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복지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이미지 비교를 중심으로-
Social Worker's Imag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arison of the Image of Social Worker and Nur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528 - 536  

이경철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유미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차이, 매체별 사회복지사 관련내용 경험, 매체를 통해 본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S시 소재 중 고등학생 386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1월 15일부터 11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 고등학생들의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간호사 이미지가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 이미지가 사회복지사 이미지 보다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중 고등학생들의 매체별 사회복지사 관련 내용 경험을 분석 한 결과 TV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TV를 중심으로 한 대중매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향후 학생들에게 전공학과나 직업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of social-workers and nurs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determine the experience related to social workers and the role of social workers projected in the med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복지사 이미지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이미지를 비교하고 매체별 사회복지사 관련내용 경험과 매체를 통해 본 사회복지사에 대한 느낌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이미지 개선 방안을 파악하여, 이들이 사회복지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이미지를 비교하고 매체를 통해 인지하게 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사회복지사 이미지에 대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이미지를 비교하고, 매체를 통해 인지하게 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와 사회복지사는 어떤 유사점을 갖고 있는가? 의료계와 사회복지계는 교육과 함께 4대 휴먼서비스(Human Service) 조직으로서[1], 간호사와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대상을 만날 수 있는 이타주의적인 직업이며 사랑과 봉사, 소명의식, 가치관 및 윤리의식으로 서비스대상자를 돌보는 유사점이 있으며 전문직으로 인정받고 있다[2].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는 평균수명은 연장되었지만 암 및 퇴행성질병이 증가하고,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일반대중의 간호 및 사회복지 관련 욕구는 한층 더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역할은 더욱 부각되는 추세이다.
드림스타트사업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보건서비스와 사회서비스의 연계 및 통합을 위한 정부적 차원의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각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서는 보건·복지 협력 및 연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간호사와 사회복지사로 구성된 전문사례관리자가 취약계층 아동 및 가족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통합서비스인 드림스타트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J. Kim,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eoul; Hakjisa, 2010. 

  2. Y. Y. Kim, E. J. Shin, “A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 10, No. 1, pp. 23-49, 2013. 

  3. H. Itzhaky, P. Gerber, R. Dekel, "Empowerment, skill, and values: A comparative of nurses and social wor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1, pp. 447-455, 2004.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3.10.012 

  4. Y. H. Ann,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1, No. 1, pp. 102-109, 2007. 

  5. C. H. Ham,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agencies in community welfare practice: The attitudes of practitioners and client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5, pp. 309-339, 2003. 

  6. E. Brawley, "Mass media and human services : Getting the message acros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985. 

  7. K. H. Huh, B. S. Lee, Nurse's image: perceived by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aegu,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 Management, Vol. 9, No. 2, pp. 157-173, 1999. 

  8. K. Jackson, “Time for a change-The social work image campaign,” Social Work Today, Vol. 4, No. 3, pp. 12, 2004. 

  9. L. M. Frerman, D. Valentine, "Social work goes to the movies: Motivated representation?," 1999. 

  10. W. S. Shin, G. E. Lee, “An approach using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identity of social worker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 21, No. 1, pp. 59-84, 2005. 

  11. H. G. Lee,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ocial worker as a profession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3, No. 3, pp. 151-172, 2007. 

  12. C. H. Kang, M. M. Choi, "A comparative study of the public's image on helping professions: Comparison between social welfare professional and other Professionals," Vol. 59, No. 1. pp. 171-197, 2007. 

  13. J. H. Kim, "Image of the social worker among three different groups," Local government research, Vol. 12, pp. 83-104, 2008. 

  14. C. W. LeCroy, E. L. Stinson, "The public's perception of social work: Is it what we think it is?," Social Work, Vol. 49, pp. 164-174, 2004. DOI: http://dx.doi.org/10.1093/sw/49.2.164 

  15. A, Rowe, "Put off by social care's image, Community Care," p.38, 2008. 

  16. K. Y. Bargawi, "Social work community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development and social work centers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 and self-reporting of social work educated and non-social work-educated professionals in SaudiArabia,"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USA. 2002. 

  17. S. T. Dennison, J. Poole, J, B. Qaqish,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work :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image of social work among college-99-students," Social Work, Vol. 52, pp. 350-360, 2007. DOI: http://dx.doi.org/10.1093/sw/52.4.350 

  18. M. Hughes, "How schools of social work perceive and are responding to juvenile violence : A national survey," Social Work Education, Vol. 23, pp. 63-75, 2004. DOI: http://dx.doi.org/10.1080/0261547032000175737 

  19. M. L. Freeman, D. P. Valentine, "Throught he eyes of Hollywood : Images of social workers in film," Social Work, Vol. 49, pp. 151-161, 2004. DOI: http://dx.doi.org/10.1093/sw/49.2.151 

  20. E. K. Misener, "The image of social work in U.S., UK, and Canadian newspapers,"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lbany, USA, 2001. 

  21. B. Scott, G. Christine, "Directors and government must help improve social work's image, says MP," Community Care, pp. 16-17. 2003. 

  22. J. Davenport "Image better than we think," Unpublished paper, 1997. 

  23. I. S. Yang,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Determinants the Imag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4, No. 2, pp. 289-306, 1998. 

  24. S. G. Choi, I. S. Choi, S. J. Choi, H. S. Jo, H. R. Kim,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Nanam Books, 2005. 

  25. M. M. Young, "A Study of Influenc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on Identity of Professionals," Journal of Far East Social Welfare, Vol. 5, pp. 103-117, 2009. 

  26. H. J. Lee," Qualification System and Job Analysis for Social Worker: toward Realization of Qualification Grad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21, pp. 161-188, 2003. 

  27. M. E. Park, Intrinsic contemplation on backwardness of social welfare,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Vol. 2004, pp. 27-38, 2004. 

  28. C. D. Condie, J. A. Hanson, N. E. Lang, D. K. Moss, R. Kane, “How the public views social work,” Social Work, Vol. 23, No. 1, pp. 47-52, 1978. 

  29. S. G. Yoo, “Korean College Students's Attitudes Toward Counseling, Psychotherapy, and Psychiatric Help,”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Vol. 17, No. 3, pp. 617-632, 2005. 

  30. E. S. Kim, "Study of Evaluation of Korea National Image Depend on Visual Image Analysis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0. 

  31. Y. M. Kim, Y. S. Kang, “Nurse's Image Perceiv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3, pp. 384-395,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3.384 

  32. K. Godfrey, “Don't believe the hype,” Nursing Times, Vol. 96, No. 28, pp. 28-29,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