에서 가장 깊은 정치압력(각각 7.9 kb, 7.5 kb)을 보이며(Hong, 2001), 두 암체의 사이에 대규모의 전단대가 지나가고 있다. 따라서 두 암체의 생성과 분화, 정치, 정치 이후의 융기 및 전단운동 등에 대한 이해는 북동 영남육괴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지각진화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Kimet al.
영주화강암과 안동 화강암이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연구에서 나온 특징으로 인해 어떤 중요한 점이 강조되었는가 ? 5 kb)을 보이며(Hong, 2001), 두 암체의 사이에 대규모의 전단대가 지나가고 있다. 따라서 두 암체의 생성과 분화, 정치, 정치 이후의 융기 및 전단운동 등에 대한 이해는 북동 영남육괴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지각진화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Kimet al., 2008).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의 특징은 ?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은 영남육괴의 북동부지역에 위치한 비교적 큰 규모의 저반이며, 생성시기(Leeet al., 1999; Sag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D.-L. and Kwon, S.-T., 1994, Hornblende geobarometry of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nd the evolution of crustal thicknes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41-61. 

  2. Hong, S.S., 2001, Implication for the emplacement depth of the granites in the Yeongnam massif, using the aluminum- in-hornblende barometry.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0, 36-55. 

  3. Hwang, S.K., Kim, S.W., Chang, T.W., Kim, J.M., and Lee, S.K., 1999, Intrusive phases and igneous processes in the Yeongju batholith. Econ. Environ. Geol., 32, 669-668. 

  4. Hwang, S.K., Ahn, U.S., and Kim, S.W., 2000, Spatial compositional variations and their origins in the Buseok pluton, Yeongju batholith. Econ. Environ. Geol., 33, 147-163. 

  5. Hwang, S.K., Chang, T.W., Kim, J.M., Ahn, U.S., and Lee, B.H., 2002a, Lithofacies and multiphase emplacement in the Andong batholith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51-65. 

  6. Hwang, S.K., Jang, Y.D., and Lee, Y.J., 2002b, Petrogenesis of plutonic rocks in the Andong batholith.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1, 200-213. 

  7. Jwa, Y.-J., 1997,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mica granites: examples from Cheongsan, Inje-Hongcheon, Yeongju and Namwon area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6, 210-225. 

  8. Kim, S.W., Lee, C.Y., and Ryu, I.-C., 2008, Geochemical and Nd-Sr isotope studies for foliated granitoids and mylonitized gneisses from the Myeongho area in northeast Yecheon Shear Zon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 299-314. 

  9. Lee, J.I. and Lee, M.S., 1991, Mineralogy and petrology on the granitic rocks in the Yongju area, Kyoungsang Buk-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626-641. 

  10. Lee, J.I., Jwa, Y.-J., Park, C.-H., Lee, M.J., and Moutte, 1998,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Youngju and Andong granites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Geosciences Journal, 2, 1-14. 

  11. Lee, J.I., Jwa, Y.-J., Park, C.-H., Lee, M.J., Moutte, J., and Kagami, H., 1999, Sr and Nd isotopic compositions of late Paleozoic Youngju and Andong granites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3, 153-165. 

  12. Park, K.-H., Lee, H.-S., Song, Y.-S., and Cheong, C.-S., 2006, Sphene U-Pb ages of the granite-granodiorites from Hamyang, Geochang and Yeongju areas of the middle Yeongnam massif.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39-48. 

  13.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2004TC001720. 

  14. Song, Y.S. and Yi, K., 2015, SHRIMP U-Pb age of the Chunyang granite, NE Yeongnam massi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 397-402 

  15. Yoon, R., Song, Y.-S., and Yi, K., 2014,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Yeongju and Andong granites,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209-2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